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6. 총평
1
연암은 글의 거죽만 읽으려 들지 말고 글에 깃들여 있는 글쓴이의 마음을 읽으라고 말하고 있다. 연암의 이 말은 우리가 연암의 글을 읽을 때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연암이 쓴 글들의 거죽만 보고 이러쿵저러쿵 말하거나 환호할 것이 아니라, 그 심부深部에 깃들여 있는 연암의 마음, 연암의 고심을 읽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연암의 글을 피상적으로 읽고 망발을 일삼거나 대중을 위한다면서 혹세무민하는 사람들은 없는가? 혹 그런 사람이 있다면 연암의 이 말에 두려움을 느껴야 마땅하리라.
2
이 글 2단락의 나비 잡는 아이의 비유는 그 표현이 썩 참신하다. 연암은 글쓰기에서 비유나 은유를 퍽 잘 활용했는데, 이런 데서 연암의 기발한 상상력이 잘 드러난다.
3
연암이 인간 심리를 포착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지녔음은 앞에서도 지적한 바 있지만 이 글의 비유에서도 그 점이 잘 확인된다.
인용
3. 사마천이 『사기』를 쓸 때의 마음과 나비를 놓친 아이의 마음
6. 총평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책 > 한문(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희병 - 연암을 읽는다 목차 (0) | 2020.04.18 |
---|---|
경지에게 보낸 세 번째 편지 - 5. 높은 수준의 글을 쓰도록 만드는 결락감 (0) | 2020.04.18 |
경지에게 보낸 세 번째 편지 - 4. 수치심과 분만감으로 쓴 『사기』 (0) | 2020.04.18 |
경지에게 보낸 세 번째 편지 - 3. 『사기』를 쓸 때 사마천의 마음과 나비를 놓친 아이의 마음 (0) | 2020.04.18 |
경지에게 보낸 세 번째 편지 - 2. 작가는 고심 때문에 글을 쓸 수밖에 없다 (0) | 2020.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