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단천절부시(端川節婦詩) - 2. 헤어지던 날 피로 맹세하다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단천절부시(端川節婦詩) - 2. 헤어지던 날 피로 맹세하다

건방진방랑자 2021. 8. 17. 18:33
728x90
반응형

2. 헤어지던 날 피로 맹세하다

 

喔喔晨鳴鷄 燭燭晨明月 꼬끼오 새벽닭이 울고 환하디 환한 새벽달이 밝아
蕭蕭征馬嘶 行子侵晨發 쓸쓸히 정벌하러 가는 말 울어대고 떠나는 이 새벽에 이르러 출발하네.
逸仙送上舍 相送雲嶺頭 일선은 유생을 전송하러 서로 마운령(摩雲嶺) 정상에서 전송하네.
嶺頭有流水 各自東西流 마운령 정상에서 흐르는 물 각각 절로 동쪽으로 서쪽으로 흘러
流波日以遠 千里復千里 흐르는 물결은 날로 멀어지니 천 리에 더하여 천 리라네.
上舍謂逸仙 此別如此水 유생이 일선에게 말하네. “이 이별은 이 물과 같으니
盛年不可棄 空床難獨守 융성한 나이 버릴 순 없고 빈 침상은 독수공방하기 어렵우며
宛宛楊柳枝 一一行人手 구불구불 버들개지의 가지 하나하나 떠나는 이의 손에 있네.
善事新夫壻 時時懷故人 잘 새로운 남편을 섬기더라도 이따금 옛 사람 생각해주시오.”
逸仙含淚說 此言何忍聞 일선이 눈물을 머금고 말하네. “이 말을 어찌 차마 들으리오?
同居二年餘 妾身猶君身 함께 지낸 지 2년여에 저의 몸은 그대의 몸이죠.
兩身雖可離 兩心不可分 두 몸은 비록 떨어질 수 있더라도 두 마음은 나눌 수 없지요.
竹死節不改 藕斷絲相連 대나무 고사해도 마디는 고치지 않고 연뿌리 끊어져도 실은 서로 이어져요.
啓我含貝齒 破我春蔥指 저의 깨끗한 이[각주:1]를 열어 저의 봄파 같은 손가락을 깨물어
滴我丹砂血 寫我香羅袂 저의 단사[각주:2]의 피를 떨구 저의 향기나는 비단 소매에 쓰겠어요.
妾心不可渝 血書不可滅 저의 마음 달라질 수 없고 혈서는 사라질 수 없네.’라고.”
逸仙不顰蹙 上舍爲嗚咽 일선은 찡그리질 않았는데 유생은 오열하네.
委委頭上髮 翦作同心結 차분하게 머리카락을 잘라 동심결[각주:3]을 만드네.
報爾千金意 纏綿無時歇 너의 천금 같은 마음 보답함에 애틋함 쉴 때가 있으리오.
喞喞復喞喞 此意難重陳 찌르찌르 다시 찌르찌르 풀벌레 우니 이 뜻 거듭 진술하기 어렵구려.”
生人作死別 行路亦悲辛 산 사람이 사별 같은 이별을 하노라니 떠나는 길이 또한 슬프고 괴롭네.
春山多蘼蕪 春海煙冥冥 봄산엔 많은 궁궁이풀 우거졌고 봄바다엔 안개 껴 어둑어둑하네.
朝亦望君行 暮亦望君行 아침에도 또한 낭군 떠난 길 바라보고 저녁에도 또한 낭군 떠난 길 바라보네.
望望不見君 佇立久彷徨 바라고 바라나 낭군 보이지 않아 우두커니 서서 오래도록 방황하네.

 

 

 

 

인용

전문

해설

 

 

  1. 함패(含貝): ① 조개를 물다 ② 깨끗한 이를 형용 [본문으로]
  2. 단사(丹砂): 연단(鍊丹)을 해서 단약(丹藥)을 만들어 내는 광물의 이름이다. 옛날 도사(道士)들은 단사를 원료로 하여 불로장생의 비약(祕藥)을 구워냈는데 이를 연단술(鍊丹術)ㆍ연금술(鍊金術)ㆍ점금지술(點金之術)이라고도 한다. 여러 가지 쇠붙이를 금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하였다. 본초(本草)에 의하면, "단사를 오래 먹은 자는 신명(神明)을 통하고 늙지 않으며 몸이 가벼워져 신선이 된다." 하였다. [본문으로]
  3. 동심결(同心結): 비단 띠[錦帶]로 두 고를 내고 양쪽에서 맞죄어 풀리지 않도록 굳게 매는 매듭인데, 여기에는 곧 부부간의 견정(堅貞)한 애정(愛情)을 부친 것이라 한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