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양화 - 23. 젊은 자로가 공자에게 물은 것 본문

고전/논어

논어 양화 - 23. 젊은 자로가 공자에게 물은 것

건방진방랑자 2021. 10. 14. 13:20
728x90
반응형

23. 젊은 자로가 공자에게 물은 것

 

 

子路: “君子尙勇乎?”

, 上之也.

 

子曰: “君子義以爲上. 君子有勇而無義爲亂, 小人有勇而無義爲盜.”

君子爲亂, 小人爲盜, 皆以位而言者也.

尹氏曰: “義以爲尙, 則其勇也大矣. 子路好勇, 故夫子以此救其失也.”

胡氏曰: “疑此子路初見孔子時問答也.”

 

 

 

 

 

해석

子路: “君子尙勇乎?”

자로가 군자는 용맹을 숭상합니까?”라고 여쭈었다.

, 上之也.

()은 숭상하는 것이다.

 

子曰: “君子義以爲上. 君子有勇而無義爲亂, 小人有勇而無義爲盜.”

공자께서 군자는 의()를 으뜸으로 삼는다. 군자가 용맹하기만 하고 의()가 없으면 난을 일으키고, 소인이 용맹하기만 하고 의()가 없으면 도둑이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君子爲亂, 小人爲盜, 皆以位而言者也.

군자는 난을 일으키고 소인은 도둑이 되니, 모두 지위로 말한 것이다.

 

尹氏曰: “義以爲尙, 則其勇也大矣.

윤순(尹淳)이 말했다. “의로써 으뜸을 삼으면 용맹이 크다 할 것이다.

 

子路好勇, 故夫子以此救其失也.”

자로는 용맹을 좋아했기 때문에 부자는 이것으로 잃어버린 것을 구제하려 한 것이다.”

 

胡氏曰: “疑此子路初見孔子時問答也.”

호인(胡寅)이 말했다. “자로가 처음에 공자를 보았을 때의 문답인 듯하다.”

 

논어’ ‘양화(陽貨)’의 제23장에서 공자는 자로(子路)에게 군자지용(君子之勇)과 소인지용(小人之勇)을 변별할 것을 가르쳤다. 곧 군자의 용기는 의()를 존중하는 데 비해 소인의 용기는 그 반대라고 했다.

자로(子路)는 선언선행(善言善行)을 보면 즉각 받아들이고 의리(義理)를 실천하는 데 용맹했으나 학문을 깊이 하지 않아서 폐해(弊害)에 빠질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양화(陽貨)’ 8에서 공자는 그에게 육언육폐(六言六蔽)를 가르쳐 주었다. , 인지신직용강(仁知信直勇剛)의 육언(六言)도 학문을 하지 않으면 각각 우탕적교란광(愚蕩賊絞亂狂)의 육폐(六蔽)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했다. 이때 용()의 덕이 있더라도 학문을 하지 않으면 난()의 폐단에 빠진다고 했으니, 그 가르침은 여기서의 가르침과 통한다.

이 장에는 군자(君子)란 말이 세 번 나온다. 처음 둘은 유덕자(有德者)를 마지막은 위정자(爲政者)를 가리키는 듯하다. 의이위상(義以爲上)의 상()은 상()과 마찬가지로 숭상(崇尙)한다는 말이다. 위란(爲亂)과 위도(爲盜)의 위()을 행한다이다.

1832년 겨울에 동지사행의 서장관으로 중국에 들어간 김경선(金景善)은 요동성 관제묘를 관람하여 관우(關羽)의 상을 모신 대장부전(大丈夫殿) 뒤쪽의 층계 문 오른쪽에 정대광명(正大光明)’의 편액이 있고 오른쪽에 의이위상(義以爲上)’의 편액이 있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의이위상(義以爲上)의 편액에서 알 수 있듯이 관우(關羽)는 군자지용(君子之勇)의 전형(典型)으로 칭송되었던 것이다.

공자는 소인의 용기를 우려했다. 하지만 군자인 척하면서 불의(不義)에 맞서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또한 공자의 꾸지람을 들어 마땅하리라.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