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군자는 날로 성장하고 소인은 날로 위축된다
子曰: “君子上達, 小人下達.”
君子循天理, 故日進乎高明; 小人殉人欲, 故日究乎汙下.
해석
子曰: “君子上達, 小人下達.”
공자께서 “군자는 위로 통달하고 소인은 아래로 통달한다.”라고 말씀하셨다.
君子循天理, 故日進乎高明;
군자는 천리를 따르기 때문에 날로 고명한 데로 나아간다.
小人殉人欲, 故日究乎汙下.
소인은 인욕을 따르기 때문에 날로 지혜가 부족한 데로 다가간다.
○ ‘논어’ ‘헌문(憲問)’의 이 장(章)에서 공자는 군자와 소인을 대비시켜 군자는 상달(上達)하고 소인은 하달(下達)한다고 했다. 달(達)이란 극점(極點)에 이르러 감이니, 하달(下達)과 상달(上達)은 대립개념이다. 따라서 일상의 일을 배운 뒤에 위로 천리(天理)에 도달한다는 뜻의 하학상달(下學上達)과는 다르다.
주자는, 군자가 천리(天理)를 따르므로 나날이 고명(高明)의 경지로 나아가고 소인이 인욕(人欲)을 따르므로 나날이 오하(汚下, 구렁텅이)에 이르러 간다고 했다.
고명(高明)이란 ‘중용’에서 말한 인간의 숭고한 경지를 말한다. 정약용은 주자의 설을 부연해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나 소인은 처음에는 모두 중인(中人)이었지만 의(義)를 추구하는 마음과 리(利)를 쫓는 마음의 차이가 털끝만큼 가늘게 벌어져, 군자는 나날이 덕(德)으로 나아가 최상(最上)에 이르고 소인은 나날이 퇴보하여 최하(最下)에 이르게 된다.”
고려 말에 권근(權近)은 각겸(覺謙) 스님의 목암(牧菴)에 글을 지어주면서 군자는 겸손하되 비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여 “덕이 향상(向上)하지 못하고 오하(汚下)에 끝나며 공손이 절도가 없고 비굴에 지나지 않는다면 결코 군자가 자신을 기르는 도라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조선 인조 때 이식(李植)은 ‘접물잠(接物箴)’이란 글을 지어 상달과 하달의 갈림은 남과의 사귐에 있다고 보아 “흰 모래가 진흙 속에서 검어지고 옷에 기름때가 묻는 것처럼, 마음을 풀어놓아 함께 구렁텅이로 향하다가는 미처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그와 똑같이 변할 수 있거늘, 어찌 사귀는 이를 신중히 고르지 않으랴, 오늘부터 경계하리라”고 했다.
선인들은 선을 행하기는 하늘에 오르듯 어렵고 악을 저지르기는 흙더미가 무너지듯 쉽다고도 했다. 우리도 늘, 상달과 하달의 갈림목에서 헷갈리지 말아야 하리라.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헌문 - 26. 심부름꾼을 통해 본 거백옥이란 사람에 대해 (0) | 2021.10.13 |
---|---|
논어 헌문 - 25. 위기지학(爲己之學) & 위인지학(爲人之學) (0) | 2021.10.13 |
논어 헌문 - 23. 임금을 섬길 땐 속이지 말고 간쟁해야 한다 (0) | 2021.10.13 |
논어 헌문 - 22. 제나라의 임금이 시해 당한 사건에 토벌하자고 요청한 공자 (0) | 2021.10.13 |
논어 헌문 - 21. 자신이 한 말에 부끄러워할 수 있는 사람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