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양화 - 6. 다섯 가지[恭寬信敏惠]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 본문

고전/논어

논어 양화 - 6. 다섯 가지[恭寬信敏惠]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14. 09:45
728x90
반응형

6. 다섯 가지[恭寬信敏惠]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

 

 

子張問仁於孔子. 孔子: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請問之. : “. 恭則不侮, 寬則得衆, 信則人任焉, 敏則有功, 惠則足以使人.”

行是五者, 則心存而理得矣. 於天下, 言無適而不然, 猶所謂雖之夷狄不可棄者. 五者之目, 蓋因子張所不足而言耳. , 倚仗也, 又言其效如此.

張敬夫: “能行此五者於天下, 則其心公平而周遍可知矣, 然恭其本與?”

氏曰: “此章與六言六蔽五美四惡之類, 皆與前後文體大不相似.”

 

 

 

 

해석

子張問仁於孔子. 孔子: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자장이 공자께 인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천하에 다섯 가지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請問之. : “. 恭則不侮, 寬則得衆, 信則人任焉, 敏則有功, 惠則足以使人.”

자장이 조목을 여쭈니, 공자께서 공손하고 너그러우며 믿음직스럽고 민첩하며 은혜로운 것이니, 공손하면 모욕주지 않고 너그러우면 대중을 얻으며, 믿음직스러우면 사람이 맡기고 민첩하면 공로가 있으며, 은혜로우면 사람을 부리기에 넉넉해진다.”라고 말씀하셨다.

行是五者, 則心存而理得矣.

이 다섯 가지를 행하면 마음이 보존되고 이치가 터득된다.

 

於天下, 言無適而不然,

어천하(於天下)라는 것은 가는 곳에 그렇지 않음이 없다는 말이다.

 

猶所謂雖之夷狄不可棄者.

말했던 비록 이적이라도 버려선 안 된다는 말과 같다.

 

五者之目, 蓋因子張所不足而言耳.

다섯 가지 조목은 대개 자장이 부족한 것에 따라 말해줬을 뿐이다.

 

, 倚仗也, 又言其效如此.

()은 기대고 의지하는 것이니, 또한 그 공효가 이와 같다는 말이다.

 

張敬夫: “能行此五者於天下,

장경부가 말했다. “천하에 이 다섯 가지를 실천할 수 있다면

 

則其心公平而周遍可知矣,

마음은 공평해지고 두루 펼쳐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然恭其本與?”

그러나 공손함이 그 근본이리라.”

 

氏曰: “此章與六言六蔽五美四惡之類,

이욱(李郁)이 말했다. “육언과 육폐와 오미와 사악의 종류들은

 

皆與前後文體大不相似.”

모두 전후의 문체들과 크게 서로 같지가 않다.”

 

양화(陽貨)’에는 논어의 일반적인 문체와 다른 글이 많다. 이 제5장도 인()의 내용을 다섯 가지로 나열하는 방식이 특이하다. , 공자의 젊은 제자였던 자장(子張)이 공자에게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는 다섯 가지를 능히 천하에 행한다면 인()이 된다고 대답했고 자장이 다시 그 내용을 묻자 공자는 공()ㆍ관()ㆍ신()ㆍ민()ㆍ혜()의 다섯을 열거한 후, 다시 위와 같이 그 구체적 내용을 설명했다.

공즉불모(恭則不侮)는 내가 공손하면 남이 나를 모욕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위의 다섯 구는 즉()이라는 접속사를 중간에 사용하여 가정(조건)과 결과의 짧은 문장을 이루었는데 한문의 특성상 앞의 구와 뒤의 구가 주어를 달리할 수 있다. , 공즉불모(恭則不侮)와 신즉인임언(信則人任焉)의 두 문장은 앞의 주어와 뒤의 주어가 다르다.

공관신민혜(恭寬信敏惠)에 대해서는 마음의 덕목으로 볼 수도 있고 인정(仁政)의 조건으로 볼 수도 있다. 다섯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맨 처음의 공()이다. ‘논어’ ‘안연(顔淵)’에서 공자는 문밖에 나가 사람을 대할 때는 큰손님을 대접하듯이 공손히 하고, 백성을 부릴 적에는 큰제사를 받드는 것처럼 공경히 해야 한다[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고 했고, ‘자로(子路)’에서는 평상시 집에 거처할 때도 공손한 태도를 지녀야 한다[居處恭].’고 했다.

이 뜻을 이어 조선 인조 때의 조익(趙翼)은 서재를 공재(恭齋)로 이름하고 공재설(恭齋說)’이라는 글을 지었다. 그가 말했듯이 천하의 도는 가까이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때 내게 가장 가까운 것은 용모를 갖추는 일이고 용모를 제대로 갖추려면 공손함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도 자기 자신을 확고히 하려면 공()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