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비단옷에 갈포옷을 덧입는 이유
詩曰: “衣錦尙絅,” 惡其文之著也. 故君子之道, 闇然而日章; 小人之道, 的然而日亡.
前章言聖人之德, 極其盛矣. 此復自下學立心之始言之, 而下文又推之以至其極也.
詩, 國風[「衛碩人」ㆍ「鄭之丰」, 皆作“衣錦褧矣.” 褧, 絅同, 禪衣也. 尙, 加也. 古之學者爲己, 故其立心如此. 尙絅, 故闇然; 衣錦, 故有日章之實.
君子之道, 淡而不厭, 簡而文, 溫而理. 知遠之近, 知風之自, 知微之顯, 可與入德矣.
淡ㆍ簡ㆍ溫, 絅之襲於外也; 不厭而文且理焉, 錦之美在中也. 小人反是, 則暴於外而無實以繼之, 是以的然而日亡也. 遠之近, 見於彼者由於此也, 風之自, 著乎外者本乎內也. 微之顯, 有諸內者形諸外也. 有爲己之心, 而又知此三者, 則知所謹而可入德矣. 故下文引詩言謹獨之事.
해석
詩曰: “衣錦尙絅,” 惡其文之著也. 故君子之道, 闇然而日章; 小人之道, 的然而日亡.
시에 “비단옷을 입고 홑옷을 덧입었네.”라고 했으니, 문채가 드러나는 것을 싫어했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의 도는 어두운 듯하지만 날로 환히 드러나고 소인의 도는 환히 드러나는 듯하지만 날로 사라져 간다.
前章言聖人之德, 極其盛矣.
31장과 32장에서 성인의 덕을 말해 성대함을 극에 달하도록 했다.
此復自下學立心之始言之,
여기서는 다시 하학(下學)의 공부가 마음을 세우는 시작임을 말하였으니
而下文又推之以至其極也.
아랫 문장은 또한 그것을 미루어 그 극치에 이르게 한 것이다.
시는 국풍의 위풍(衛風) 「석인」과 정풍(鄭風)의 「봉」의 편이니,
皆作“衣錦褧矣.”
모두 ‘의금경의(衣錦褧矣)’으로 쓰여 있다.
褧, 絅同, 禪衣也.
경(褧)은 경(絅)과 같으니, 얇게 걸치는 옷이다.
尙, 加也.
상(尙)은 덧입는다는 것이다.
古之學者爲己, 故其立心如此.
옛날의 학자는 자기를 위하기 때문에 마음을 세움이 이와 같다.
尙絅, 故闇然;
홑옷을 덧입었기 때문에 어두운 듯하지만
衣錦, 故有日章之實.
비단옷을 안에 입었으니 날로 드러나는 실체가 있는 것이다.
君子之道, 淡而不厭, 簡而文, 溫而理. 知遠之近, 知風之自, 知微之顯, 可與入德矣.
군자의 도는 담백하지만 싫증나지 않고 간결하지만 문리가 갖춰져 있고 온화한 듯하지만 내면엔 이성적인 예리함 있고, 먼 것이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됨을 알고 바람이 시작되는 지점을 알며 작은 것이 드러난다는 것을 안다면, 더불어 덕에 들어갈 수 있다.
淡ㆍ簡ㆍ溫, 絅之襲於外也;
담박, 간결, 온화함은 홑옷을 겉에 껴입는다는 것이다.
不厭而文且理焉,
싫어하지 않음, 문리가 갖춰짐, 이성의 예리함은
錦之美在中也.
비단옷의 아름다움이 안에 있다는 것이다.
小人反是,
소인은 이와 반대되니
則暴於外而無實以繼之,
밖으로 드러나지만 실제가 없이 그것이 이어지니 때문에
是以的然而日亡也.
훤히 드러나는 듯하나 날마다 사라져 간다.
遠之近, 見於彼者由於此也,
원지근(遠之近)은 저기에 보이는 것이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란 거다.
風之自, 著乎外者本乎內也.
풍지자(風之自)는 외부로 드러난 것이 내부에 근본하고 있다는 것이다.
微之顯, 有諸內者形諸外也.
미지현(微之顯)은 안에 있으면 밖으로 노출된다는 것이다.
有爲己之心, 而又知此三者,
자신을 위하는 마음이 있고 또한 이 세 가지를 알면
則知所謹而可入德矣.
삼갈 것을 알아 덕에 들어갈 수 있다.
故下文引詩言謹獨之事.
그러므로 여러 문장에선 시를 인용하여 ‘신독(愼獨)’의 일을 말했다.
인용
'고전 > 대학&학기&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33장 - 3. 홀로 있을 때도 부끄럽지 않은 이 (0) | 2021.09.23 |
---|---|
중용 33장 - 2. 거대한 화면에 조그만 갈매기 (0) | 2021.09.23 |
중용 32장 - 천하의 지성(至誠)이어야 천하를 경륜할 수 있다 (0) | 2021.09.23 |
중용 31장 - 총명하고 예지할 수 있으려면 (0) | 2021.09.23 |
중용 30장 - 만물은 서로 자라고 각자를 인정하며 해치지 않는다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