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나는 굳센 사람을 보질 못했다
子曰: “吾未見剛者.”
剛, 堅强不屈之意, 最人所難能者, 故夫子歎其未見.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焉, 於虔反.
○ 申棖, 弟子姓名. 慾, 多嗜慾也. 多嗜慾, 則不得爲剛矣.
○ 程子曰: “人有慾則無剛, 剛則不屈於慾.”
謝氏曰: “剛與慾正相反. 能勝物之謂剛, 故常伸於萬物之上; 爲物揜之謂慾, 故常屈於萬物之下. 自古有志者少, 無志者多, 宜夫子之未見也. 棖之慾不可知, 其爲人得非悻悻ㆍ自好者乎? 故或者疑以爲剛, 然不知此其所以爲慾爾.”
해석
子曰: “吾未見剛者.”
공자께서 “나는 강(剛)한 자를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剛, 堅强不屈之意,
강(剛)은 굳세고 강하여 굽히지 않는 뜻이니
最人所難能者,
사람으로 가장 행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故夫子歎其未見.
부자께서 보지 못했다고 탄식한 것이다.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그러자 어떤 이가 “신장입니다.”라고 말하자, 공자께서 “신장은 욕심에 따라 그리 한 것이니, 어찌 강(剛)하다 하겠는가?”라고 말씀하셨다.
焉, 於虔反.
○ 申棖, 弟子姓名.
신장은 공자 제자의 성과 이름이다.
慾, 多嗜慾也. 多嗜慾, 則不得爲剛矣.
욕(慾)은 기욕이 많은 것이다. 기욕이 많으면 굳셀 수가 없다.
○ 程子曰: “人有慾則無剛,
정이천이 말했다. “사람이 욕심이 많으면 굳세지 못하고,
剛則不屈於慾.”
굳세면 욕심에 꺾이지 않는다.”
謝氏曰: “剛與慾正相反.
사량좌(謝良佐)가 말했다. “강(剛)과 욕(慾)은 바로 상반되니
能勝物之謂剛, 故常伸於萬物之上;
사물을 이길 수 있음을 강(剛)이라 하기 때문에 항상 만물의 위에서 펴 있다.
爲物揜之謂慾, 故常屈於萬物之下.
물건에 가려지는 것을 욕(慾)이라 하기 때문에 항상 사물의 아래에 굽혀 있다.
自古有志者少, 無志者多,
예로부터 뜻이 있는 사람은 적었고 뜻이 없는 사람은 많았으니
宜夫子之未見也.
마땅히 부자께서 보지 못한 것이다.
棖之慾不可知,
신장의 욕심은 알 수 없으나
그 사람됨은 화를 잘 내며 지조 있는 사람은 아니었겠는가?
故或者疑以爲剛,
그렇기 때문에 어떤 이는 강(剛)이라 의심했던 것이지만,
然不知此其所以爲慾爾.”
이것이 욕심 됨은 보지 못했을 뿐이다.”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공야장 - 12. 성(性)과 천도(天道)를 거의 말하지 않던 공자 (0) | 2021.10.05 |
---|---|
논어 공야장 - 11. 남이 나에게 하지 않았으면 하는 일을 남에게 하지 않다 (0) | 2021.10.02 |
논어 공야장 - 9. 재아, 낮잠을 자다 (0) | 2021.10.01 |
논어 공야장 - 8. 자공과 안회, 둘 중에 누가 나은가? (0) | 2021.10.01 |
논어 공야장 - 7. 자로와 염구와 공서화는 인합니까? (0) | 2021.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