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색李穡: 1328(충숙왕 15)~1396(태조 5)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임
1328년 | 5월 9일 영해의 외가에서 출생, 이듬해 한산으로 귀향. | |
1333년 | 6세 | 부친 가정(稼亭)이 원의 제과(制科)에 급제. |
1341년 | 14세 | 강화도 교동 화개산에서 독서. 가을 성균관시에 합격. |
1343년 | 16세 | 5월, 별장(別將)에 보임됨. 성균관의 구재도회(九齋都會)에 나감. |
1344년 | 17세 | 7월, 「양진재기(養眞齋記)」 지음. 삼각산ㆍ감악산ㆍ청룡산 등지에서 독서. 동당(東堂)에 나가 과거에 응시. |
1347년 | 20세 | 원의 벽옹(辟雍) 학영(學營)에 들어가 우문자정(宇文子貞)에게 주역을 배움. |
1348년 | 21세 | 원의 학자감(學子監) 생원이 됨. |
1350년 | 23세 | 가을, 원에서 귀향. 「부벽루(浮碧樓)」 등의 시를 지음. 12월 다시 원에 가서 공부하기 위해 개경에서 출발함. |
1351년 | 24세 | 1월, 연경의 학자감에 재입학함. 1월 30일, 부친의 부고를 듣고 귀국함. |
1352년 | 25세 | 4월, 진사로서 시정(時政)에 관한 개혁안을 상소함. |
1353년 | 26세 | 부친의 3년상을 마침. 5월, 과거 명경과에 수석으로 합격. 9월, 정동성(征東省) 향시에 제1위로 급제하여 서장관이 되어 원에 감. |
1354년 | 27세 | 원에서 실시한 전시에서 제이갑(第二甲) 2등으로 급제. 3월, 고려로 귀국. |
1355년 | 28세 | 다시 서장관이 되어 원의 연경으로 감. 원에서 한림원권경력(翰林院權經歷)에 재임. |
1356년 | 29세 | 원의 혼란을 확인하고 귀국, 곧 시정에 관한 입장을 상소함. |
1361년 | 34세 | 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을 모시고 안동으로 피난. |
1362년 | 35세 | 왕과 함께 상주로 갔다가 청주로 옮김. |
1363년 | 36세 | 왕을 모시고 개경으로 돌아옴. 홍건적으로 인한 파천(播遷)으로 국왕 호종(扈從)의 1등 공신이 됨. |
1364년 | 37세 | 『가정문집(稼亭文集)』을 간행. |
1365년 | 38세 |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윤소종 등 28인을 급제시킴. |
1366년 | 39세 | 신돈을 탄핵하다 왕의 노여움을 산 간관 정추와 이존오를 구해 줌. |
1367년 | 40세 | 이제현을 문상. 광정대부(匡靖大夫) 밀직사사(密直司事)의 직함을 받음. |
1375년 | 48세 | 선친의 뜻에 따라 『대장경(大藏經)』을 완성하자 우왕이 향을 내림. |
1380년 | 53세 | 이성계의 황산대첩을 치하하는 시를 지음. |
1383년 | 56세 | 판삼사사(判三司事)의 직함을 받고 복직. |
1384년 | 57세 | 병을 이유로 관직 사직. |
1385년 | 58세 | 지공거가 되어 책문(策問)을 제시하는 한편 금지조항을 엄격히 세워 20세 미만인 자의 응시자격을 제한함. |
1388년 | 61세 | 이성계 위화도 회군. 연하정사(年賀正使)가 되어 명에 가서 고려 자제의 국자감 입학을 요청. |
1389년 | 62세 | 명에서 귀국. 이성계ㆍ조준 등이 건의한 사전 개혁안에 반대함. 문하시중을 사임. 이성계 일파의 탄핵으로 아들 종학과 함께 파직됨. |
1390년 | 63세 | 대간들의 탄핵을 받고 함창으로 유배됨. 청주 감옥으로 이송되어 신문받다가 유배지 함창으로 복귀됨. |
1391년 | 64세 | 정도전이 목은과 우현보의 사형을 청함. |
1392년 | 65세 | 사헌부ㆍ사간원에서 목은을 탄핵, 한주로 추방됨. 조선이 개국되고 교서에 의해 유배가 해배되어 서인이 되어 한산으로 돌아옴. |
1393년 | 66세 | 사면되어 편한 곳에 살도록 허락받음. |
1395년 | 68세 | 여주 여강 신륵사에서 피서. 관동을 유람하고 오대산에 머묾. 태조가 목은을 위해 잔치를 베풀어줌. |
1396년 | 69세 | 여주 신륵사에서 사망. 태조가 사신을 보내 조문함. |
평가
1. 이제현에게 글을 배웠고 문하에는 권근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맥을 열음.
2. 야은(冶隱) 길재(吉再),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함께 삼은(三隱)으로 불림.
3. 『목은시고(牧隱詩稿)』, 『목은문고(牧隱文藁)』가 있다.
| |
| |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인물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도전鄭道傳: 1342(충혜왕 3)~1398(태조 7) (0) | 2019.01.16 |
---|---|
정몽주鄭夢周: 1337(충숙왕 복위6)~1392(공양왕 4) (0) | 2019.01.16 |
정포鄭誧: 1309(충선왕 1)~1345(충목왕 1) (0) | 2019.01.16 |
이곡李穀: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0) | 2019.01.16 |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4)~1367(공민왕 16)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