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무례한 인간의 특징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葸, 絲里反. 絞, 古卯反.
○ 葸, 畏懼貌. 絞, 急切也. 無禮則無節文, 故有四者之弊.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故舊不遺, 則民不偸.”
君子, 謂在上之人也. 興, 起也. 偸, 薄也.
○ 張子曰: “人道知所先後, 則恭不勞, 愼不葸, 勇不亂, 直不絞, 民化而德厚矣.”
○ 吳氏曰: “君子以下, 當自爲一章, 乃曾子之言也.”
愚按: 此一節與上文不相蒙, 而與首篇愼終追遠之意相類, 吳說近是.
해석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무례하면 수고롭기만 하고, 신중하되 무례하면 두려우며, 용맹하되 무례하면 난리를 피우고, 강직하되 무례하면 급해진다.
葸, 絲里反. 絞, 古卯反.
○ 葸, 畏懼貌. 絞, 急切也.
시(葸)는 두려워하는 모습이다. 교(絞)는 급박하고 절실한 것이다.
無禮則無節文, 故有四者之弊.
무례하면 절문(節文)이 없기 때문에 네 가지의 폐단이 있게 된다.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故舊不遺, 則民不偸.”
군자가 친한 이들에게 독실하면 백성이 인에 흥기하고 옛적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각박하지 않는다.”
君子, 謂在上之人也. 興, 起也. 偸, 薄也.
○ 張子曰: “人道知所先後,
장자가 말했다. “사람의 도의 선후인 것을 알면
則恭不勞, 愼不葸,
공손하되 수고롭지 않고 삼가되 두렵지 않으며
勇不亂, 直不絞,
용맹하되 난리를 피우지 않고 강직하되 급하지 않아
民化而德厚矣.”
백성이 교화되고 덕이 두터워진다.”
○ 吳氏曰: “君子以下, 當自爲一章,
오역(吳棫)이 말했다. “군자 이하는 마땅히 스스로 한 장이 되어야 하니
乃曾子之言也.”
곧 증자의 말이다.”
내가 생각하기로 이 한 절은 윗글과 서로 연결되지 않고
而與首篇愼終追遠之意相類, 吳說近是.
「학이」9의 ‘신종추원(愼終追遠)’의 뜻과 유사하니, 오씨의 설이 옳음에 가깝다.
○ 예(禮)란 무엇인가? 예는 행동을 절제하고 욕망을 조절하며 관계를 조화시킨다. 용모(容貌)나 위의(威儀)로 나타나는 예법만 아니라 그 근거가 되는 이치를 뜻하기도 한다. ‘논어’ 태백(泰伯)편의 이 장(章)에서는 후자의 예(禮)에 대해 말했다.
공이무례즉로(恭而無禮則勞)에서 공(恭)은 공손(恭遜)이란 뜻이다. 로(勞)는 노고(勞苦)나 불안(不安)으로 풀이한다. 이(而)는 앞말의 흐름을 역전시켜 ∼하되 ∼하다로 이어준다. 즉(則)은 원인, 조건의 구와 결과의 구를 묶어준다. 같은 짜임의 구가 이어지므로 아래 세 구문도 첫 구와 같은 식으로 풀이하면 된다.
신이무례즉사(愼而無禮則葸)에서 신(愼)은 신중(愼重), 사(葸)는 외구(畏懼)나 불이(不怡, 기쁘지 않음)의 뜻이다. 정약용은 예에 맞지 않고 지나치게 조심하면 안색이 언짢게 된다는 뜻으로 보았다[非禮而過於愼則其色似不怡者].
용이무례즉란(勇而無禮則亂)에서 용(勇)은 용맹(勇猛), 난(亂)은 난폭(亂暴)이나 문란(紊亂)이다.
직이무례즉교(直而無禮則絞)에서 직(直)은 강직(剛直), 교(絞)는 급절(急切)이나 박절(迫切)이다.
팔일(八佾)편에서는 예법에 편향되는 일을 경계하여 ‘회사후소(繪事後素)’를 강조했다.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이 있은 다음이다’라고 해서 충신(忠信) 등의 내용이 우선이고 예법은 뒤라고 말했다. 반대로 예의 절제를 받지 않으면 어떠한 덕목도 올바르게 구현될 수 없다. ‘예기’ 중니연거(仲尼燕居)편에 보면 공경하되 예에 맞지 않으면 야(野), 공손하되 예에 맞지 않으면 급(給, 아첨함), 용감하되 예에 맞지 않으면 역(逆)이라 한다고 했다. 공(恭)·신(愼)·용(勇)·직(直)은 과연 훌륭한 덕목이지만 바르게 실현하려면 예에 부합해야만 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태백 - 4. 증자가 죽기 전에 위정자에게 해주고 싶던 말 (0) | 2021.10.08 |
---|---|
논어 태백 - 3. 증자, ‘전이귀지(全而歸之)’에서 해방되다 (0) | 2021.10.08 |
논어 태백 - 1. 고공단보의 맏아들 태백에 대해 (0) | 2021.10.08 |
논어 - 7. 술이 전문 (0) | 2021.10.07 |
논어 술이 - 37. 공자란 사람에 대해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