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③ 조선적 당풍과 조선적 송풍
1. 조선적 당풍의 한계
1) 16세기 후반부터 거의 대부분의 시인이 목표로 삼았던 것은 당시(唐詩)와 비슷해 보이려는 것이었음.
2) 송풍(宋風)의 난삽함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부여할 수는 있지만 우리 한시만의 특질을 보여주는 데는 이르지 못함.
2. 조선적 송풍(宋風)의 차이점
1) 소재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조선의 풍물과 세태를 구체적으로 담아낸 것은 송풍으로 제작된 한시였다.
2) 고려말 이색(李穡)은 고려의 언어와 풍속을 수용하여 중국인들이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시를 제작한 적이 있다.
3) 노수신(盧守愼) 역시 조선의 지명과 관명 등을 적극 시어로 끌어들여 중국 시와 다른 면모를 보임.
4) 조선적인 소재나 시어를 사용하여 특질을 구현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중국 한시보다 무엇이 나은 지에 대한 답이 되지 못함.
5) 한문으로 시를 지어야 하기에 출발부터 불리한 싸움이고, 자연스러운 감정의 유로와 아름다운 소리의 울림을 지향하는 당풍보다 머리로 짜내는 기발한 표현이 우리 시인이 잘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음.
6) 우리 한시 중 높은 평가를 받는 것도 저들에겐 울림이 부족하다고 폄하를 받음.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