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육언(六言)과 육폐(六蔽)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對曰: “未也.”
女, 音汝, 下同.
○ 蔽, 遮掩也.
“居! 吾語女.
語, 去聲.
○ 禮: 君子問更端, 則起而對. 故孔子諭子路, 使還坐而告之.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好, 知, 並去聲.
○ 六言皆美德, 然徒好之而不學以明其理, 則各有所蔽. 愚, 若可陷ㆍ可罔之類.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蕩, 謂窮高極廣而無所止.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賊, 謂傷害於物.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勇者, 剛之發. 剛者, 勇之體.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狂, 躁率也.
○ 范氏曰: “子路勇於爲善, 其失之者, 未能好學以明之也, 故告之以此. 曰勇, 曰剛, 曰信, 曰直, 又皆所以救其偏也.”
해석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對曰: “未也.”
공자께서 “유야 너는 육언(六言)과 육폐(六蔽)를 들었느냐?”라고 물으시니, 자로는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
女, 音汝, 下同.
○ 蔽, 遮掩也.
폐(蔽)는 가리워진다는 것이다.
“居! 吾語女.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앉거라. 내가 너에게 말해주겠다.
語, 去聲.
○ 禮: 君子問更端, 則起而對.
예에 군자가 질문할 때 단서를 바꾸면 일어나 대답한다고 했다.
故孔子諭子路, 使還坐而告之.
그러므로 부자가 자로에게 가르쳐 다시 앉도록 하여 말해준 것이다.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인을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길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리석게 되고,
好, 知, 並去聲.
○ 六言皆美德,
육언(六言)은 모두 아름다운 덕이지만
然徒好之而不學以明其理, 則各有所蔽.
다만 좋아하기만 하고 배워 그 이치를 밝히지 않으면 각각 가려진 바가 있게 된다.
우(愚)는 빠뜨릴 수 있고 속일 수 있는 종류다.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지(智)를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길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방탕하게 되며,
蕩, 謂窮高極廣而無所止.
탕(蕩)은 고상함을 다하고 확충하길 지극히 하여 그칠 곳이 없는 것이다.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믿음을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길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해치게 되고,
賊, 謂傷害於物.
적(賊)은 외물에 상하고 해치는 것을 말한다.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강직하길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길 좋아하지 않으면 급하게 되며,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용맹을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길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난리를 피우고,
勇者, 剛之發. 剛者, 勇之體.
용(勇)은 강(剛)이 발현된 것이고, 강(剛)은 용(勇)의 체(體)다.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굳셈을 좋아하기만 하고 배우길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함부로 행동하게 된다.
狂, 躁率也.
광(狂)은 조급하고 경솔한 것이다.
○ 范氏曰: “子路勇於爲善,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자로가 선을 행하는 것엔 용맹하지만
其失之者, 未能好學以明之也, 故告之以此.
단점은 배움을 좋아하여 밝히질 않았기에 이로써 알려줬다.
曰勇, 曰剛, 曰信, 曰直,
용(勇)과 강(剛)과 신(信)과 직(直)은
又皆所以救其偏也.”
또한 모두 그 치우친 것을 구제하려 한 것이다.”
○ ‘논어’ ‘양화(陽貨)’ 제8장은 공자가 자로(子路)에게 육언육폐(六言六蔽)를 가르쳐 준 내용으로 되어 있다. 공자의 평소 어투와 달라서 후대의 찬입(竄入)이라는 설도 있다. 하지만 자로(子路)는 평소 선언선행(善言善行)을 보면 곧바로 받아들이고 의리(義理)에 용맹했으나 학문을 깊이 하지 않아서 폐해(弊害)에 빠질 우려가 있었으므로 공자가 알기 쉽게 가르쳐 준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곧, 공자는 인지신직용강(仁知信直勇剛)의 육언(六言)도 학문을 하지 않으면 각각 우탕적교란광(愚蕩賊絞亂狂)의 육폐(六蔽)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환기시켰다.
전체 글은 동일한 어법 구조를 지닌 여섯 개의 문장을 나열한 형태로 되어 있다. 폐(蔽)는 차엄(遮掩), 즉 막아서 가림이니 곧 폐해(弊害)를 말한다. 인(仁)은 훌륭한 덕목이지만 호인(好仁)이 지나쳐서 한꺼번에 많은 사람을 구제하려고 하면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우(愚)의 폐해에 빠질 수 있다. 지(知)는 지(智)와 같다. 탕(蕩)은 흐트러진다는 뜻이다. 주자는 높이를 궁극에까지 추구하고 넓이를 궁극에까지 추구하여 그칠 곳을 모르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적(賊)은 해친다는 뜻인데, 잔인(殘忍)함을 말한다. 교(絞)는 끈을 지나치게 꽉 묶은 것처럼 갑갑하다는 뜻이다. 호신(好信)의 폐단은 고지식한 믿음인 량(諒)에서 잘 알 수 있다. 란(亂)은 조리(條理)를 어지럽힘이다. 광(狂)은 경거망동(輕擧妄動)함이다.
인지신직용강(仁知信直勇剛)의 육언(六言)은 확실히 미덕(美德)이지만 그것들을 좋아하기만 하고 그 이치나 시행의 방법을 제대로 배우지 않는다면 본성의 기호를 가리게 된다. 우리도 육언(六言)의 육폐(六蔽)에 빠지지 않도록 참 학문을 해야 하리라.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양화 - 10.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 같다 (0) | 2021.10.14 |
---|---|
논어, 양화 - 9. 시의 효용 흥관군원(興觀群怨) (0) | 2021.10.14 |
논어 양화 - 7. 반역에 성공한 필힐이 공자를 초빙하다 (0) | 2021.10.14 |
논어 양화 - 6. 다섯 가지[恭寬信敏惠]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 (0) | 2021.10.14 |
논어 양화 - 5. 등용이 된다면 동쪽의 주나라로 만들 수 있을 텐데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