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자로 - 27. 인(仁)에 가까운 네 가지 자질 본문

고전/논어

논어 자로 - 27. 인(仁)에 가까운 네 가지 자질

건방진방랑자 2021. 10. 12. 18:56
728x90
반응형

27. ()에 가까운 네 가지 자질

 

 

子曰: “, 近仁.”

程子: “木者, 質樸. 訥者, 遲鈍. 四者, 質之近乎仁者也.”

氏曰: “剛毅則不屈於物欲, 木訥則不至於外馳, 故近仁.”

 

 

 

 

해석

子曰: “, 近仁.”

공자께서 강직함과 굳셈과 질박함과 어눌함이 인()에 가깝다.”라고 말씀하셨다.

程子: “木者, 質樸.

정이천이 말했다. “()은 질박한 것이다.

 

訥者, 遲鈍.

()은 더디고 둔한 것이다.

 

四者, 質之近乎仁者也.”

네 가지는 바탕이 인에 가까운 것들이다.”

 

氏曰: “剛毅則不屈於物欲,

양시(楊時)가 말했다. “강직하고 굳세면 물욕에 굽히지 않고

 

木訥則不至於外馳, 故近仁.”

질박하고 어눌하면 외물에 치닫는 데엔 이르지 않기 때문에 인에 가깝다.”

 

논어’ ‘자로(子路)’에서 공자는 강의목눌(剛毅木訥) 자체가 곧바로 인()은 아니지만 인()에 가깝다고 했다. ()은 의지가 강해 물욕에 휘둘리지 않는 일, ()는 기가 강하고 과단성이 있는 모습, ()은 나무 그대로처럼 질박(質樸)한 것, ()은 말수가 적음을 뜻한다.

중국 서부 실크로드의 투루판에서 화염산으로 향하는 길에 아스타나 고분군이 있다. 이곳에는 고창국(高昌國)의 후예로 당나라 태종 때 중국에 복속하여 장씨(張氏) 성을 가진 이민족 귀족이 묻혀 있다. 무덤의 벽화에는 옥인(玉人) 금인(金人) 석인(石人) 목인(木人)의 네 인물이 부조돼 있는데 현지에서는 인간의 일생을 단계별로 표현한다고 해설한다. 하지만 필자가 수상록에서 이미 밝혔듯이 금인(金人)의 입에 세 번 끈이 감겨 있고 그림에 신언인(愼言人, 말을 삼간 사람)이라 적혀 있음을 보면 현지의 해설은 따르기 어렵다.

금인(金人), 곧 신언인(愼言人)공자가어에 나오는 함구(緘口)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 공자가 주()나라로 관광 가서 태조 후직(后稷)의 사당에 들어갔는데 오른쪽 계단 앞에 서 있는 금인(金人)의 입에 끈이 세 번 둘러 있고, 등에는 옛날의 신언인이다[古之愼言人也].’라고 쓰여 있었다. 뒷날 입 다물고 말하지 않는 것을 함구라 했다. , 금인(金人)은 말을 삼가는 눌()의 덕목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로부터 옥인(玉人), 석인(石人), 목인(木人)은 각각 강()의 인간, ()의 인간, (, 質樸)의 인간을 상징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아스타나 고분 벽화의 옥인(玉人), 금인(金人), 석인(石人), 목인(木人)논어에서 말한 인()에 가까운 덕목을 형상화했다.

공자는 학이(學而)’에서 말과 안색을 교묘하게 꾸미는 사람 치고 어진 경우는 드물다[巧言令色, 鮮矣仁].”고 했다. 교언영색(巧言令色)과 강의목눌(剛毅木訥)은 서로 상대되어 구별하기 쉽거늘, 우리는 자주 그 분별을 그르치고는 한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인용

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