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 2. 작품의 성격과 그 의의, 3) 운영전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 2. 작품의 성격과 그 의의, 3) 운영전

건방진방랑자 2021. 2. 1. 10:15
728x90
반응형

 3) 운영전(雲英傳)

 

운영전의 작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창작연대는 17세기 초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먼저 작품 내용에 萬曆辛丑국립도서관본 운영전, 2.이라는 년도와 갓 전란을 겪은 뒤인지라 장안의 궁궐과 성안에 가득했던 집들이 텅 빈 채 남아 있지 않았다[新經兵燹之餘, 長安宮闕, 滿城華屋, 蕩然無有].’라는 구절을 들 수 있다. 운영전의 서두에는 임진왜란 직후 황패화된 서울의 모습을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는데, 이 구절은 그 중 일부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만력 신축년인 1601년 이후 임진왜란의 상흔이 분명하게 남아 있던 시점에서 창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국립도서관본에는 柳泳傍 卽雲英偉이라는 제목 아래 大明天啓二十一年이라는 간기(1641)가 필사되어 있는데, 이는 국립도서관본이 저본으로 삼았던 책에 본래 적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신경숙(1990),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어문학, 한성대, 59.. 이렇게 볼 때, 운영전1601년에서 1641년 사이에 창작되었음이 거의 확실하다고 하겠다.

 

운영전은 몰락한 선비인 유영이 안평대군의 사처(私處)였던 수성궁을 구경하러 갔다가 안평대군의 궁녀였던 운영과 김진사의 혼령을 만나 그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듣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장헌대왕의 아들 8대군 가운데 안평대군이 가장 영리하고 뛰어났다. 대군은 당대의 문사들과 어울려 지내지만 그들의 문장에 만족하지 못하고 궁녀 10명을 뽑아 시문 등을 가르친다. 이 과정에서 대군은 궁녀들에게 궁 밖의 사람들과 일체 접촉하지 못하도록 엄명을 내린다. 그러던 어느 날 소년 유생인 김진사가 안평대군을 찾아오는데, 대군은 김진사가 어리다고 생각하여 궁녀들로 하여금 곁에서 거문고를 타거나 묵을 갈게 한다. 이 자리에서 운영과 김진사는 서로 연정을 느끼지만 마음을 토로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 며칠 뒤 안평대군의 부름으로 김진사가 다시 수성궁에 오게 되는데, 운영은 남 몰래 자신의 마음을 적은 편지를 김진사에게 전달한다. 편지를 통해 운영의 마음을 알게 된 김진사는 수성궁에 출입하는 무녀를 통해 답서를 전한다. 이후 운영과 김진사는 동료 궁녀인 자란과 김진사의 노비인 특의 도움으로 밤마다 수성궁에서 밀회를 즐긴다. 그러나 이들의 밀회는 오래가지 않는다. 대군이 운영의 시와 김진사의 상량문을 통해 이들의 관계를 의심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운영과 김진사는 달아날 계획을 세우고 특을통해 운영의 모든 재물을 궁궐 밖으로 내보낸다. 그러나 노비 특이 중간에서 이 재물을 가로채기 위해 운영과 김진사의 관계를 폭로하여 대군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한다. 화가 난 대군은 궁녀들을 죽이기로 작정하고 운영과 함께 거처했던 5명의 궁녀들을 붙잡아 직접 문초하는데, 궁녀들은 한결같이 남녀의 정욕은 민간의 자연스런 마음이라며 항변한다. 이에 대군은 운영을 별당에 가두고 나머지 궁녀들은 모두 풀어주나, 이날 밤 운영은 자결을 하고 만다. 운영이 죽은 뒤 김진사는 운영의 명복을 빌어주려고 쌀 40석을 준비했으나 믿고 맡길 만한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노비 특을 불러 지난 잘못을 용서해 주고 절에 올라가 운영의 명복을 빌어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특은 절에 올라가 명복을 빌기는커녕 패악한 짓만을 일삼는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김진사는 몸소 절에 올라가 운영의 명복을 빌고, 또 특을 죽여달라고 간절히 기도한다. 이후 7일만에 특은 김진사의 소원대로 함정에 빠져 죽으며, 김진사 역시 4일 동안 아무 것도 먹지 않다가 죽고 만다. 이 이야기를 들은 유영은 그 뒤에 침식을 전폐하고 명산을 두루 돌아다녔는데, 그가 어디에서 생을 마쳤는지는 알 수 없다.

 

 

운영전은 궁녀인 운영과 젊은 유생인 김진사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중세적 이념과 사회질서의 반인륜적인 측면을 문제삼은 작품이다. 이런 점에서 운영전주생전이나 위경천전처럼 이생규장전과 같은 애정전기소설의 주제를 이어받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운영전주생전이나 위경천전과 다른 점은 애정의 파탄을 전란과 연계시키지 않고 사회 내부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사회적 장벽을 구체적으로 문제삼고 있다는 점김종철(1995), 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앞 책, 47.이다. 주생전이나 위경천전은 남녀의 정욕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있는데, 이는 예교의 속박으로부터 삶의 자유를 얻고자 하는 저항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들 작품은 궁극적으로 신분의 차이와 같은 사회적 장벽을 직접적으로 문제삼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 두 작품에서 남녀 주인공은 신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단 결연을 성취하며, 애정의 파탄은 예기치 않은 전란에서 기인한 것으로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운영전은 궁녀인 운영과 젊은 유생인 김진사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중세적 사회질서와 윤리관을 정면으로 문제삼고 있는 것이다. 물론, 운명전의 소설사적 의의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영전은 고전소설에서는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높은 현실주의적 성취를 이루었다. 특히 안평대군과 궁녀들의 갈등을 서술자의 주관적인 시각이나 관념적 재단을 배제하고 서사세계의 갈등과 귀결을 통해 현실세계의 갈등을 매우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는데, 이는 중세적 이념과 사회질서의 모순을 정확하게 인식했던 작가 의식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운영전에서 안평대군의 성시(盛時)는 몽유자 유영처럼 철저하게 소외된 지식인이 중세적 이념과 틀 내에서 현실적으로 희구해 볼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시절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런데 운영과 김진사는 바로 그 안평대군 시절에 서로의 사랑을 실현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죽음을 맞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운영전은 현실세계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지식인이 중세적 이념과 틀 내에서 현실적으로 희구해 볼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시절로서 안평대군의 성시를 상정해 놓고, 운영과 김진사의 비극적인 죽음을 통해 그러한 시절 역시 인간의 진정한 삶이 훼손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준 작품이라고 하겠다. 이렇듯 운영전은 중세적 이념과 체제에 입각해 있는 한 어떤 경우에도 인간의 진정한 삶은 실현될 수 없다는 작가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안평대군과 궁녀들의 갈등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실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운영전은 객관적인 서술시각이 전일하게 관철되지 못한 한계 또한 아울러 지니고 있다. 김진사는 자신의 노비인 특에게 속아 운영의 재물를 모두 탈취당했음에도 불구하고 힘이 없어 처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리어 이러한 특에게 쌀 40석을 주어 운영의 명복을 빌어달라고 부탁한다. 또 특이 절에서 운영의 명복을 빌기는커녕 패악한 짓만을 저지르자 김진사는 부처에게 특을 처단해 달라고 기원하며, 김진사의 기원대로 특은 함정에 빠져 죽는다. 여기에서 노비 특의 형상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점차 성장해 가는 노비계층의 현실을 일정하게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노비계층이 아무리 성장했다고 할지라도 주인인 김진사가 부처의 영험을 빌어 노비 특을 처단한다는 해결방식은 비현실적인 것임에 틀림없다. 운영전에서 김진사와 노비 특의 대립은 노비 특의 악행을 부각시키는 차원에서 관념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마지막 대목은 서술자가 관념적인 시각을 견지하면서 사건의 해결에 초점을 맞춘 결과 서사세계의 갈등이 지니는 현실성은 극히 축소되고 비현실적인 해결과정이 서사세계의 핵심을 이루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운영전의 현실주의직 성취와 한계에 대해서는 필자(1998)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고소설 연구5, 고소설학회)을 참조하기 바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운영전은 중세적 이념과 질서의 반인륜적인 측면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실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또 사랑의 시말(始末)이 이전의 전기소설처럼 주인공 개인사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확장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의 삶에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을 주며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정출헌(1996), 운영전의 애정갈등과 그 지극적 성격, 한국고소설사의 시각, 국학자료원, 597.운영전이 개척한 새로운 경지로 평가할 만하다.

 

 

 

 

인용

목차 / 지도

1. 머리말

2. 작품의 성격과 그 의의

1) 주생전

2) 위경천전

3) 운영전

4) 상사동기

5) 최척전

3. 맺음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