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 공손추 상 - 4. 천재(天災)는 피할 수 있으나, 인재(人災)는 피할 수 없다 본문

고전/맹자

맹자 공손추 상 - 4. 천재(天災)는 피할 수 있으나, 인재(人災)는 피할 수 없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17. 07:20
728x90
반응형

 4. 천재(天災)는 피할 수 있으나, 인재(人災)는 피할 수 없다

 

 

孟子: “仁則榮, 不仁則辱. 今惡辱而居不仁, 是猶惡溼而居下也.

, 去聲, 下同.

好榮惡辱, 人之常情. 然徒惡之而不去其得之之道, 不能免也.

 

如惡之, 莫如貴德而尊士, 賢者在位, 能者在職. 國家閒暇, 及是時明其政刑. 雖大國, 必畏之矣.

, 音閑.

此因其惡辱之情, 而進之以强仁之事也. 貴德, 猶尙德也. , 則指其人而言之. , 有德者, 使之在位, 則足以正君而善俗. , 有才者, 使之在職, 則足以修政而立事. 國家閒暇, 可以有爲之時也. 詳味及字, 則惟日不足之意可見矣.

 

: ‘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此下民, 或敢侮予?’

, 直列反. , 音杜. , 音稠. , 武彪反.

○ 『豳風鴟鴞之篇, 周公之所作也. , 及也. , 取也. 桑土, 桑根之皮也. 綢繆, 纏緜補葺也. 牖戶, 巢之通氣出入處也. , 鳥自謂也.

言我之備患詳密如此, 今此在下之人, 或敢有侮予者乎? 周公以鳥之爲巢如此, 比君之爲國, 亦當思患而預防之.

 

孔子: ‘爲此詩者, 其知道乎!’ 能治其國家, 誰敢侮之?

孔子讀而贊之, 以爲知道也.

 

今國家閒暇, 及是時般樂怠敖, 是自求禍也.

, 音盤. , 音洛. , 音傲.

言其縱欲偸安, 亦惟日不足也.

 

禍褔無不自己求之者.

結上文之意.

 

: ‘永言配命, 自求多褔.’

大雅文王之篇. , 長也. , 猶念也. , 合也. , 天命也. 此言褔之自己求者.

 

太甲: ‘天作孽, 猶可違; 自作孽, 不可活.’ 此之謂也.”

, 魚列反.

○ 「太甲, 商書篇名. , 禍也. , 避也. , 生也, 作逭. , 猶緩也. 此言禍之自己求者.

 

 

 

해석

孟子: “仁則榮, 不仁則辱. 今惡辱而居不仁, 是猶惡溼而居下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인하면 영예롭고 불인하면 치욕을 당한다. 지금 치욕당하는 걸 싫어하면서도 불인함에 머무는 것은 습한 것을 싫어하면서도 습한 곳에 있는 것과 같다.

, 去聲, 下同.

好榮惡辱, 人之常情. 然徒惡之而不去其得之之道, 不能免也.

영예로움을 좋아하고 치욕스러움을 싫어하는 것은 인지상정(人之常情)이지만 그러나 다만 그것을 싫어하면서도, 그것을 얻는 방법을 버리지 않는다면, 재앙을 면할 수가 없다.

 

如惡之, 莫如貴德而尊士, 賢者在位, 能者在職. 國家閒暇, 及是時明其政刑. 雖大國, 必畏之矣.

그것을 미워한다면 덕이 있는 이를 귀하게 대접하고 선비를 존중하는 것만 같은 게 없으니, 어진 이가 지위를 가지도록 하고 능력 있는 이가 직업이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런 후에 국가가 안정이 되어 한가로워지면 이때에 정치와 처벌을 분명히 하면 된다. 그렇게만 되면 비록 큰 나라더라도 반드시 이런 나라를 두려워한다.

, 音閑.

此因其惡辱之情, 而進之以强仁之事也.

여기선 치욕스러움을 미워하는 정을 인하여 인을 힘쓰는 일에 나아가도록 하였다.

 

貴德, 猶尙德也. , 則指其人而言之.

귀덕(貴德)은 덕을 숭상하는 것이다. ()란 덕이 있는 사람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 有德者, 使之在位, 則足以正君而善俗.

()은 덕이 있는 이로 그가 지위에 있게 되면 임금을 바르게 하고 풍속을 선히 할 수 있다.

 

, 有才者, 使之在職, 則足以修政而立事.

()이란 재능이 있는 이로 그가 벼슬을 가지면 정사를 닦고 일을 수립할 수 있다.

 

國家閒暇, 可以有爲之時也.

국가가 한가하다는 것은 유위(有爲)를 할 수 있을 때를 말한다.

 

詳味及字, 則惟日不足之意可見矣.

자세히 ()’이란 글자를 음미해보면 오히려 날이 부족하다는 뜻임을 볼 수 있다.

 

: ‘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此下民, 或敢侮予?’

시경에 날짐승인 새가 하늘에 아직 비가 오지 않을 때에 저 뽕나무 뿌리를 모아 둥지의 빈 곳을 얽어 보강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지금 저 아래의 인간들이 혹 어찌 감히 나를 모욕하리오.’라고 말했다는 시가 쓰여 있다.

, 直列反. , 音杜. , 音稠. , 武彪反.

○ 『豳風鴟鴞之篇, 周公之所作也.

시경의 빈풍 치효의 편이니, 주공이 지은 것이다.

 

, 及也. , 取也. 桑土, 桑根之皮也. 綢繆, 纏緜補葺也.

()는 이른다는 뜻이다. ()은 취한다는 뜻이다. 상두(桑土)는 뽕나무 뿌리의 겉껍질을 말한다. 주무(綢繆)는 묶고 얽음으로 보강한다는 뜻이다.

 

牖戶, 巢之通氣出入處也. , 鳥自謂也.

유호(牖戶)는 둥지에서 기가 통하는 곳이며, 새가 출입하는 곳을 말한다. ()란 새 자신을 말한다.

 

言我之備患詳密如此, 今此在下之人, 或敢有侮予者乎?

내가 환란을 대비하기를 상세하고 치밀함이 이와 같으니 지금 밑에 있는 인간들이 감히 나를 모욕할 수 있겠는가?’라는 뜻이다.

 

周公以鳥之爲巢如此, 比君之爲國, 亦當思患而預防之.

주공은 새가 둥지를 틂이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임금이 나라를 다스림을 비유했으니, 또한 마땅히 환란을 생각하여 그것을 예방해야 한다.

 

孔子: ‘爲此詩者, 其知道乎!’ 能治其國家, 誰敢侮之?

공자께서 그 시를 보시고 이 시를 지은 이는 도를 아는 구나!’라고 말씀하셨다. 둥지를 지키는 마음으로 국가를 다스린다면, 누가 감히 모욕할 수 있겠는가?

孔子讀而贊之, 以爲知道也.

공자가 읽으시고 찬미했으니, 도를 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今國家閒暇, 及是時般樂怠敖, 是自求禍也.

지금은 국가가 한가로워지면 이때에 이르러 신나게 놀기를 좋아하고, 게으르며, 거만하기만 하니, 이것이야말로 스스로 재앙을 불러들이는 것이다.

, 音盤. , 音洛. , 音傲.

言其縱欲偸安, 亦惟日不足也.

그 욕심을 따르고 편안함만을 훔치려하면 또한 날이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禍褔無不自己求之者.

재앙과 복은 자기로부터 그것을 구하지 않음이 없다.

結上文之意.

윗 문장의 뜻을 완결 지었다.

 

: ‘永言配命, 自求多褔.’

시경길이 천명에 짝할 것을 생각하니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한다라고 쓰여 있고,

大雅文王之篇.

시경의 대아 문왕의 편이다.

 

, 長也. , 猶念也. , 合也. , 天命也.

()은 길다는 뜻이다. ()은 생각한다는 뜻이다. ()는 합한다는 뜻이다. ()은 천명이란 뜻이다.

 

此言褔之自己求者.

여기서는 복은 자기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말한 것이다.

 

太甲: ‘天作孽, 猶可違; 自作孽, 不可活.’ 此之謂也.”

태갑하늘이 지은 재앙은 오히려 피할 수 있지만, 스스로 지은 재앙은 살아나갈 방도가 없다.’라고 했으니,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 魚列反.

○ 「太甲, 商書篇名.

태갑상서의 편명이다.

 

, 禍也. , 避也.

()은 재앙이란 뜻이다. ()는 피한다는 뜻이다.

 

, 生也, 作逭. , 猶緩也.

()은 산다는 뜻이니, 서경에선 환()으로 쓰여 있고 이건 더디게 한다는 뜻이다.

 

此言禍之自己求者.

여기선 재앙은 자기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말했다.

 

 

인용

목차 / 전문 / 역주

삼천지교 / 생애 / 孟子題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