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몽인 (13)
건빵이랑 놀자
이천에서이천(伊川) & 양양으로 가는 도중에양양도중(襄陽途中) 유몽인(柳夢寅) 貧女鳴梭淚滿腮 寒衣初欲爲郞裁朝來裂與催租吏 一吏纔歸一吏來 『於于集』 卷之一 해석貧女鳴梭淚滿腮 빈녀명사루만시 가난한 계집이 베 짜다 우니, 눈물이 뺨에 가득해.寒衣初欲爲郞裁한의초욕위랑재겨울옷 처음으로 낭군을 위해 만들려 했었는데.朝來裂與催租吏조래렬여최조리아침에 와서 세금을 재촉하는 아전에게 나눠줬는데,一吏纔歸一吏來일리재귀일리래한 아전이 겨우 돌아가니 한 아전이 오는구나. 『於于集』 卷之一 인용작가 이력 및 작품소화시평감상하기江南女
독창적인 글세계를 열어젖힌 유몽인 『소화시평』 권하 48번은 권하 47번 글과 이어서 보면 이 시를 이해하기가 쉽다. 그래야 그가 왜 과부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부는 누굴 상징하며 과부의 어떤 정조를 기리고자 하는지 명확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七十老孀婦 端居守閨壺 70살의 늙은 과부가 단정히 규방을 지키네. 家人勸改嫁 善男顔如槿 집사람이 개가하라 권하는데 좋은 사람인데 얼굴도 무궁화 같다고. 頗誦女史詩 稍知妊姒訓 “여사의 시를 많이 익혔고 임사의 가르침을 조금은 알고 있어요. 白首作春容 寧不愧脂粉 흰 머리로 젊은 자태 짓는다면 어찌 연지분에 부끄럽지 않겠소.” 1구~2구에선 ‘과부=정조’를 표현하고 있다. 매우 일반적인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해석을 덧붙일 필요가 없을 정..
48. 인조반정을 비판하고자 지은 유몽인의 시 於于於獄中, 書進「孀婦詞」曰: “七十老孀婦, 端居守閨壼. 家人勸改嫁, 善男顔如槿. 頗誦女史詩, 稍知妊姒訓. 白首作春容, 寧不愧脂粉.” 竟坐死. 論者稱於于之於簡易, 老熟雖不及,, 才調過之. 簡易固有依形而立者, 於于皆出自機軸, 變化無窮, 此最難處云. 於于平生所著述, 不止數十萬言, 而惜其被禍, 文集不行於世, 良可歎也. 해석 於于於獄中, 書進「孀婦詞」曰: “七十老孀婦, 端居守閨壼. 家人勸改嫁, 善男顔如槿. 頗誦女史詩, 稍知妊姒訓. 白首作春容, 寧不愧脂粉.” 유몽인이 가막소에서 「과부의 노래[孀婦詞]」라는 글을 지어 바쳤으니 다음과 같다. 七十老孀婦 端居守閨壺 70살의 늙은 과부가 단정히 규방을 지키네. 家人勸改嫁 善男顔如槿 집사람이 개가하라 권하는데 좋은 사람인데 ..
47. 사익을 탐한 무리를 한시로 꾸짖은 유몽인 柳於于少時閱書籙, 見簡冊中有蠹魚狼藉, 遂作一絶曰: “秦王餘魄化爲蟫, 食盡當年未盡書. 等食須知當食字, 一篇私字食無餘.” 蓋有所激而云, 豈獨憎蠹魚也哉. 해석 柳於于少時閱書籙, 어우 유몽인이 젊을 적에 책을 보다가 見簡冊中有蠹魚狼藉, 책 가운데에 책벌레가 낭자한 걸 보고서 遂作一絶曰: “秦王餘魄化爲蟫, 食盡當年未盡書. 等食須知當食字, 一篇私字食無餘.” 마침내 「책을 보다가 책벌레가 낭자한 걸 보고서[閱書帙見蠧魚狼藉]」라는 절구를 지었으니 다음과 같다. 秦王餘魄化爲蟫 진시왕의 남은 넋이 변하여 책벌레가 되었는지 食盡當年未盡書 당년에 못 먹은 책을 죄다 먹어 치우네. 等食須知當食字 똑같이 먹더라도 모름지기 마땅히 먹어야 할 글자를 알아야 하니, 一篇私字食無餘 한 권..
4. 정치 풍자를 담은 칠언절구 한시들 崔侍中承老「禁中新竹」詩曰: “錦籜初開粉節明, 低臨輦路綠陰成. 宸遊何必將天樂, 自有金風撼玉聲.” 有諷戒音樂之意. 李亨齋稷「登鐵嶺」詩曰: “崩崖絶磵愜前聞, 北塞南州道路分. 回首日邊天宇淨, 望中還恐起浮雲.” 有憂讒畏譏之意. 權愼村思復「放鴈」詩曰: “雲漢猶堪任意飛, 稻田胡自蹈危機. 從今去向冥冥外, 只要全身勿要肥.” 以譬逐利之徒. →해석보기 辛文學藏「詠木橋」詩曰: “斫斷長條跨一灘, 濺霜飛雪帶驚瀾. 須將步步臨深意, 移向功名宦路看.” 以戒干祿之徒. 崔東皐岦「十月雨」詩曰: “一年霖雨後西成, 休說玄冥太不情. 正叶朝家荒政晩, 飢時料理死時行.” 訏謨廊廟者, 可以自警. 柳於于夢寅「伊川」詩曰: “貧女鳴梭淚滿腮, 寒衣初擬爲郞裁. 明朝裂與催租吏, 一吏纔歸一吏來.” 分憂子民者, 可以爲鑑. 噫!..
시를 통해 관리들을 경계한 최립의 한시 一年霖雨後西成 한 해의 장마비가 추수 뒤에 내렸지만 休說玄冥太不情 물의 신이 매우 무정하다 말하지 마라. 正叶朝家荒政晩 바로 조정의 구황정책이 늦는 것과 같으니, 飢時料理死時行 굶주릴 땐 재더니만 죽을 때에야 시행하는 구나. 『소화시평』 권하 4번의 다섯 번째 소개된 최립의 시는 농부의 마음을 담고 있다. 지금이야 먹을거리가 풍족해서 보릿고개와 같은 게 없고, 구황정책도 별도로 세울 필요가 없지만 50년 전만 해도 우리에게 먹는 것은 큰 문제였었다. 그러다 보니 누군가는 이렇게 살기 좋은 나라가 된 건 모두 ‘박정희 대통령 덕’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이런 나라를 만들기 위해 최저시급을 받아가며 밤낮을 세워가며, 온갖 안 좋은 환경에도 최선을 다해 일을 한..
유몽인 학예편(學藝篇) 시화(詩話) 1.李希輔 讀書萬卷 自少至老 手不釋卷 少時 長者集親友 設供帳山上 遣騎邀希輔 希輔方讀書 無意赴邀 强之來則袖出蠧簡 於座中注目 時放鷹搏雉於席邊 李希輔不一睨 其淫於書可想 爲遠接使李荇從事官 送天使于碧蹄 天使有一句曰 寄語于干諸顯相 鄭士龍蘇世讓等皆未曉 希輔一見冷笑曰 諸公讀書不多 故昧此也 詩云 飮餞于干 謂諸君出餞于此也 兩人有慚色 燕山有愛姬死 使朝中文士詩之 希輔有詩曰 宮門深鎖月黃昏 十二鍾聲到夜分 何處靑山埋玉骨 秋風落葉不堪聞 燕山見而垂淚 以此時議簿之 官多滯 至年老 醉中 泣下漣如 子弟驚訝之 問其由 希輔曰 吾嘗讀書萬卷 凡所著 人未易解 今世人 讀書不博 忽我文章 擧世貿貿 熟知余詩 高出陳簡齋上耶 死無有後 有安分堂集 十二策未梓者 傳之外孫 今經亂離 未知能保不失也 2.金淨 釋褐有詩名 操節特殊 士輩仰慕..
만물편(萬物篇) 天地 1. 비성(飛星) 萬曆五年丁丑蚩尤旗出 色黃赤長與天齊 自秋徂冬不滅 其冬大霧連日天地晦塞 或曰 蚩尤旗爲霧而散 萬曆二十四年 有星落于中原武靈縣民家 其大如五斛釜 其落也晶光如月 一夜愰朗 久而後黯淡之色 自外而蝕內 終成一靑石 愚民不解告官 最久 知縣聞之杖其民 發縣民杠以致縣庭 今武靈縣有落星石 萬曆三十六年 有大星落于西方 光色如火盆 不知墜何處其餘光亘天下 散不知幾百曲 夕陽照之 皆如日暈之珥 良久而滅 或曰天狗 或曰枉矢 考之星經 謂飛星也 2. 백두산의 비경 北道多雄岳巨嶺 摩空蘸洋彌亘數千里 達于南海而窮者 皆自白頭山來 余嘗遊三水郡小農堡 登長慶嶺而望之 則白頭山在胡中 去我界纔數日程 渾體皜皚如雪疊氷斵 魁然傑特 覜睨衆山 諸峰嶙峋撲地 環擁于左右前後者 如嬰兒侍尊丈 莫敢與肩 其山之一枝 蔓于我境爲北道諸山 千里之間無一尖峰 皆長嶺直馳..
사회편(社會篇) 과거(科擧) 1. 고풍(古風) 朴光祐爲及第第二 於闕內遇一先生 呼新來使之納名 倒啣曰祐光朴 先生曰 爾勿恨爲第二 蘇東坡爲第二及第 南袞爲第二及第 言訖使之進 光祐問下人先生爲誰 卽修撰金馹孫也 余於新及第 路街三日 祐先生朴弘老 弘老曰 老新來何往而今始爲及第 余答曰 在前恐爲第二 故忍而到今也 弘奴大笑叩鐙而去曰 除雜放氣新來進 盖弘耆是余同年進士 早爲第二及第 余時年三十一而壯元及第 納名倒啣以退爲進 以雜言爲雜放氣 皆古風也 後弘老改名弘耉 2. 남응운의 문무전재(文武全材) 昔恭憲大王 親臨瑞葱臺 詩文武臣騎射及製述 繫御乘馬于帳殿前 將以賞居魁者 文武各一匹 時文官南應雲 文武具非絶藝 而兩試皆爲冠 拜受兩馬 左右各牽一馬出 誇之朝中曰 當今文章則鄭士龍申光漢 妙射則李夢麟 非但一時稱第一 曠世亦無雙 而今日則皆讓於吾 吾之文武全材何如也 擧朝皆以..
學藝篇 文學 1. 중국에서 뽑힌 동국의 시문 李胄吾東文人也 以書狀官赴中原 登通州門樓題詩曰 通州天下勝 樓勢出層宵 市積金陵貨 江通楊子潮 孤雲秋落渚 獨鶴暮歸遼 鞍馬身千里 登臨古國遙 中元之人 揭懸板稱之曰 獨鶴暮歸遼 先生中國人不外國人 雖崔孤雲作官中國 而其詩文未曾槪見於諸文士之列 或謂 唐音中無名氏者 卽崔孤雲而未詳眞僞 獨藝文志些少以見錄 東人以爲榮 近者學官魚淑權著稗官雜記 見抄於天朝卽無中之有也 東國多稱崔孤雲黃巢檄 不選於四六書 中國亦不免隘也 以余觀之 黃巢檄雖有驚人句 而立語命意亦多顚錯 東國人信乎不識文矣 但山僧閨秀亦以同 中國見選我國子集 豈無一二可採者乎 是可恨也 如李胄懸板通州亦云幸矣 余於萬柳庄等懸板 有所感矣 2. 시조 유청신 始祖初名庇 元世祖改以淸臣 命儒臣張相公詩以贈之 其詩曰 聖主知賢相 親呼改舊名 千金輕似葉 一字重難衡 月白秋江淨..
종교편(宗敎篇) 선도(仙道) 1. 신선이 되어봤자 과거를 기억하질 못하는데 智異山佛日庵 在雙溪寺東嶺外十里所 壁絶逕斷 斫松爲梯者數所 昔新羅時 崔致遠所遊處也 西有靑鶴峰仙鶴栖焉 東峰有長瀑高可數千丈 又如玉龍倒臥銀河飛落 直瀉于臺前 昔人大字刻其岩曰 翫瀑臺 庵臺北松竹擁碍焉 時有休粮高釋之徒 有一道衲孤栖其庵 芳春三月之望 杏花滿山 月色如晝 夜將半忽聞庵外有人言語聲 老衲以爲窮山絶頂夜深如許 何處客子來遊於此 身爲主人禮常出待 有一客危冠墨袍 領三尺兩童子 徘徊於翫瀑臺上 欲近揮手止之 固請還人 老衲不得已辭 入庵而窺之 客與童子語 微聞其聲不辨何謂也 但見衣裾隨風飄拂 而良久朗然長嘯 松鳴竹動谷答岩震 餘響裊裊遠揚雲表 老衲神淸魂爽更欲出拜 而曲纔終 飄然而逝 循岩腹無蹊之地 直渡香爐峰 童子隨之其步皆如飛 不知何所向也 老衲瞻望噓唏 始覺其眞仙也 所謂眞仙者 棄其..
어우야담(於于野譚) 인륜편(人倫篇) 효열(孝列) 1. 임란에 어머니를 구하고 대신 죽은 나의 형 柳夢熊生員柳夢熊余母兄也 素性忠信莊嚴 余嘗期以臨節不奪 可托六尺之孤壬辰年 余朝天未還 倭寇入京師 兄奉七十慈親 避寇于楊州墓山 遇倭 倭挺劒指老母 兄以身翼蔽之 連被四槍 猶抱母而死之 卒脫母於賊鋒 朝廷嘉其孝旌其門 吁 福善禍淫天之道也當壬辰之亂 人之避寇山谷 幾多不孝不悌恣行不義者 而如兄之孝善 獨被禍 此非天難諶摩常者耶 先是 黃天賚大紫微數論兄之命曰 命則丕虧 遼東戴古塘鶴經 爲余筮兄之命曰 壬辰四月離居遭患天命也 嗚呼痛哉 2. 충이 효로 변화된 차식의 정성스러움車軾松都人也 博學能文章 爲當代所推 其母在松都 患帶下之病 積歲藥不效 時以直講 求差恭定大王陵寢典祀官 爲其去松都不遠 將因歸覲也恭定大王卽康憲大王之冡嗣 在位才數年 傳世弟 恭定大王至是世代已遠 ..
유몽인柳夢寅: 1559(명종 14)~1623(인조 1) 중기 문신.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ㆍ간재(艮齋)ㆍ묵호자(默好子). 1. 성혼(成渾)과 신호(申濩)에게 수학했지만 경박하다는 이유로 쫓겨났기에 성혼과 관계는 나빠짐. 2. 한성부좌윤ㆍ대사간 등을 지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났을 때 가담하지 않고 도봉산에 은거함. 3. 1623년 인조반정 때 연루되진 않았지만 관직에서 물러나 방랑생활을 하였음. 4. 『어우집(於于集)』, 『어우야담(於于野談)』 보창주도사차만리서報滄洲道士車萬里書빗소리 같은 낙엽 지는 소리증표훈사승혜묵서贈表訓寺僧慧默序봉월사서奉月沙書무진정기無盡亭記어우야담於于野談 가평산중 / 청평사유별연숙 입금강산加平山中 / 淸平寺留別淵叔 入金剛山이천 / 양양도중伊川 / 襄陽途中열서질견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