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선후기 한시 쇄신의 방향과 주자학: 진시(眞詩) 목차
김형술(전주대 한문교육과)
① 명나라 전후칠자(前後七子)의 복고론
② 명대 복고파 이론의 영향력
1) 17세기 조선의 정두경(鄭斗卿, 1597-1673)
2) 18세기 에도 문단의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
4) 조선후기 백악시단(白嶽詩壇)의 명대 복고파 비판
4. 시(詩)의 실상
① 산수에의 밀착과 형신(形神)을 통한 진면목의 묘파(描破)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연재 > 배움과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형술 한시 특강 - 2. 건빵이 한시특강을 듣는 이유 (0) | 2021.12.19 |
---|---|
김형술 한시특강 - 1. 형술쌤이 초대한 한시의 세계에서 한바탕 춤을 추다 (0) | 2021.12.19 |
조선후기 한시 쇄신의 방향과 주자학 - 9. 시(詩)의 실상: 情의 울림② (0) | 2021.12.19 |
조선후기 한시 쇄신의 방향과 주자학 - 8. 시(詩)의 실상: 情의 울림① (0) | 2021.12.19 |
조선후기 한시 쇄신의 방향과 주자학 - 7. 시(詩)의 실상: 물아교감(物我交感)의 이지적(理智的) 일상 (0) | 202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