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7세기 한시 문학의 양상
이종묵(정문연)
1. 서론
정두경(鄭斗卿)은 송시풍(宋詩風)이 주류를 이루다가 16세기 중반부터 당시풍이 등장하게 되었다고 진단한 바 있으며 김만중(金萬重)은 『서포만필(西浦漫筆)』(619면)에서 선초(鮮初)에 오로지 소식(蘇軾)의 시를 숭상하다가 16세기에 강서시풍(江西詩風)이 문단의 중심을 이루었으며, 16세기 말엽 점차 당풍(唐風)으로 변화하고, 다시 17세기부터 명 복고파(復古派)의 영향권에 들게 되는 조선 문단의 추이를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흐름을 적시한 비평을 바탕으로 하여, 최근 몇 편의 우수한 논문이 보고되면서 16~17세기 문단의 풍상을 더욱 자세한 모습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시사(詩史)의 본령
시풍은 유행처럼 끊임없이 변화한다. 앞선 시기에 대가가 있었으면, 그 다음 대가가 앞선 시기 대가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고, 다시 다음 세대는 전 세대의 한계를 극복하려 하였다. 옛 평론가들은 오히려 시가 시대에 따라 점차 수준이 떨어진다는 것을 많이 지적했고 또 실제로 시학이 후대로 오면서 발전하는 것만은 아니지만, 전대 시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한 노력이 한시사(漢詩史)의 본령에 해당한다.
16~17세기 한시 변화의 양상을 담다
본고는 이러한 시각에서, 16~17세기 한시사에서 시풍의 역동적인 변모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16세기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였던 강서시풍(江西詩風)과 이를 극복하고자 한 당시풍(唐詩風)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할 것이며, 당풍(唐風)을 추구하고자 한 시인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가도 고찰할 것이다. 또 17세기 초반 등장한 복고파의 이론과 성과, 그리고 17세기 후반 이에 대한 반발 등 다양한 유행의 변화를 살필 것이다.
인용
1. 서론
2. 16세기의 강서시풍(江西詩風)과 당풍(唐風)
2)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 그리고 강서시파의 영향력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1) 삼당시인의 한계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4) 명 복고파의 유행: 시경체 한시나 고악부체의 유행
5) 17세기 다양한 시풍을 추구하라(feat. 장유와 이식)
6) 17세기 후반에 등장한 의고주의 비판(feat. 김창협)
4. 결론
'한문놀이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2. 16세기의 강서시풍과 당풍, 2)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 (0) | 2022.10.23 |
---|---|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2. 16세기의 강서시풍과 당풍, 1) 강서시풍의 전개 양상 (0) | 2022.10.23 |
전경원, 향랑고사를 수용한 한시의 의미 - 4. 결론 (0) | 2022.10.23 |
전경원, 향랑고사를 수용한 한시의 의미 - 3. 향랑고사 수용 한시와 가족제도, 4) 질곡된 가족제도 비판 (0) | 2022.10.23 |
전경원, 향랑고사를 수용한 한시의 의미 - 3. 향랑고사 수용 한시와 가족제도, 3) 각박한 인정세태 고발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