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자고, 증삼, 자장, 자로에 대한 평가
柴也愚,
柴, 孔子弟子, 姓高, 字子羔. 愚者, 知不足而厚有餘. 『家語』記其“足不履影, 啓蟄不殺, 方長不折. 執親之喪, 泣血三年, 未嘗見齒. 避難而行, 不徑不竇”. 可以見其爲人矣.
參也魯,
魯, 鈍也.
程子曰: “參也竟以魯得之.”
又曰: “曾子之學, 誠篤而已. 聖門學者, 聰明才辯, 不爲不多, 而卒傳其道, 乃質魯之人爾. 故學以誠實爲貴也.”
尹氏曰: “曾子之才魯, 故其學也確, 所以能深造乎道也.”
師也辟,
辟, 婢亦反.
○ 辟, 便辟也. 謂習於容止, 少誠實也.
由也喭.
喭, 五旦反.
○ 喭, 粗俗也. 傳稱喭者, 謂俗論也.
○ 楊氏曰: “四者性之偏, 語之使知自勵也.”
吳氏曰: “此章之首, 脫‘子曰’二字.” 或疑下章‘子曰’, 當在此章之首, 而通爲一章.
해석
柴也愚,
자고는 어리석고
柴, 孔子弟子, 姓高, 字子羔.
시는 공자 제자니, 성은 고(高)이요, 자는 자고다.
愚者, 知不足而厚有餘.
어리석다는 것은 지혜가 부족하나 후덕함은 남음이 있는 것이다.
『家語』記其“足不履影,
『공자가어』에 “발로 그림자를 밟지 않고,
啓蟄不殺,
막 겨울잠에서 깨어난 것을 죽이지 않았으며
方長不折. 執親之喪,
곧 자란 가지를 꺾지 않고 어버이의 초상을 집행함에
泣血三年, 未嘗見齒.
3년 동안 피눈물을 흘렸으며, 일찍이 이를 드러내지 않았고
避難而行, 不徑不竇”.
피난 행렬에도 지름길로 나가지 않았으며 구멍으로 나가지 않았다”고 쓰여 있으니,
可以見其爲人矣.
그 사람됨을 볼 만하다.
參也魯,
증삼은 노둔했으며
魯, 鈍也.
노(魯)는 노둔함이다.
程子曰: “參也竟以魯得之.”
정명도가 말했다. “증삼은 마침내 노둔함으로 터득했다.”
又曰: “曾子之學, 誠篤而已.
또한 정이천이 말했다. “증자의 학문은 진실로 도타울 뿐이다.
聖門學者, 聰明才辯,
성인의 문하에서 배운 사람은 총명하고 재주 있고 말 잘하는 사람이
不爲不多, 而卒傳其道,
많지 않은 건 아니나, 마침내 그 도를 전한 것은
乃質魯之人爾.
바탕이 노둔한 사람일 뿐이었다.
故學以誠實爲貴也.”
그렇기 때문에 학문은 성실함을 귀하게 여긴다.”
尹氏曰: “曾子之才魯,
윤순(尹淳)이 말했다. “증자의 재주는 노둔하기 때문에
故其學也確, 所以能深造乎道也.”
학문이 확고하여 깊이 도에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師也辟,
자장은 편벽되었고
辟, 婢亦反.
○ 辟, 便辟也.
벽(辟)은 치우침이니,
謂習於容止, 少誠實也.
용모와 행동거지에 익숙하고 성실함은 적은 것이다.
由也喭.
자로는 거칠었다.
喭, 五旦反.
○ 喭, 粗俗也.
안(喭)은 거칠고 속된 것이다.
傳稱喭者, 謂俗論也.
전(傳)에 안(喭)이라 일컬어진 것은 속된 말을 말한다.
○ 楊氏曰: “四者性之偏,
양시(楊時)가 말했다. “네 가지는 성품이 치우친 것이니,
語之使知自勵也.”
그것을 말하여 스스로 권면하여 알도록 했다.”
吳氏曰: “此章之首, 脫‘子曰’二字.”
오역(吳棫)이 “이 장의 첫 부분에 ‘자왈(子曰)’ 두 글자가 빠져 있다.”라고 말했다.
或疑下章‘子曰’,
어떤 이는 의심했다. “아랫 장의 ‘자왈(子曰)’이
當在此章之首, 而通爲一章.
마땅히 이장의 첫 부분에 두어 통합하여 한 장이 된다.”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선진 - 19. 선인(善人)이란 (0) | 2021.10.10 |
---|---|
논어 선진 - 18. 안회와 자공에 대한 평가 (0) | 2021.10.10 |
논어 선진 - 16. 소자들아 염구는 우리의 무리가 아니니 성토하라 (0) | 2021.10.10 |
논어 선진 - 15. 과유불급(過猶不及) (0) | 2021.10.10 |
논어 선진 - 14. 당에 오르는 경지와 실에 들어오는 경지 (0) | 202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