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소화시평 감상 - 상권 55. 자연이 약동하는 걸 시로 표현하다 본문

연재/한문이랑 놀자

소화시평 감상 - 상권 55. 자연이 약동하는 걸 시로 표현하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26. 15:45
728x90
반응형

자연이 약동하는 걸 시로 표현하다

 

 

舍後桑枝嫩 畦西薤葉抽 집 뒤 뽕나무 가지 새싹 뾱 돋고, 서쪽 밭의 부추잎이 쑥 자라네.
陂塘春水滿 稚子解撑舟 언덕엔 봄물 가득하여 어린 자식 메어놓은 배를 저을 줄 아네.

 

소화시평권상55에 두 번째로 인용된 자적(自適)이란 시는 봄의 정경을 읊고 있는 평범한 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재밌는 부분은 ()()(滿)’으로 행위 자체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은 여린 새싹 뾱 돋아나는 모습이라면, ()는 쏙 하고 약간 더 큰 모양새로 돋아나는 모습이고, (滿)은 이미 단어만으로도 가득 차 있는 모습임을 알 수 있다. 이런 걸 점층법(漸層法)이라 할 수 있고, 해석을 할 때에도 그걸 반영하여 점차 거대해지는 모습으로 알맞게 해석하면 된다.

 

문제는 과연 이런 류의 시를 왜 지었냐는 것이다. 이 시도 자연을 묘사하고 있기에 얼핏 보면 교융(交融)이나 관조(觀照)의 상황이 느껴지긴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교융이라 말할 수 없는 게 4구에선 봄물이 가득한 방죽에 물이 불어났다는 것을 알아채고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배를 풀고 노를 젖는 아이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교수님은 간단명료하게 그리고 여러 생물들이 자라남’, ‘아이들의 활기차짐을 한 데로 엮어 봄날의 생명력이라 말했다. “그건 활기참이고 약동하는 생명력이며, 천기(天機, 天理妙發之處)가 있는 작품이다라는 것이다. 거기에 덧붙여 생명이 약동하는 것을 표현할 땐 매화(梅花)를 많이 가져다 씁니다. 보통 매화는 지조를 상징하는 것으로 표현하나, 태극에서 음기가 가장 쎈 11일에 마침내 양기가 서서히 커져가는 것처럼, 시린 한 겨울에 피어나는 매화를 통해 생명력을 노래하는 것이죠.”라고 말했다. 와우 이렇게 볼 수 있다면, 이 시는 정말로 아름답게 생명력을 노래한 시라는 걸 볼 수 있다.

 

交融 정경일치의 경지
觀照 사물의 이치를 깨닫기 위한 관찰
天機 생명력에의 외경, 약동하는 생명력

 

 

 

 

 

 

 

 

인용

목차

상권 목차

하권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