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소화시평 상권 - 105. 신응시의 두견새 본문

문집/소화시평

소화시평 상권 - 105. 신응시의 두견새

건방진방랑자 2021. 10. 28. 05:21
728x90
반응형

 105. 신응시의 두견새

 

 

辛白麓應時, 嘗以弘文修撰入直時, 宣廟以海棠下杜鵑啼爲題, 使諸學士製造.

白麓詩: ‘春盡棠花晩, 空留蜀鳥啼. 隔窓聞欲老, 倚枕夢猶凄. 怨血聲聲落, 歸心夜夜西. 吾王方在疚, 莫近上林棲.’ 或傳宣廟時在諒暗中, 覽至末句, 深加歎賞.

 

 

 

 

해석

辛白麓應時, 嘗以弘文修撰入直時, 宣廟以海棠下杜鵑啼爲題, 使諸學士製造.

백록(白麓) 신응시(辛應時)는 일찍이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으로 궁궐에 들어가 숙직할 때에 선조는 해당화 아래 두견새 우네[海棠下杜鵑啼]’라고 제목을 짓고 뭇 학사들에게 짓도록 했다.

 

白麓詩: ‘春盡棠花晩, 空留蜀鳥啼. 隔窓聞欲老, 倚枕夢猶凄. 怨血聲聲落, 歸心夜夜西. 吾王方在疚, 莫近上林棲.’

백록이 시를 지었으니 다음과 같다.

 

春盡棠花晩 空留蜀鳥 봄은 갔지만 해당화 늦게 펴 속절없이 촉나라 새 머물며 지저귀니
隔窓聞欲老 歌枕夢猶悽 창 너머 듣고 있자니 나이 든 것 같고 베개 노래 속 꿈꾸자니 아직도 머물고 있구나.
怨血聲聲落 歸心夜夜西 원망스런 피는 소리마다 얽혀있고 돌아가고픈 마음은 밤마다 깃드네.
吾王方在疚 莫近上林栖 우리 임금님은 시방 고질병이 있으니 상림에 살며 사냥을 가까이 하진 마시길.

 

或傳宣廟時在諒暗中, 覽至末句, 深加歎賞.

혹 전하기로 선조께서 상 중양암(諒闇): 임금이 거상(居喪)할 때의 거처를 말하는데, 보통 제왕의 거상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예기』 「상복사제(喪服四制)은나라 고종이 양암에서 3년 동안 말하지 않았다[高宗諒闇 三年不言].”라는 서경의 말이 인용되어 있는데, 서경』 「무일(無逸)에는 양암(亮陰)으로 되어 있다. 논어』 「헌문(憲問)에는 고종이 양암(諒陰)에서 3년 동안 말하지 않았다면서, 그 까닭에 대해 임금이 죽었을 때에는 백관들이 자기의 직책을 총괄하여 3년 동안 총재의 명을 듣는다[君薨 百官總己 以聽於冢宰三年].”라고 설명한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에 계셨는데 보다가 끝 구절에 이르자 매우 탄복하며 칭찬을 더했다고 한다.

 

 

인용

목차 / 작가 / 서설

한시사 / 한시미학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