13. 오류선생 같은 백운거사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
白雲居士先生自號也, 晦其名, 顯其號. 其所以自號之意 其在先生「白雲語錄」.
家屢空, 火食不續, 居士自怡怡如也. 性放曠無檢, 六合爲隘, 天地爲窄. 嘗以酒自昏, 人有邀之者, 欣然輒造, 徑醉而返, 豈古淵明之徒與? 彈琴飮酒, 以此自遣, 此其實錄也,
居士醉而吟一詩曰: ‘天地爲衾枕, 江河作酒池. 願成千日飮, 醉過太平時.’ 又自作贊曰: ‘志固在六合之外, 天地所不囿, 將與氣母遊於無何有乎?’
해석
白雲居士先生自號也, 晦其名, 顯其號.
백운거사는 선생의 자호(自號)로, 그 이름을 감추고 호를 드러낸 것이다.
其所以自號之意 其在先生「白雲語錄」.
자호를 한 까닭의 뜻은 선생의 「백운어록(白雲語錄)」에 기재되어 있다.
家屢空, 火食不續, 居士自怡怡如也.
집의 쌀독은 자주 비어 밥불이 이어지지 않았지만 거사는 스스로 평온했다.
性放曠無檢, 六合爲隘, 天地爲窄.
성격은 멋대로 행하고 매인 게 없어 육합조차 좁다 여기고 천지를 비좁다 여겼다.
嘗以酒自昏, 人有邀之者, 欣然輒造, 徑醉而返, 豈古淵明之徒與?
일찍이 술로 스스로 취해 있다가 그를 맞이하는 사람이 있으면 기쁘게 불쑥 나가 길에서 취해 돌아왔으니 아마도 옛적 도연명의 무리이리라.
彈琴飮酒, 以此自遣, 此其實錄也,
거문고 타고 술 마시며 이로 스스로 회포를 풀은 것이 이 기록이다.
居士醉而吟一詩曰: ‘天地爲衾枕, 江河作酒池. 願成千日飮, 醉過太平時.’
거사가 취하여 한 시를 읊었으니 다음과 같다.
天地爲衾枕 江河作酒池 | 천지를 이불과 베개로 삼고 강을 술 연못으로 삼아 |
願成千日飮 醉過太平時 | 원컨대 천일 동안 마셔서 취한 채 태평시대 보내보세. |
又自作贊曰: ‘志固在六合之外, 天地所不囿, 將與氣母遊於無何有乎?’
또한 스스로 지은 찬은 다음과 같다.
志固在六合之外 | 뜻은 짐짓 육합의 바깥에 있어서 |
天地所不囿 | 천지도 한계 짓질 못하니 |
將與氣母遊於無何有乎 | 장차 기의 근본과 무하유(無何有)에서 노닐려네. |
인용
'문집 > 시화총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운소설 - 16. 선사 조파와 공공 스님의 우정 (0) | 2020.04.16 |
---|---|
백운소설 - 15. 좋은 시 감식의 어려움 (0) | 2020.04.16 |
백운소설 - 12. 백거이를 닮은 나 (0) | 2020.04.16 |
백운소설 - 10. 동급자들과 지은 시가 중국에서 유행하다 (0) | 2020.04.16 |
백운소설 - 8. 시적 재능이 특출난 오세재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