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 그리고 강서시파의 영향력
16세기에 일어난 당시풍 추숭
16세기는 송풍, 특히 강서시풍이 문단이 주류를 형성하였지만, 그런 속에서도 당시풍을 추숭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다. 16세기 전반 이주(李冑), 유호인(兪好仁), 신종호(申從濩), 신광한(申光漢) 등이 당시(唐詩)의 명맥을 이었다. 호소지(湖蘇芝)가 시대를 앞뒤로 하면서 활약하던 16세기 중반부터 박순(朴淳), 최경창(崔慶昌), 백광훈(白光勳), 이순인(李純仁), 이달(李達) 등 걸출한 시인이 등장하여 당시풍을 이끌면서 소단(騷壇)의 중심을 서서히 당시(唐詩)로 옮겨 놓게 된다.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엔 강서시파의 영향이 있다
그런데 16세기 후반 당시풍으로 시단의 움직임이 옮아갈 때, 강서시(江西詩)를 배운 시인들의 역할을 먼저 논하여야 할 것이다. 이른바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라 불리우는 시인들이 당시풍과도 일정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사룡(鄭士龍) 시의 한 근원이 서곤체(西崑體)에 있는데, 서곤체는 곧 만당(晩唐) 이상은(李商隱)의 시를 추숭하는 유파이다. 특히 노수신(盧守愼)은 두시(杜詩)에 뛰어나 글자마다 두시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평을 받은 바 있다. 사실 중국의 강서시파가 내세우는 일조삼종(一祖三宗)의 설에서 일조(一祖)가 곧 두보(杜甫)를 가리키므로, 해동강서시파 역시 두보에 대한 연구가 당시(唐詩)를 추종한 시인들에 비해 결코 모자람이 없었다. 해동강서시파의 시는 순수한 송풍이 아니라 당풍과 송풍이 혼효된 채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황정견을 가장 잘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박은(朴誾)의 시조차 정조(正祖)가 당시의 정(情)과 경(景)에 송시의 사실을 겸하고 있다고 평한 바 있다. 이행(李荇)과 노수신(盧守愼)의 시 중에도 당풍으로 들 만한 작품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기도 하다.
사실 16세기 당풍의 전개에는 해동강서시파의 공이 적지 않다. 호남 당풍(唐風)을 열어 삼당시인을 배출한 박순(朴淳)이 강서시를 배운 박상(朴詳)의 조카이거니와, 당풍을 구사한 것으로 평가되는 임억령(林億齡)이 박상의 제자였다. 또 백광훈(白光勳)이 노수신(盧守愼)의 제자였으며, 이달(李達)이 정사룡(鄭士龍)에게 두시(杜詩)를 배웠다【李益之少時學杜詩於湖陰 『성수시화(惺叟詩話)』 35번】.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은, 해동강서시파가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삼당시인 등과 같이 당시를 추구하던 시인들도 젊은 시절에 강서시파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더욱 당시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인용
1. 서론
2. 16세기의 강서시풍(江西詩風)과 당풍(唐風)
2)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 그리고 강서시파의 영향력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1) 삼당시인의 한계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4) 명 복고파의 유행: 시경체 한시나 고악부체의 유행
5) 17세기 다양한 시풍을 추구하라(feat. 장유와 이식)
6) 17세기 후반에 등장한 의고주의 비판(feat. 김창협)
4. 결론
'한문놀이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1) 삼당시인의 한계 (1) | 2022.10.23 |
---|---|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2. 16세기의 강서시풍과 당풍, 3) 삼당시인, 강서시풍 넘어서기 (1) | 2022.10.23 |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2. 16세기의 강서시풍과 당풍, 1) 강서시풍의 전개 양상 (0) | 2022.10.23 |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1. 서론 (1) | 2022.10.23 |
전경원, 향랑고사를 수용한 한시의 의미 - 4. 결론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