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서대문 형무소 - 2. 서대문 형무소와 독립 선언 본문

연재/여행 속에 답이 있다

서대문 형무소 - 2. 서대문 형무소와 독립 선언

건방진방랑자 2019. 10. 21. 15:26
728x90
반응형

2. 서대문 형무소와 독립 선언

 

 

서대문형무소는 중국 사신들이 한양으로 들어오던 길목인 의주로(義州路)에 설치된 감옥이다. 영은문(迎恩門, 황제의 은혜를 영접하는 문)이 헐리고 독립문이 세워졌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 독립은 진정한 독립이 아니었다. 우리에게 중화세계로부터의 독립선언은 일본의 강압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그건 일본의 의도가 숨겨있음을 알 수 있다.

 

 

▲  의주로는 조선시대에 주요 간선 도로 중 하나였다. 특히 중국 사신이 오던 길로 그들을 맞이하는 영은문이 있었고 모화관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조금은 특이한 강화도조약 제1

 

조선은 1876년에 최초의 근대조약을 맺는다. 지금 각 국가와 FTA를 체결하는 것처럼 조선은 주권을 가진 나라로 다른 나라와 동등한(?) 입장에서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그게 바로 조선 최초의 조약으로 일본과 맺은 강화도조약(朝日修好條規)이다. 강화도조약의 제1조는 여러모로 흥미롭다. “조선은 자주국으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라는 내용이 그것인데, 이 조약을 통해 조선의 독립을 일본이 제일 먼저 선언해 준 꼴이니 황당할 수밖에 없다.

 

 

제1조의 내용이 선명히 보인다. "조선국은 자주의 나라로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보유한다."

 

 

왜 강화도조약의 제1조가 황당한지는 그 뒤에 맺은 조약들의 제1조를 확인해보는 것만으로도 쉽게 알 수 있다. 임오군란의 여파로 맺어진 제물포조약(1882)의 제1조는 지금으로부터 20일을 기해 조선국은 흉도를 포획하고 수괴를 가려내 중벌로 다스릴 것이라는 내용이다. 구식군인들은 별기군 군인과의 차별에 항의하며 일본 공사관을 공격하고 별기군 대장인 호리모토를 살해하였다. 이에 일본은 조약을 통해 그런 일을 주도한 사람을 명백히 처벌하기를 바랐던 것이다. 제물포조약 제1조는 일본이 조선에 무엇을 원하는지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음을 볼 수 있다.

 

 

신식군인들을 대우 해주느라 구식군인은 봉급도 받지 못했다. 그러다 받은 쌀자루엔 모래가 한 가득 있었기에 그들은 들고 일어났다.

 

 

 

3일 천하로 끝난 갑신정변(1884) 후에 일본과 맺은 한성조약의 제1조는 또 어떤가? 1조는 조선국은 국서를 일본에 보내 사의(謝意)를 표명한다라는 내용이다. , 갑신정변으로 인해 일본이 입은 피해에 대해서 국왕이 직접 사과를 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조약의 내용을 시작하고 있다. 이렇게 제1조에서부터 확실히 조선의 잘못에 대해 언급한 후에 배상금 문제랄지, 공관 신축 문제랄지 하는 실제적인 문제를 얘기하고 있다.

 

1는 위의 조약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그 조약을 자기의 나라에게 유리하도록 전개하기 위한 도입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함에도 강화도조약만 유독 실질적인 내용을 담기보다 선언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니, 황당할 수밖에 없다.

 

 

 

서대문 형무소가 보여주는 조선 독립의 민낯

 

왜 일본은 조약을 맺으며 자기 나라에 유익한 것들을 제 1조에 배치하기보다 우리나라의 독립을 먼저 챙겨주고자 했던 것일까? 설마 이 당시 일본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정한론(征韓論)을 외치며 대동아공영(大東亞共榮)을 외치던 나라가 아니었던 것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 일본은 어디까지나 자국의 이익에 충실했을 뿐 한 번도 조선의 운명에 대해, 타국과 공존하는 것에 대해 고민해본 적이 없으니 말이다. 그래서 강화도조약 이후로 맺은 어떤 조약도 일본과 조선이 동등한 입장에서 맺어진 것은 없으며, 억압적인 상황에서 일본의 이익에 충실하도록 맺어졌다. 일본이 조선의 독립을 먼저 선언한 이유는 바로 중화세계라는 든든한 지원군을 떼어내고 맘대로 요리하기 위해서였던 셈이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문안보다 맥락이, 텍스트보다 콘텍스트가 더 중요한 게 바로 외교 분야다. 조선이 자주 국가라는 점을 명시했다는 것은 바로 그전까지 조선이 자주 국가가 아니었음을 뜻한다. 말할 것도 없이 조선은 전통적으로 중국의 속국이었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조선은 중국의 속국이 아니며, 따라서 중국은 조선에 대해 종주권이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물론 문안상으로는 좋은 말이다. 그러나 그 문안의 맥락을 해석하면 앞으로 일본이 조선을 어떻게 한다 해도 독립국이 독립국을 대하는 것이니까 중국을 포함해 어느 나라도 전혀 간섭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일본은 교묘하게 정한론의 근거를 만들어낸 것이다.

남경태, 종횡무진 한국사, 휴머니스트, 2015, PP 395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조선의 독립은 결코 한 나라의 자긍심을 세우는 차원의 접근이 아닌, 일본의 이익을 위해 강제적으로 끈 떨어진 뒤웅박신세로 만들기 위한 차원의 접근이었던 것이다.

 

독립국 지위에 맞게 영은문은 헐리고 독립문이 1897년에 세워졌고 그 후 10년이 지난 1907년에 한국통감부가 서대문형무소(당시 경성감옥)를 만들어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데 썼다.

 

이처럼 의주로 통하는 길목에 만들어진 감옥은 조선의 독립이 어떤 나라로부터 독립하여 어떤 나라의 간섭을 받게 되었는지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독립문과 영은문의 주초가 보인다. 프랑스 개선문 사진을 보고 서재필이 스케치하여 탄생한 문이다. 조선의 독립은 복잡한 속내가 있다.

 

 

 

인용

목차

사진

여행기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