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배우지 않았지만 배웠다고 할 수 있는 사람에 대해
子夏曰: “賢賢易色, 事父母能竭其力,
子夏, 孔子弟子, 姓卜, 名商. 賢人之賢, 而易其好色之心, 好善有誠也.
事君能致其身, 與朋友交言而有信.
致, 猶委也. 委致其身, 謂不有其身也.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四者皆人倫之大者, 而行之必盡其誠, 學求如是而已. 故子夏言有能如是之人, 苟非生質之美, 必其務學之至. 雖或以爲未嘗爲學, 我必謂之已學也.
○ 游氏曰: “三代之學, 皆所以明人倫也. 能是四者, 則於人倫厚矣. 學之爲道, 何以加此. 子夏以文學名, 而其言如此, 則古人之所謂學者可知矣. 故「學而」一篇, 大抵皆在於務本.”
吳氏曰: “子夏之言, 其意善矣. 然辭氣之間, 抑揚太過, 其流之弊, 將或至於廢學. 必若上章夫子之言, 然後爲無弊也.”
해석
子夏曰: “賢賢易色, 事父母能竭其力,
자하가 말했다. “어진 이를 어질게 대우함에 아리따운 아가씨를 대하는 마음처럼 하고 부모를 섬김에 힘을 다해서 하며
子夏, 孔子弟子, 姓卜, 名商.
자하는 공자 제자로 성은 복(卜)이고 이름은 상(商)이다.
賢人之賢, 而易其好色之心, 好善有誠也.
남의 어짊을 어질게 여기되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꿔서하면 선을 좋아함에 성실함이 있는 것이다.
事君能致其身, 與朋友交言而有信.
임금을 섬김에 몸을 바쳐서 하고 벗과 사귐에 말을 미덥게 한다면
致, 猶委也.
치(致)는 위(委)와 같다.
委致其身, 謂不有其身也.
그 몸을 바친다는 것은 자신의 몸으로 소유하지 않고 임금의 몸으로 여기는 것이다.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비록 배우지 않았다 할지라도 나는 반드시 배웠다고 말하리라.”
四者皆人倫之大者, 而行之必盡其誠, 學求如是而已.
네 가지는 모두 인륜의 큰 것이요, 행함에 반드시 성실함을 다하는 것이니 학자는 이와 같기를 구할 뿐이다.
故子夏言有能如是之人, 苟非生質之美, 必其務學之至.
그러므로 자하는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진실로 타고난 자질이 아름답지 않다 해도 반드시 학문에 힘쓰기를 지극히 하는 것이다.
雖或以爲未嘗爲學, 我必謂之已學也.
비록 혹 일찍이 배우지 않았다 해도 나는 반드시 이미 배웠다고 말하겠다고 말한 것이다.
○ 游氏曰: “三代之學, 皆所以明人倫也. 能是四者, 則於人倫厚矣. 學之爲道, 何以加此?
유초(游酢)가 말했다. “삼대(三代)의 학문이 다 인륜을 밝힌 것이다. 이 네 가지를 할 수 있다면 인륜에 대해 잘 아는 것이다. 배움의 도됨이 어찌 여기에 더하겠는가?
子夏以文學名, 而其言如此, 則古人之所謂學者可知矣. 故「學而」一篇, 大抵皆在於務本.”
자하는 문학으로 이름 알려졌으니, 그가 한 말이 이와 같다면 옛 사람의 배움이란 알 만하다. 그러므로 「학이」 한 편은 대저 모두 근본에 힘씀에 있다.”
吳氏曰: “子夏之言, 其意善矣.
오역(吳棫)이 말했다. “자하의 말이 그 의미가 좋다.
然辭氣之間, 抑揚太過, 其流之弊, 將或至於廢學.
그러나 어기(語氣)의 사이에 억제하거나 드날림이 크게 지나쳐 흐름의 폐단이 장차 혹 배움을 없애는 데에까지 이르게 된다.
必若上章夫子之言, 然後爲無弊也.”
반드시 6장의 ‘부자의 말’과 함께 같이 한 후에야 폐단이 없을 것이다.”
현현역색(賢賢易色) | ||
고주(古註) | 육조(六朝) | 송유(宋儒) |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으로 현인을 좋아한다. 言以好色之心好賢, 則善也.(공안국) |
현인을 존중하고자 한다면 평상시의 안색을 바꿔 장엄한 얼굴색을 띄어라. 若欲尊重此賢人, 則當改易其平常之色. 更起莊敬之容也 |
현인을 숭상하되 여색을 가벼이 하라. |
인용
文策(이이)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학이 - 9. 초상과 제사가 중요하다 (0) | 2021.09.25 |
---|---|
논어 학이 - 8. 허물이 있다면 고치길 꺼려하지 말라 (0) | 2021.09.25 |
학이 - 6. 기본이 갖춰진 후에 글을 배워라 (0) | 2021.09.25 |
학이 - 5. 제후의 나라를 다스리는 법 (0) | 2021.09.25 |
학이 - 4. 증자는 하루에 세 번 자신의 몸을 살피다 (0) | 202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