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1. 서론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1. 서론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3:31
728x90
반응형

 16~17세기 한시 문학의 양상

 

이종묵(정문연)

 

 

1. 서론

 

 

정두경(鄭斗卿)은 송시풍(宋詩風)이 주류를 이루다가 16세기 중반부터 당시풍이 등장하게 되었다고 진단한 바 있으며 김만중(金萬重)서포만필(西浦漫筆)(619)에서 선초(鮮初)에 오로지 소식(蘇軾)의 시를 숭상하다가 16세기에 강서시풍(江西詩風)이 문단의 중심을 이루었으며, 16세기 말엽 점차 당풍(唐風)으로 변화하고, 다시 17세기부터 명 복고파(復古派)의 영향권에 들게 되는 조선 문단의 추이를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흐름을 적시한 비평을 바탕으로 하여, 최근 몇 편의 우수한 논문이 보고되면서 16~17세기 문단의 풍상을 더욱 자세한 모습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시사(詩史)의 본령

 

시풍은 유행처럼 끊임없이 변화한다. 앞선 시기에 대가가 있었으면, 그 다음 대가가 앞선 시기 대가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고, 다시 다음 세대는 전 세대의 한계를 극복하려 하였다. 옛 평론가들은 오히려 시가 시대에 따라 점차 수준이 떨어진다는 것을 많이 지적했고 또 실제로 시학이 후대로 오면서 발전하는 것만은 아니지만, 전대 시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한 노력이 한시사(漢詩史)의 본령에 해당한다.

 

 

16~17세기 한시 변화의 양상을 담다

 

본고는 이러한 시각에서, 16~17세기 한시사에서 시풍의 역동적인 변모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16세기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였던 강서시풍(江西詩風)과 이를 극복하고자 한 당시풍(唐詩風)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할 것이며, 당풍(唐風)을 추구하고자 한 시인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가도 고찰할 것이다. 17세기 초반 등장한 복고파의 이론과 성과, 그리고 17세기 후반 이에 대한 반발 등 다양한 유행의 변화를 살필 것이다.

 

 

 

 

인용

목차 / 지도

1. 서론

2. 16세기의 강서시풍(江西詩風)과 당풍(唐風)

1) 송풍(강서시풍)의 전개 양상

2)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 그리고 강서시파의 영향력

3) 삼당시인, 강서시풍 넘어서기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1) 삼당시인의 한계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3) 기세를 높이기 위해 복고풍을 차용하다

4) 명 복고파의 유행: 시경체 한시나 고악부체의 유행

5) 17세기 다양한 시풍을 추구하라(feat. 장유와 이식)

6) 17세기 후반에 등장한 의고주의 비판(feat. 김창협)

7) 17세기 말에 다시 등장한 송시

8) 17세기 후반 조선적 당풍의 대두

4.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