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소화시평 상권 - 50. 정도전의 오호도시 본문

문집/소화시평

소화시평 상권 - 50. 정도전의 오호도시

건방진방랑자 2021. 10. 26. 13:49
728x90
반응형

 50. 정도전의 오호도시

 

 

三峯鄭道傳鳴呼島詩曰: ‘曉日出海赤, 直照孤島中. 夫子一片心, 正如此日同. 相去曠千載, 嗚呼感余衷. 手髮竪如竹, 凜凜吹英風.’

蓋欲壓倒陶隱, 而憤其不逮, 卒以此害之. 此與汝復作空梁落燕泥?’何異? 吁亦險矣!

 

 

 

 

해석

三峯鄭道傳鳴呼島詩曰: ‘曉日出海赤, 直照孤島中. 夫子一片心, 正如此日同. 相去曠千載, 嗚呼感余衷. 手髮竪如竹, 凜凜吹英風.’

삼봉 정도전의 오호도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曉日出海赤 直照孤島中 새벽 해 바다에서 나와 붉어졌고, 곧바로 외로운 섬을 비춘다.
夫子一片心 正如此日同 부자의 일편단심은 바로 이 해와 같구나.
相去曠千載 嗚呼感余衷 서로의 거리가 천 년이지만 아! 나의 마음을 느껍게 하네.
毛髮竪如竹 凛凛吹英風 머리가 대처럼 쭈뼛 서고 서늘하게 영풍이 휙 부는구나.

 

蓋欲壓倒陶隱, 而憤其不逮, 卒以此害之.

대체로 도은을 압도하려 했지만 도달하지 못함을 화내며 마침내 이 때문에 그를 해쳤다.

 

此與汝復作空梁落燕泥?’何異?

이것이 너가 다시 빈 대들보엔 제비가 진흙만 떨구네라는 시를 지을 수 있으랴?”라던 수 양제공량락연니(空梁落燕泥)’란 설도형(薛道衡)의 시구로, 부인이 독수공방하는 적막한 상황을 비유한 것이다. 수당가화(隋唐佳話)에 따르면, 양제는 글을 잘 지었지만 자기보다 나은 사람이 나오기를 바라지 않았다. 그런데 당시 사례(司隷)인 설도형이 어두운 창에는 거미줄만 걸려 있고, 텅 빈 들보에선 제비가 물어온 진흙만 떨어진다[暗牖懸蛛網 空梁落燕泥].”라는 시구를 지어 양제의 미움을 샀다. 훗날 양제는 어떤 일로 그를 주벌하면서 다시 공량락연니라고 지을 수 있겠느냐?”라고 하였다와 무에 다르랴!

 

吁亦險矣!

아 또한 간악하구나!

 

 

인용

목차 / 작가 / 서설

한시사 / 한시미학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