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 3. 맺음말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 3. 맺음말

건방진방랑자 2021. 2. 13. 14:12
728x90
반응형

 3. 맺음말

 

 

이상에서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인 주생전」 「위경천전」 「운영전」 「상사동기」 「최척전의 작품 성격과 그 의의를 기존의 연구성과를 수렴하는 가운데 살펴보았다. 이들 작품들은 15세기에 창작된 금오신화이생규장전만복사저포기의 전통을 잇고 있다. 한문문어체, 삽입시, 애정주제 등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은 이생규장전이나 만복사저포기와 다른 점 또한 없지 않다. 두 계열간의 가장 뚜렷한 차이는 낭만성과 현실성의 문제이다. 이생규장전만복사저포기에는 산 사람이 여귀와 사랑을 나누는 비현실적인 장면이 빈번하게 나타나는데,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서는 사건 및 갈등의 전개가 철저하게 현실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은 전기소설의 본래적 자질로 거론되어 왔던 환상성을 일정하게 극복하는 진전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작품이 이룩한 현실주의적 성취를 지나치게 높게 평가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이들 작품은 사건을 현실적 토대 위에서 형상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실에서 소외된 지식인들의 낭만적 욕망이 짙게 드리워져 있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주생전에서 주생과 선화의 사랑을 들 수 있다. 귀족집안의 딸인 선화는 주생의 얼굴도 모른 상태에서 주생이 자기방에 들어오자 기꺼이 맞아들여 동침을 한다. 이러한 일은 17세기적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더구나 주생은 몰락한 양반에 불과한 인물이다. 따라서 이들의 사랑은 그만큼 낭만적이거나 환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산 사람과 죽은 혼령의 사랑을 형상화한 금오신화에 비하면, 이것은 사건이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현실적이라고 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자체로만 놓고 본다면 주생과 선화의 사랑은 비현실적인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임진왜란이라는 절망적 현실 속에서 일탈하고자 하는 작가의 낭만적인 지향이 일정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위경천전에서 위경천이 임진왜란에 참전했다가 죽은 시신으로 돌아오자 소숙방도 자결하고 마는데, 소숙방의 죽음은 현실적 필연성보다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옥죄인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대한 온당한 자리매김은 이러한 점을 아울러 고려했을 때 가능할 것인바,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참고문헌

 

강진옥(1986), 최척전에 나타난 고난과 구원의 문제, 이화어문논집, 이화여대 한국학연구소.

김낙효(1989), 영영전의 구조와 의미, 한국학논집16, 한양대.

김일렬(1971), 운영전 고( I ), 어문논총1, 경북대 국문과.

김일렬(1977), 주생전 소고, 어문논총11, 경북대 국문과.

김일렬(1984), 주생전의 작품세계와 비극적 성격, 조선조소설의 구조와 의미, 형설출판사.

김종철(1988), 서사문학사에서 본 초기소설 성립문제-전기소설과 관련하여, 고소설연구논총.

김종철(1995), 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민족문화연구28,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김종철(1995), 고려 전기소설의 발생과 그 행방에 대한 재론, 어문연구26, 충남대 국문과.

리철화 역(1963), 임제 ·권필 작품선집, 조선문학에술총동맹 출판사.

민영대(1987), 최척전에 나타난 작자의 애정관, 국어국문학98, 국어국문학회.

민영대(1987), 최척전 연구, 한남어문학13, 한남어문학회.

민영대(1993), 조위한과 최척전, 아세아문화사.

문범두(1996), 석주권필문학의 연구, 국학자료원.

배원룡(1981), 운영전과 영영전의 비교고찰, 국제어문2, 국제대.

박일용(1987), 운영전과 상사동기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국어국문학98, 국어국문학회

박일용(1992), 명혼소설의 낭만적 경향성과 그 소설사적 의미, 관악어문연구17, 서울대국문과.

박일용(1995), 전기계 소설의 양식적 특징과 그 소설사적 변모 양상, 민족문화연구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박희병(1990), 최척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박희병(1992),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서울대 국문과.

박희병(1994), 설화와 전기소설의 장르와 그 성격-전기소설의 문제, 한국한문학연구17, 한국한문학연구회 .

박희병(1995), 전기적 인간의 미적 특질, 민족문학사연구7, 민족문화연구소.

서인석(1995), 17세기 전후 민족현실과 소설의 발전, 민족문학사강좌(), 창작과비평사.

성현경(1977), 운영전의 성격, 국어국문학76, 국어국문학회.

소재영(1971), 운영전 연구, 아세아연구41,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소재영(1976), 석주 권필론, 숭전대논문집6, 숭전대 인문과학연구소.

소재영(1980), 임병양란과 문학의식, 한국연구원.

신경숙(1990),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어문학, 한성대.

신재홍(1989), 초기 한문소설집의 전기성에 관한 반성적 고찰, 관악어문연구14, 서울대국문과.

윤재민(1995), 전기소설의 인물 성격, 민족문화연구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윤재민(1996), 전기소설의 성격, 한국한문학연구창립 20주년기넘특집호, 한국한문학회.

이상구(1998), 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 고소설연구5, 한국고소설학회.

이헌홍(1982),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적 구조, 수련어문논집9, 부산여대.

이혜순(1933), 전기소설의 전개,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임형택(1981),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국한문학연구5, 한국한문학연구회.

임형택(1992), 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 동양학22,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정규복(1970), 운영전의 문제, 고대문화11, 고려대 총학생회.

정 민(1994), 위경천전의 낭만적 비극성, 한국학논집24, 한양대 한국?연구소.

정 민(1999), 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태학사.

정병호(1998), 주생전과 위경천전의 비교 고찰, 고소설연구6, 한국고소설학회,

정출헌(1996), 운영전의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한국고소설사의 시각, 국학자료원.

정학성(1982), 전기소설의 문제,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조동일(1984),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조수학(1975), 최치윈전의 소설성, 영남어문학2, 영남어문학회.

지준모(1975), 전기소설의 효시는 신라에 있다-조신전을 해부함, 어문학32, 한국어문학회.

지준모(1976), 신라수이전 연구, 어문학35, 한국어문학회.

차용주(1989), 한국한문소설사, 아세아문화사.

 

 

 

 

인용

목차 / 지도

1. 머리말

2. 작품의 성격과 그 의의

1) 주생전

2) 위경천전

3) 운영전

4) 상사동기

5) 최척전

3. 맺음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