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주희 - 중용 해제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주희 - 중용 해제

건방진방랑자 2021. 9. 23. 05:51
728x90
반응형

중용의 개념과 체제

중용장구대전(中庸章句大全)

 

 

中者, 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 , 平常也.

或問: “所謂平常, 亦曰事理之當然, 而無所詭異云爾, 是固非有甚高難行之事, 而亦豈同流合汙之謂哉!”

 

子程子: “不偏之謂中, 不易之謂庸. , 天下之正道; 庸者, 天下之定理. 此篇, 孔門傳授心法. 子思恐其久而差也, 故筆之於書, 以授孟子. 其書始言一理, 中散爲萬事, 末復合爲一理. 放之則彌六合, 之則退藏於密, 其味無窮, 皆實學也.

鄭子曰: “中庸一卷書, 自至理便推之於事. 如國家有九經, 及歴代聖人之迹, 莫非實學也

 

善讀者, 玩索而有得焉, 則終身用之, 有不能盡者矣.”

 

 

 

 

 

 

해석

中者, 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 , 平常也.

()이라는 것은 치우침도 없고 기울어짐도 없는 것이며 과함도 미치지 못함도 없는 것을 말한다. ()은 평상을 말한다.

或問: “所謂平常, 亦曰事理之當然,

혹문에서 말했다. “평상이란 것은 또한 사라의 당연함을 말한다.

 

而無所詭異云爾,

괴이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是固非有甚高難行之事,

이것은 진실로 매우 고원하거나 어려운 행동의 일이 아니니,

 

而亦豈同流合汙之謂哉!”

또한 어찌 시류에 합하고 더러운 것에 영합함을 말하는 것이겠는가!”

 

子程子: “不偏之謂中, 不易之謂庸. , 天下之正道; 庸者, 天下之定理.

정자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치우치지 않은 것을 중()이라하고, 바뀌지 않는 것을 용()이라 한다. ()이란 것은 천하의 바른 길이고, ()이란 천하의 정해진 이치다.

 

此篇, 孔門傳授心法.

중용은 공자의 사단이 전수한 심법이다.

 

子思恐其久而差也, 故筆之於書, 以授孟子.

자사께서는 그 오랜 시간이 흘러 어긋날까 두려웠기 때문에 중용을 써서 맹자에게 전해줬다.

 

其書始言一理, 中散爲萬事, 末復合爲一理.

중용1장에선 하나의 이치를 말하고, 2장부터 20장 중반까진 여러 일을 말하며, 그 이후 마지막까진 다시 하나의 이치인 성론(誠論)’의 논의로 합치된다.

 

放之則彌六合, 之則退藏於密,

그것을 풀어놓으면 상하사방인 육합에 미치며, 그것을 거두면 물러나 은밀한 곳으로 감춰지니,

 

其味無窮, 皆實學.

그 맛이 무궁하여 모두 허학이 아닌, 실제의 학문이라 할 수 있다.

鄭子曰: “中庸一卷書,

정자가 말했다. “중용한 권은

 

自至理便推之於事.

지극한 이치로부터 곧바로 일상적인 것까지 미루어 나간다.

 

如國家有九經,

국가의 구경(九經)

 

及歴代聖人之迹, 莫非實學也[각주:1]

역대 성인의 자취와 같은 것이니 실제의 학문이 아닌 게 없다.”

 

善讀者, 玩索而有得焉, 則終身用之, 有不能盡者矣.”

그렇기 때문에 읽는 이들이 글의 깊은 뜻을 즐기며 찾아 얻는다면 종신토록 그걸 쓰려 해도 다 쓸 수가 없을 것이다.”

 

 

 

 

 박석무 선생님의 다산 강의도 흥미롭고 실학에 대한 도올 선생님의 열변도 재밌다. 좋은 강연이다.

 

 

인용

목차

전문

1. 중용은 실학이다

2. 똥 누기와 중용적 삶

 

 

  1. '실학'은 우리역사에서 존재한 적이 없다. 실사구시의 개별적 학풍만 있었을 뿐이다. '실학'을 근대성의 맹아라는 관념으로부터 연역하여 그것이 마치 조선왕조사상의 실체적인 것처럼 본 것은 모두 일제의 관념에 세뇌된 학자들의 소행일 뿐이다. (중략) 실학운동은 일제시기로부터 시작된 운동이며, 조선사상사와는 관련이 없다. -『중용한글역주』, 191쪽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