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위시(爲是)와 인시(因是)
1. 일상적 판단엔 특정 시기의 미적 규칙이 반영되어 있다
이제 발제 원문을 직접 읽어보자. 발제 원문 초반을 장식하는 것은 위(爲是)라는 개념과 인시(因是)라는 개념이다. 우선 먼저 위시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위시는 ‘~라고 여기다’를 의미하는 위(爲)라는 글자와 ‘이것, 이쪽, 옳다, 이렇다’를 의미하는 시(是)라는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위시라는 말은 ‘이것이라고 여기다’, 혹은 ‘어떤 것을 옳다고 여기다’라고 번역될 수 있는 말이다. 본문에 위시라는 판단양식의 예로 장자가 들고 있는 것은 아름다움과 추함에 대한 것이다. 일상적으로 우리는 서시와 같은 아름다운 여자를 아름답다고 판단하고 문둥병에 걸려서 얼굴이 얽은 여자를 추하다고 판단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미추(美醜)에 대한 판단을 정당화해줄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서시와 같은 미인을 아름답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이미 우리는 그 기준이 역사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예를 들어보자. 자본주의가 들어오기 이전 봉건적 시대에서 미인의 특징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이 시대의 미인들이 모두 통통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봉건시대에서 통통함은 희소성의 원칙에 의해 가치가 있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반복되는 가뭄과 흉년, 그리고 보리고개와 같은 열악한 경제조건 하에서 여성의 통통함은 그만큼 희소했던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경제적 기반이었다. 어느 정도의 경제적 기반이 없다면 여성은 결코 통통하게 살찔 수 없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반면 자본주의가 들어온 후 통통함이라는 미인의 이미지는 더 이상 미인을 규정하는 특성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경제의 발전으로 인한 풍부한 영양공급으로 거의 웬만한 여성들은 모두 통통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통함은 결코 이제 미인의 기준이 될 수가 없게 된 것이다. 자본주의 시대에는 가늘고 마른 형태가 미인의 새로운 기준으로 도입된다. 이것도 물론 희소성의 원칙이 작용한 것이다. 풍부한 영양으로 어느 여성이든 쉽게 통통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도 경제적 여건이 허락되지 않는다면, 통통해진 몸을 날씬하게 유지할 수 없는 법이다. 저지방 음식을 먹는다거나 혹은 다이어트를 한다거나 하는 모든 노력에는 경제적 힘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저 여자는 아름답다’는 우리의 일상적인 판단은 특정한 시기의 특정한 공동체의 미적 규칙이 초자아로 내면화되면서 가능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일상적인 우리의 마음과 판단은 내면화된 공동체(=초자아)의 규칙에 의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내면화된 공동체의 규칙에 따라 주체는 특정한 판단과 행위를 하는 규정된 주체로 자신을 만들 뿐만 아니라 아울러 조우하는 타자에 대해서도 이런 규칙을 강요하게 된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일상적인 사람들은 이렇게 특정한 공동체에 살면서 형성된 자신의 모습을 마치 진정한 자신의 모습인 양 맹신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래서 만약 누군가가 공동체의 규칙에 위배되는 행동과 판단을 하게 되면, 일상적인 사람은 자신의 인격을 무시당한 것처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결국 위시라는 판단형식은 이처럼 현재 자신의 판단이 자신의 판단이 아니라 특정한 공동체의 규칙에 입각한 판단이라는 것을 망각하고, 내면화된 규칙을 진정으로 자신이 입법한 것이라고 착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용
'고전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Ⅷ. 수양과 삶의 통일 - 2. 위시(爲是)와 인시(因是), 유한한 존재가 무한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 (0) | 2021.07.04 |
---|---|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Ⅷ. 수양과 삶의 통일 - 2. 위시(爲是)와 인시(因是), ‘인시(因是)’라는 주체 형식 (0) | 2021.07.04 |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Ⅷ. 수양과 삶의 통일 - 1. 장자의 도(道), 대화처럼 보이는 독백 (0) | 2021.07.04 |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Ⅷ. 수양과 삶의 통일 - 1. 장자의 도(道), 주체 형식을 부단히 재조정하다 (0) | 2021.07.04 |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Ⅷ. 수양과 삶의 통일 - 1. 장자의 도(道), 지행합일의 한계와 극복법 (0) | 2021.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