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 공손추 하 - 12. 맹자, 제나라를 3일 동안 지체한 후에야 떠나다 본문

고전/맹자

맹자 공손추 하 - 12. 맹자, 제나라를 3일 동안 지체한 후에야 떠나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18. 10:19
728x90
반응형

12. 맹자, 제나라를 3일 동안 지체한 후에야 떠나다

 

 

孟子. 尹士語人曰: “不識王之不可以爲湯武, 則是不明也; 識其不可, 然且至, 則是干澤也. 千里而見王, 不遇故去. 三宿而後出晝, 是何濡滯也? 則茲不悅.”

, 去聲.

尹士, 人也. , 求也. , 恩澤也. 濡滯, 遲留也.

 

高子以告.

高子, , 孟子弟子也.

 

: “尹士惡知予哉? 千里而見王, 是予所欲也; 不遇故去, 豈予所欲哉? 予不得已也.

, 音扶, 下同. , 平聲.

見王, 欲以行道也. 今道不行, 故不得已而去, 非本欲如此也.

 

予三宿而出晝, 於予心猶以爲速.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

所改必指一事而言, 然今不可考矣.

 

夫出晝而王不予追也, 予然後浩然有歸志. 予雖然, 豈舍王哉? 王由足用爲善. 王如用予, 則豈徒齊民安, 天下之民擧安. 王庶幾改之, 予日望之.

浩然, 如水之流不可止也.

氏曰: “王天資朴實, 好勇, 好貨, 好色, 好世俗之樂, 皆以直告而不隱於孟子, 故足以爲善. 若乃其心不然, 而謬爲大言以欺人, 是人終不可與入堯舜之道矣, 何善之能爲?”

 

予豈若是小丈夫然哉? 諫於其君而不受, 則怒, 悻悻然見於其面. 去則窮日之力而後宿哉?”

, 形頂反. , 音現.

悻悻, 怒意也. , 盡也.

 

尹士聞之曰: “誠小人也.”

此章見聖賢行道濟時, 汲汲之本心; 愛君澤民, 惓惓之餘意.

李氏曰: “於此見君子憂則違之之情, 荷蕢者所以爲果也.”

 

 

 

 

 

 

해석

孟子. 尹士語人曰: “不識王之不可以爲湯武, 則是不明也; 識其不可, 然且至, 則是干澤也.

맹자가 제나라를 떠났다. 윤사(尹士)가 사람에게 말했다. “임금이 탕과 무왕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몰랐다면 이것은 현실에 밝지 못한 것이고, 불가한 걸 알지만 그럼에도 왔다면 이것은 은택을 구걸하는 것이다.

, 去聲.

尹士, 人也. , 求也.

윤사는 제나라 사람이다. ()은 구하다란 뜻이다.

 

, 恩澤也.

()은 은택이다.

 

千里而見王, 不遇故去. 三宿而後出晝, 是何濡滯也? 則茲不悅.”

천리의 먼 길로 임금을 보러 왔다가 뜻이 맞지 않으면 떠나야 한다. 그런데 세 번 숙박한 후에 주읍을 떠났으니 어찌하여 지체하는 것인가? 나는 이게 즐겁지가 않다.”

濡滯, 遲留也.

유체(濡滯)는 지체하며 머문다는 말이다.

 

高子以告.

고자(高子)가 윤사(尹士)의 말로 고하였다.

高子, , 孟子弟子也.

고자 또한 제나라 사람으로 맹자의 제자다.

 

: “尹士惡知予哉? 千里而見王, 是予所欲也; 不遇故去, 豈予所欲哉? 予不得已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무릇 윤사(尹士)가 어찌 나를 알겠는가? 천리의 먼 길임에도 임금을 뵈러 온 것은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만나지 못해 떠나는 것은 어찌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이겠는가? 나는 부득이했던 것이다.

, 音扶, 下同. , 平聲.

見王, 欲以行道也.

임금을 뵈려는 건 도를 행하고자 해서다.

 

今道不行, 故不得已而去,

이제 도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부득이 떠나는 것이지,

 

非本欲如此也.

본래 이렇게 하고 싶었던 건 아니다.

 

予三宿而出晝, 於予心猶以爲速.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

나는 세 번 숙박하고 주읍을 나가면서도 내 마음은 오히려 빠르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임금이 잘못을 고치길 바랐으니 말이다. 임금이 만약 고치셨다면, 나를 돌아오라 하셨을 것이다.

所改必指一事而言,

고친다는 건 반드시 한 가지 일을 가리켜 말한 것이나

 

然今不可考矣.

이제는 상고할 수가 없다.

 

夫出晝而王不予追也, 予然後浩然有歸志. 予雖然, 豈舍王哉? 王由足用爲善. 王如用予, 則豈徒齊民安, 天下之民擧安. 王庶幾改之, 予日望之.

무릇 주를 나왔으나 임금이 나를 쫓아오지 않으시니, 나는 그제야 자연스레 떠날 생각을 굳혔다. 내가 비록 그러나 어찌 임금을 버리겠으리오? 임금은 오히려 넉넉히 선을 실천할 수 있다. 임금이 나를 등용하신다면 어찌 제나라 백성만 편해지겠는가, 천하의 백성이 모두 편안해질 것이다. 임금께서 고치시길 나는 날마다 그걸 바란다.

浩然, 如水之流不可止也.

호연(浩然)은 물이 흐르길 그만두지 않는 것과 같다.

 

氏曰: “王天資朴實,

양시(楊時)가 말했다. “제선왕의 선천적 자질은 질박하고 건실하여

 

好勇, 好貨, 好色, 好世俗之樂,

호용(好勇)과 호화(好貨)와 호색(好色)과 호세속지악(好世俗之樂)과 같은 것이

 

皆以直告而不隱於孟子, 故足以爲善.

다 직설적으로 말하였고 맹자에게 숨기지 않았기에 넉넉히 선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若乃其心不然, 而謬爲大言以欺人,

만약 그 마음이 그러하지 못하고 거짓으로 큰 소리를 내어 사람을 속인 것이라면

 

是人終不可與入堯舜之道矣,

이것은 사람이 마침내 요순의 도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니,

 

何善之能爲?”

어찌 선을 행동할 수 있겠는가?”

 

予豈若是小丈夫然哉? 諫於其君而不受, 則怒, 悻悻然見於其面. 去則窮日之力而後宿哉?”

내가 어찌 소갈딱지 장부[小丈夫]처럼 하겠는가? 임금에게 간하였으나 수용되지 않으면 화내며 얼굴에 붉어짐이 드러나, 떠남에 해 뜬 동안에 전심으로 걸어 해가 진 이후에 뻗겠는가?”

, 形頂反. , 音現.

悻悻, 怒意也. , 盡也.

행행(悻悻)은 성내는 뜻이다. ()은 다한다는 뜻이다.

 

尹士聞之曰: “誠小人也.”

윤사가 그 말을 듣고 제가 참으로 소인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此章見聖賢行道濟時, 汲汲之本心;

이 장에선 성현이 도를 행하고 시대를 구제하기를 급급하게 하는 본심과

 

愛君澤民, 惓惓之餘意.

임금을 아끼고 백성을 혜택을 베풂에 연연해하는 여유를 보여준다.

 

李氏曰: “於此見君子憂則違之之情,

이욱(李郁)이 말했다. “여기에선 군자의 근심하며 그를 멀리하는 정과

 

荷蕢者所以爲果也.”

삼태기를 매고 가되 과감히 하는 까닭을 볼 수 있다.”

 

 

인용

목차 / 전문 / 역주

삼천지교 / 생애 / 孟子題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