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철학 삶을 만나다 - 프롤로그 본문

책/철학(哲學)

철학 삶을 만나다 - 프롤로그

건방진방랑자 2021. 6. 28. 08:06
728x90
반응형

 프롤로그

 

 

1. 사랑하는 것과 사랑을 문제 삼는 것

 

햇살이 따사롭지만 그리 덥지는 않은 초가을 날입니다. 한 쌍의 남녀가 카페에서 만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랑하는 사이입니다. 부드러운 카푸치노를 마시며, 그들은 잠시 감미롭게 흘러나오는 음악에 취해봅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여자가 진지한 얼굴로 남자에게 이야기합니다. “도대체 사랑이 뭘까? 아무리 생각해도 진짜 모르겠어. 그런데도 나는 전화를 끊기 전에, 집앞에서 헤어질 때 너한테 사랑한다고 말하거든, 내 생각엔 나만 그런 게 아니라 너도 그런 것 같아. 사랑이 뭔지 잘 모르면서 우리는 습관적으로 사랑한다고 말하고 있는 게 아닐까?” 음악에 취해 있던 남자는 갑작스런 애인의 의문에 얼굴을 붉히며 대답합니다. “아니, 너 왜 그래? 너 지금 무슨 말을 하려는 거야. 혹시 이제 나한테 싫증이 나서 그런 소릴 하는 거야?”

 

여러분의 애인이 혹 진지한 얼굴로 사랑이 뭔지 모르겠다고 이야기한 적은 없었나요? 이럴 때 우리의 반응은 대개 방금 살펴본 이 남자의 경우와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왜 우리는 사랑이 뭔지 모르겠다는 애인의 말에 이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걸까요? 그건 아마도 우리가 자명하다고 생각한 것을 애인이 문제 삼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랑이란 친숙하고 밀접한 관계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사랑을 문제 삼고 있는 애인은 지금 나와의 친숙한 관계를 의심하는 것, 다시 말해 나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쉽습니다. 그러나 애인이 나를 사랑하는 것과 사랑을 문제 삼고 있는 것은 사실 별개의 문제입니다. 분명 애인은 나를 사랑하고 있습니다. 단지 애인은 사랑한다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를 음미하고 싶을 뿐입니다. 어떤 것을 제대로 보려면, 그것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보아야 사물도 제대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애인이 사랑이 뭘까?”라고 질문할 때, 우리는 마치 신성불가침한 사랑이 침해되는 것처럼 느끼게 되고, 이어서 곧 불편함과 당혹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이런 질문에 대답하지 못한다면, 우리의 사랑은 맹목적인 사랑에 불과할 것입니다. 결국 맹목적인 사랑, 일순간의 열정과도 같은 사랑을 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에게는 사랑에 거리를 두고 사랑을 낯설게 만들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자명한 것을 문제 삼는 것은 자명한 것에 거리를 두는작업이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낯설게 만드는작업이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철학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철학적 사유란 다른 무엇보다도 먼저 삶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자명한 것들을 낯설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랑을 음미하려는 애인에게서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우리는 철학적 사유 앞에서 당혹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있습니다.

 

즉 어떤 것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그것에 거리를 두어야 하는 것처럼, 삶을 제대로 영위하기 위해서는 철학적 사유를 통해 삶을 낯설게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일러스트 - 사비연필

 

 

2. 헤어진 후에야 알게 되는 뒤늦은 깨달음

 

어떤 사람을 사랑하는 것 이외에도 우리의 삶은 너무나 많은 자명한 것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단히 나열해보도록 하죠.

 

부모님께 효도하기, 부모님께 혼나기, 피곤해서 일찍 귀가하기,

외출하기 전에 화장하기, 설거지하기, 홈페이지 관리하기,

메일 확인하기. 친구와 전화하기, 영어 공부하기,

스포츠에 열광하기, 유명 연예인 좋아하기, 이별에 슬퍼하기,

친구들과 술 마시기, 외박하기, 친구들과 여행하기,

산에 오르기, 나이든 사람에게 자리 양보하기, 영화 보기,

음악 듣기, 독서하기, 시험공부하기, 시험 보기, 직장 다니기,

아르바이트하기, 월급 타기, 쇼핑하기, 저축하기, 휴가 떠나기,

군대 가기, 예비군 훈련받기, 결혼하기, 아이 낳기,

아이 야단치기, 투표에 참여하기, 반상회에 나가기,

친구 결혼식 가기, 돌잔치 가기, 문상 가기, 유해 화장하기,

제사에 참여하기, 명절에 친지들 방문하기 등등.

 

철학은 다른 것이 아니라 이런 모든 자명한 것들을 낯설게 만들고 그 의미를 다시 물어 보는 것입니다.

 

음미되지 않은 삶은 맹목(盲目)적인 삶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철학은 풍성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문이 들지 않습니까? 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을 낯설게 만들어야만할까요? 그냥 살던 대로 살아가면 되지 않을까요? 그냥 살기도 바쁜데 삶에 거리를 두고 또 삶을 음미한다는 것은 너무 사치스러운 일이 아닐까요? 사실 삶을 낯설게 만든다고 해도 별 뾰족한 해법이 나오지 않을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의문을 갖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고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사랑에 빠진 사람이 사랑이란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진다고 해서, 뭐 별다른 대답이 나올 리 만무하다는 것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을 구성하는 많은 자명한 것들을 우리가 문제 삼아야만 한다면 그 이유는 과연 어디에 있을까요?

 

그것은 바로 우리의 삶 자체가 항상 낯설어지는 그 무엇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삶을 낯설게 만들어야만하는 이유는 우리의 삶 자체가 이미 우리로부터 낯설어지는 그 무엇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보죠. 자기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너무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질 수밖에 없는 경우가 우리를 찾아오기 마련입니다. 그 사람이 다른 사람을 사랑하게 되어서, 아니면 그가 먼 곳으로 불가피하게 떠나게 되어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혹은 그 사람이 불의의 사고나 질병으로 먼저 이 세상을 떠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사랑이란 무엇일까?’ 혹은 그 사람은 나에게 어떤 사람일까?’라고 미리 반문해보지 않았던 사람이라도 이런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한 후 회한에 가득 차서 사랑에 대해 반문해보는 것은 너무 때늦은 일이 아닐까요? 우리는 사랑의 가치와 그 의미에 대해 한번쯤 반문해보았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점이 바로 우리에게 철학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철학적 사유란 미리 삶을 낯설게 만드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 시인의 책 제목이 생각나는군요.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사랑한다고 생각했던 사람과 이별할 경우 보통 우리의 마음은 너무나 쓰라리게 마련입니다. 그런데 막상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졌는데 우리의 마음에 별다른 감흥이 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상대를 사랑했다는 나의 생각이 하나의 착각이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 역으로 단순히 아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사람과 이별했는데 놀랍게도 나의 마음이 깊은 비탄(悲嘆)에 잠길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헤어진 사람이 단순히 내가 알던 많은 사람들 중의 한 명이 아니라, 나에게 특별한 사람이었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어느 경우든 우리는 한탄에 젖어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내가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이 말처럼 철학과 삶의 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내주는 것은 없을 것입니다.

 

 

일러스트 - 이우의 "이별까지는 생각하지 못했어"

 

 

3. 삶엔 철학의 차가움을, 철학엔 삶의 따뜻함을

 

작지만 많은 자명한 것들로 우리의 삶은 영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의 삶은 항상 예기치 않은 사건들로 인해 낯설어지기 마련입니다. 우리가 철학을 필요로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삶을 낯설게 돌아보도록 만드는 불가피한 사태가 도래하기 전에, 철학적 사유를 통해 우리는 미리 삶에 낯설어지는 방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철학은 우리에게 내가 나중에 알게 될 것을 지금 알 수 있게해주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 철학적 사유가 우리에게 불편함과 당혹감을 준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불편함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살아가면서 훗날 직면하게 될 불편함과 당혹감에 비한다면, 철학적 사유가 주는 불편함과 당혹감은 사실 매우 적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점에서 철학적 사유란, 다시 반복되지 않을 소중한 삶을 후회 없이 살겠다는 우리의 의지와 결단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는 우리의 삶을 너무 평범하고 가벼운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또 우리는 철학을 너무 현학적이고 어려운 학문, 나의 삶과는 전적으로 무관한 이상적인 이야기 정도로 치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현재 우리는 삶을 철학적으로 사유하지 못하고 있고, 철학을 삶에 입각해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삶은 철학으로부터, 혹은 철학은 삶으로부터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 삶의 대부분에서 삶과 철학은 서로 만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기만 한 일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삶 자체는 본성상 철학적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역으로 철학이란 것 역시 우리의 삶 자체를 떠나서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입니다. 칸트(I. Kant, 1724~1804)의 용어를 빌려서 말해봅시다. 철학이 없는 삶이 맹목이라면 삶이 없는 철학은 공허한 것에 지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책을 쓴 이유도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 책을 통해 저는 삶에 철학의 차가움을 제공하고, 철학에 삶의 따뜻함을 부여하고 싶습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1부는 철학적 사유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사유해야 철학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래서 제1부는 제목 그대로 철학적 사유의 비밀을 누설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1부를 통해 우리는 철학이 그렇게 어렵거나 난해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삶을 영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다음으로 제2부는 우리가 친숙하게 느끼는 중요한 몇 가지 것들을 낯설게 만듭니다. 2부에서 우리는 우리가 자명한 것이라고 생각해온 네 가지 테마, 사랑’, ‘가족’, ‘국가’, ‘자본주의를 낯설게 바라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이 네 가지 테마는 현재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것들이고, 그 때문에라도 철학적으로 반드시 음미되어야만 할 주제들입니다. 마지막으로 제3부는 우리의 구체적인 삶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부분입니다. 3부를 통해서 우리는 마음의 고통을 치유하는 방법, 즐거운 주체로서 삶을 영위하는 방법, 그리고 타자와 관계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1 철학적 사유의 비밀을 누설
2 사랑’, ‘가족’, ‘국가’, ‘자본주의낯설게 보기
3 마음 치유법, 주체로 서는 법, 타자와의 관계법

 

 

이 책이 여러분이 삶을 철학적으로 음미하고 이를 통해서 더욱더 풍성하고 윤택한 삶을 영위하는 데 조그마한 힘이라도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제 삶과 철학이 만나는 구체적인 자리로 여러분을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