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박순철,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4. 결론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박순철,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4. 결론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03:53
728x90
반응형

 4. 결론

 

 

한국시화에 기록된 중국문인과 시에 관련된 내용은 양과 질적인 면에서 대단한 수준이다. 한국시화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중국시와 관련된 총론, 시론, 풍격, 시의, 자구의 오류 등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시화에는 거의 동시대의 중국의 유명 시화의 내용을 직접 인용하고 혹은 중국문인의 시나 시구를 들어 비평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한국의 문인들이 중국시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 내용을 잘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국시의 주석에 대하여 그 정오(正誤)를 논할 만큼 시 해석에 있어서 대단히 정확하고 치밀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시화의 내용 중에서 당시와 송시에 대한 평론을 중심으로 존당과 존송의 내용과 각각의 시대를 대표하는 이백, 두보와 소식, 황정견에 대한 평론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는 일찍이 명대(明代)에 당시(唐詩)와 송시(宋詩)의 논쟁이 있었고 청대(淸代)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종당파와 종송파의 논쟁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고려후기와 조선전기까지는 존송시대였고 조선중기부터는 존당시기였다고 할 수 있는데 중국처럼 유파를 형성하지는 못했으나 존당과 존송으로 나눠져 그 평론을 전개하였다.

 

존당파는 당시(唐詩)에 대하여 성정과 흥기, 자연스러움을 높이 평가하였고, 이백의 성정과 두보의 조탁미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백보다는 두보를 좀 더 높이 평가는 특징을 드러냈다. 반면에 소식 시의 산문화와 황정견의 습작에 대하여는 비평하였다.

 

존송파는 송시의 학문을 바탕으로 한 의론과 용사, 전고의 정확한 활용, 조어(造語)와 련자(鍊字) 등을 높이 평가하고 황정견보다는 소식을 좀 더 높이 평가하였다.

 

존당파와 존송파의 비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존송파의 당시(唐詩)에 대한 관점인데 비록 존송파일지라도 성당의 두보를 최고로 인정한 상태에서 송시의 뛰어남을 인정하고 존송의 입장을 견지하였다는 사실이다. 존송의 입장은 김창협(金昌協)과 이의현(李宜顯)이 말한 것처럼 만당(晩唐)의 시()보다는 송시(宋詩)가 뛰어나고 당시(唐詩) 전체와 비교할 때는 송시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점이 있다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존당파는 소식과 황정견에 대하여 의론과 전고의 다용을 지적하여 시가 산문화됨으로써 함축미가 줄어들었다고 비평하였고, 존송파는 성당의 시를 대표하는 이백과 두보 중 두보를 더 인정하면서 존당파보다 두보의 조탁과 용사에 대하여 더욱 주목하고 높은 평가를 하였다. 이는 시가 발전상 상보적 발전의 한 형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당시(唐詩)의 우수성을 수용하면서도 송시(宋詩)의 발전을 도모하는 과정 속에서 송시 발전의 한 규범으로 두보 시를 더욱 주목하여 배움으로써 송시의 특색을 드러내어 존당과 존송이라는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큼 시의 새로운 경계를 개척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의 존당과 존송의 논쟁을 전개하면서 중국의 유명 시화의 내용과 많은 시가 인용되어 분석됨을 볼 때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당시(唐詩)와 송시(宋詩)의 장점에 대한 인식이 한ㆍ중에서 거의 비슷하고 이백과 두보, 소식과 황정견의 장점에 대한 인식도 비슷한 점이 많다. 본 논문이 존당과 존송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그 영향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를 기약하고자 한다.

 

 

참고문헌(參考文獻)

 

蔡鎭楚, 中國詩話史, 湖南文藝出版社, 2001.

鄺健行 外 2, 韓中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 中華書局, 2002. 許世旭, 韓國詩話淵源考, 黎明文化事業公司, 1979.

柳晟俊, 中韓詩學硏究的歷程, 新星出版社, 2005. 蔣祖怡 主編, 中國詩話辭典, 北京出版社, 1996.

鄺健行 外 2뽑음, 이장우 외 2명 역주, 우리나라 선비들의 중국시 이야기 1-3,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곽소우 지음, 김해명ㆍ이정우 옮김, 창랑시화, 소명출판, 2001. 조종업, 중한일시화비교연구, 학해출판사, 1984.

조종업, 한국시화연구, 태학사, 1991.

전형대 외 3, 한국고전시학사, 기린원, 1988. 안대회, 조선후기시화사, 소명출판사. 2000.

이병한, 중국고전시학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2005. 진백해 저, 이종진 옮김, 당시학의 이해, 사람과 책, 2001.

 

 

中文概要

 

韩中两国同属于东洋汉字文化圈在相当长的一段时间内各个方面都进行着广泛的交 流 文学方面亦是如此这其中最显著的交流之一便是诗文学方面的交流 诗在韩中两国都 曾有过极盛的繁荣期因而对诗的创作感想批评等有关内容进行著述的书籍便以诗话来 命名 诗话这个名字的由来最初是源于宋代欧阳修他首次将自己的诗话著作命名为六一 诗话诗话是对诗歌有关的闲谈以随笔的形式写成的一种独特的文体 这其中包括诗 的逸事和诗论 蔡镇楚从狭义和广义两方面对诗话进行定义狭义的诗话按其内容来说是诗歌之话就是关于诗歌的故事按其体裁而言就是关于诗歌的随笔体 广义的诗话乃是一种诗歌评论样式 凡属评论诗人诗歌诗派以及记述诗人议论行事的著作皆可 名之曰诗话 这样诗话中就存在着许多关于诗的论争和批评其中最重要的论争之一便是关 于尊唐和尊宋的论争 在韩国高丽后期到朝鲜前期是尊宋时期从朝鲜中期开始是尊唐时 期 虽然不能像中国那样发展成为一个诗派但是分化成为尊唐和尊宋两派并各自展开评 论 尊唐派对唐诗性情的自然表现和精巧评价极高与李白相比更加追崇杜甫 而尊宋派 在宋诗学问的基础上对灵活运用用事和典故来表现议论的评价极高比起黄庭坚对苏轼 的评价更高 在尊唐派和尊宋派的比较中最重要的一点是尊宋派虽然被称为尊宋派但 是在对唐诗的观点上他们认为盛唐诗和杜甫是至高无上的然在此基础上他们仍然肯定 宋诗的卓越坚持宋诗的立场 尊宋的立场就如同金昌协和李宜显所说的那样与晚唐诗相比的话宋诗可以说是很突出但与唐诗相比的话宋诗相对而言也具有突出特点

从韩国诗话引用大量中国著名诗话的内容和诗歌进行分析的情况来看韩国的尊唐和尊 宋论争受到了中国极大的影响 因而在对唐诗和宋诗长处的认知上韩中两国的观点几乎一 致在对李白和杜甫苏轼和黄庭坚长处的认知上也有着很多的相同点 但在高丽末期和 朝鲜初期宋诗在韩国得以尊崇这一特殊现象与中国的情况相接轨 但本论文是以尊唐和尊 宋问题为着重点对影响关系没能做出具体的分析因而将在下次对此进行讨论

 

中心语詩話, 唐詩, 宋詩, 用事, 詩法, 風格, 自然, 詩理, 詩味. 접수일자 2012.11.10 심사완료일 2012.12.04 게재확정일 2012.12.15

 

 

 

 

인용

목차 / 지도

1. 시화라는 명칭의 등장과 흐름

2. 한국시화(韓國詩話)의 당송시(唐宋詩)에 대한 총론(總論)

3. 존당파(尊唐派)ㆍ존송파(尊宋派)의 개별(個別) 시인(詩人)에 대한 평론(評論)

1) 존당파의 이백, 두보, 소식, 황정견 평론(評論)

2) 존송파의 이백, 두보, 소식, 황정견 평론(評論)

4.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