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색李穡: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본문

한문놀이터/인물지도

이색李穡: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건방진방랑자 2019. 1. 16. 02:23
728x90
반응형

이색李穡: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

 

1328   59일 영해의 외가에서 출생, 이듬해 한산으로 귀향.
1333 6 부친 가정(稼亭)이 원의 제과(制科)에 급제.
1341 14 강화도 교동 화개산에서 독서. 가을 성균관시에 합격.
1343 16 5, 별장(別將)에 보임됨. 성균관의 구재도회(九齋都會)에 나감.
1344 17 7, 양진재기(養眞齋記)지음. 삼각산ㆍ감악산ㆍ청룡산 등지에서 독서. 동당(東堂)에 나가 과거에 응시.
1347 20 원의 벽옹(辟雍) 학영(學營)에 들어가 우문자정(宇文子貞)에게 주역을 배움.
1348 21 원의 학자감(學子監) 생원이 됨.
1350 23 가을, 원에서 귀향. 부벽루(浮碧樓)등의 시를 지음. 12월 다시 원에 가서 공부하기 위해 개경에서 출발함.
1351 24 1, 연경의 학자감에 재입학함. 130, 부친의 부고를 듣고 귀국함.
1352 25 4, 진사로서 시정(時政)에 관한 개혁안을 상소함.
1353 26 부친의 3년상을 마침. 5, 과거 명경과에 수석으로 합격. 9, 정동성(征東省) 향시에 제1위로 급제하여 서장관이 되어 원에 감.
1354 27 원에서 실시한 전시에서 제이갑(第二甲) 2등으로 급제. 3, 고려로 귀국.
1355 28 다시 서장관이 되어 원의 연경으로 감. 원에서 한림원권경력(翰林院權經歷)에 재임.
1356 29 원의 혼란을 확인하고 귀국, 곧 시정에 관한 입장을 상소함.
1361 34 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을 모시고 안동으로 피난.
1362 35 왕과 함께 상주로 갔다가 청주로 옮김.
1363 36 왕을 모시고 개경으로 돌아옴. 홍건적으로 인한 파천(播遷)으로 국왕 호종(扈從)1등 공신이 됨.
1364 37 가정문집(稼亭文集)을 간행.
1365 38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윤소종 등 28인을 급제시킴.
1366 39 신돈을 탄핵하다 왕의 노여움을 산 간관 정추와 이존오를 구해 줌.
1367 40 이제현을 문상. 광정대부(匡靖大夫) 밀직사사(密直司事)의 직함을 받음.
1375 48 선친의 뜻에 따라 대장경(大藏經)을 완성하자 우왕이 향을 내림.
1380 53 이성계의 황산대첩을 치하하는 시를 지음.
1383 56 판삼사사(判三司事)의 직함을 받고 복직.
1384 57 병을 이유로 관직 사직.
1385 58 지공거가 되어 책문(策問)을 제시하는 한편 금지조항을 엄격히 세워 20세 미만인 자의 응시자격을 제한함.
1388 61 이성계 위화도 회군. 연하정사(年賀正使)가 되어 명에 가서 고려 자제의 국자감 입학을 요청.
1389 62 명에서 귀국. 이성계ㆍ조준 등이 건의한 사전 개혁안에 반대함. 문하시중을 사임. 이성계 일파의 탄핵으로 아들 종학과 함께 파직됨.
1390 63 대간들의 탄핵을 받고 함창으로 유배됨. 청주 감옥으로 이송되어 신문받다가 유배지 함창으로 복귀됨.
1391 64 정도전이 목은과 우현보의 사형을 청함.
1392 65 사헌부ㆍ사간원에서 목은을 탄핵, 한주로 추방됨. 조선이 개국되고 교서에 의해 유배가 해배되어 서인이 되어 한산으로 돌아옴.
1393 66 사면되어 편한 곳에 살도록 허락받음.
1395 68 여주 여강 신륵사에서 피서. 관동을 유람하고 오대산에 머묾. 태조가 목은을 위해 잔치를 베풀어줌.
1396 69 여주 신륵사에서 사망. 태조가 사신을 보내 조문함.

 

평가

1. 이제현에게 글을 배웠고 문하에는 권근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맥을 열음.

2. 야은(冶隱) 길재(吉再),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림.

3. 목은시고(牧隱詩稿), 목은문고(牧隱文藁)가 있다.

 

  

여일일 우사유예지훈

予一日 偶思游藝之訓

부벽루

浮碧樓

입근대명전

入覲大明殿

즉사

卽事

금기서화

琴棋書畫

종동정구리

從東亭求梨

신흥

晨興

팔월초십일

八月初十日

여흥청심루제차운

驪興淸心樓題次韻

억산중

憶山中

팔월초십일

八月初十日

제종손시권

題宗孫詩卷

제서주성루

題西州城樓

유감

有感

관물

觀物

이랑가조향만두

二郞家朝餉饅頭

칠석우

七夕雨

잠부

蠶婦

한포농월

漢浦弄月

기동정

寄東亭

조행

早行

우음

偶吟

신흥즉사

晨興卽事

동정만애

洞庭晚靄

기사

紀事

견회

遣懷

독한사

讀漢史

한풍삼수 여엽공소동부

寒風三首 與葉孔昭同賦

대국유감

對菊有感

유거

幽居

 

 

설곡시고서

雪谷詩藳序

기기

記棋

류사정기

流沙亭記

급암시집서

及菴詩集序

선수집서

選粹集序

서경풍월루기

西京風月樓記

둔촌기

遁村記

양촌기

陽村記

육우당기

六友堂記

적암기

寂菴記

징천헌기

澄泉軒記

가명설

可明說

지현설

之顯說

호연설

浩然說

답문

答問

사변

辭辨

관어대소부

觀魚臺小賦

 

문학통사

한시사

 

 

 

 

 

 

인용

안내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