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시사, 조선후기의 황량과 조선시의 자각 - 1. 시론가의 시업(김득신) 본문

책/한시(漢詩)

한시사, 조선후기의 황량과 조선시의 자각 - 1. 시론가의 시업(김득신)

건방진방랑자 2021. 12. 21. 09:13
728x90
반응형

 김득신(金得臣, 1604 선조37~1684 숙종10, 子公, 柏谷)은 시화서(詩話書) 종남총지(終南叢志)를 저술한 시론가이며 시인이다.

 

그는 정두경(鄭斗卿)ㆍ임유후(任有後)ㆍ홍석기(洪錫箕)홍만종(洪萬宗) 등 당대의 시인들과 망년의 사귐을 맺었다. 그가 교유했던 이들이 대체로 당시(唐詩)를 숭상하였거니와 그 자신도 또한 당풍(唐風)에 경도하고 있었기 때문에 남의 시를 평할 때의 기준이 당시에 있었던 것은 물론이다.

 

그는 타고난 천재로 시를 쓴 시인이기보다 후천적인 단련으로 좋은 시를 남긴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독수기(讀數記)에서 백이전(伯夷傳)을 일억독(一億讀)했다고 하고 자신의 서재를 억만재(億萬齋)’라 이름 붙였다 하거니와, 그를 곁에서 본 홍만종(洪萬宗)도 서슴없이 그의 재질이 노둔하다고 소화시평(小華詩評)권하 84에서 증언하였다[金栢谷得臣, 才稟甚魯, 多讀築址, 由鈍而銳].

 

그러나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평생 시업(詩業)에 정진하였으며, 꾸미고 단련하는 일에 힘썼다[金柏谷得臣平生工詩, 雕琢肝腎, 一字千鍊, 必欲工絶. 수촌만록(水村漫錄)].

 

이렇게 하여 그의 시는 소화시평(小華詩評)권하 84에선 매우 당시와 핍진하다[極逼唐家]”라 했고, 수촌만록(水村漫錄)에선 어찌 당나라 시인에게 사양하리오[何讓唐人]?”이라 했으며, 동시화(東詩話)에선 모두 당나라 시인의 기풍과 격조가 있다[皆有唐人氣調].”라고 하여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그의 시작(詩作) 가운데서도 특히 전가(田家)(五絶)목천도중(木川途中)(七絶)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여기서는 김득신(金得臣)전가(田家)를 보인다.

 

籬弊翁嗔狗 呼童早閉門

울타리 무너져 늙은이가 개를 꾸짖으며, 아이 불러 일찍 문을 닫게 하네.

昨夜雪中跡 分明虎過村

어젯밤 눈 속에 발자욱 보니, 분명히 호랑이가 마을을 지났으리라.

 

백곡집(柏谷集)에는 위와 같이 기록하고 있으나, 대동시선에는 전구(轉句)와 결구(結句)작야(昨夜)’분명(分明)’의 자리가 서로 바뀌어 분명설중적 작야호과촌(分明雪中跡, 昨夜虎過村)”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은 측기식(仄起式)으로 되어 있으므로 근체(近體) 율격(律格)에서 보면 대동시선의 기록이 옳다. 임방(任埅)수촌만록(水村漫錄)에서 이 시와 손필대(孫必大)전가(田家)를 비교하고, 시골의 풍경을 있는 그대로 핍진하게 그렸다는 점에서 김득신의 시가 더 나으며 아마도 김득신의 시 가운데서도 가장 훌륭한 시일 것이라 칭찬하였다[孫必大田家詩云: ‘日暮罷鋤歸, 稚子迎門語. 東家不愼牛, 齕盡溪邊黍金柏谷得臣亦有田家詩云: ‘籬弊翁嗔狗 呼童早閉門, 昨夜雪中跡 分明虎過村兩兩作俱絶佳, 莫上莫下, 睡村李子三謂余曰: “柏谷絶句, 世以爲古木寒烟雲 爲絶唱,” 而余則曰: “籬弊翁嗔狗爲勝, 以其模寫情境逼眞故也.” 子三之言信然.].

 

전인(前人)들의 평가에서처럼 공을 들인 흔적은 역력하지만, 드날림이 없는 아쉬움은 어찌하지 못한다.

 

 

 

 

인용

목차 / 略史

우리 한시 / 서사한시

한시미학 / 고려ㆍ조선

眞詩 / 16~17세기 / 존당파ㆍ존송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