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양주와 묵적과 자막은 권도(權道)를 모른다
孟子曰: “楊子取爲我, 拔一毛而利天下, 不爲也.
爲我之爲, 去聲.
○ 楊子, 名朱. 取者, 僅足之意. 取爲我者, 僅足於爲我而已, 不及爲人也. 列子稱其言曰“伯成子高不以一毫利物”, 是也.
墨子兼愛, 摩頂放踵利天下, 爲之.
放, 上聲.
○ 墨子, 名翟. 兼愛, 無所不愛也. 摩頂, 摩突其頂也. 放, 至也.
子莫執中, 執中爲近之, 執中無權, 猶執一也.
子莫, 魯之賢人也. 知楊ㆍ墨之失中也, 故度於二者之閒而執其中. 近, 近道也. 權, 稱錘也, 所以稱物之輕重而取中也. 執中而無權, 則膠於一定之中而不知變, 是亦執一而已矣.
程子曰: “中字最難識, 須是黙識心通. 且試言一廳, 則中央爲中; 一家, 則廳非中而堂爲中; 一國, 則堂非中而國之中爲中, 推此類可見矣.”
又曰: “中不可執也, 識得則事事物物皆有自然之中, 不待安排, 安排著則不中矣.”
所惡執一者, 爲其賊道也, 擧一而廢百也.”
惡, 爲, 皆去聲.
○ 賊, 害也. 爲我害仁, 兼愛害義, 執中者害於時中, 皆擧一而廢百者也.
○ 此章言道之所貴者中, 中之所貴者權.
楊氏曰: “禹ㆍ稷三過其門而不入, 苟不當其可, 則與墨子無異. 顔子在陋巷, 不改其樂, 苟不當其可, 則與楊氏無異. 子莫執爲我兼愛之中而無權, 鄕鄰有鬪而不知閉戶, 同室有鬪而不知救之, 是亦猶執一耳, 故孟子以爲賊道. 禹ㆍ稷ㆍ顔回, 易地則皆然, 以其有權也; 不然, 則是亦楊ㆍ墨而已矣.”
해석
孟子曰: “楊子取爲我, 拔一毛而利天下, 不爲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양자는 ‘나를 위한다’는 것을 취하였으니, 한 터럭을 뽑은 것이 천하를 이롭게 하더라도 하지 않았다.
爲我之爲, 去聲.
○ 楊子, 名朱.
양자의 이름은 주다.
取者, 僅足之意.
취한다는 것은 겨우 만족할 만하다는 뜻이다.
取爲我者, 僅足於爲我而已,
위아(爲我)를 취하는 이는 겨우 위아(爲我)에 만족할 뿐이오,
不及爲人也.
남을 위함에는 미치지 못한다.
列子稱其言曰:
열자(列子)는 ‘위아(爲我)’라는 말에 대해
“伯成子高不以一毫利物”,
“백성자고는 하나의 터럭으로 외물을 이롭게 하더라도 하지 않았다.”라고 한 것이,
是也.
이것이다.
墨子兼愛, 摩頂放踵利天下, 爲之.
묵자는 겸애사상가로, 정수리를 갈아 발꿈치에 이르는 것이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이라면, 그것을 했다.
放, 上聲.
○ 墨子, 名翟.
묵자의 이름은 적이다.
兼愛, 無所不愛也.
겸애란 아끼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摩頂, 摩突其頂也. 放, 至也.
마정(摩頂)은 정수리를 갈아 뚫는 것이다. 방(放)은 이르게 한다는 것이다.
子莫執中, 執中爲近之, 執中無權, 猶執一也.
자막은 가운데를 잡은 사상가로, 가운데를 잡은 것이 도에 가깝지만, 가운데를 잡은 후 저울질하지 않으면 한 군데를 잡은 것과 같다.
子莫, 魯之賢人也.
자막은 노나라 현인이다.
知楊ㆍ墨之失中也,
양주와 묵적이 중(中)을 잃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故度於二者之閒而執其中.
두 사람의 사이를 헤아려 그 중앙을 잡았다.
近, 近道也.
근(近)은 도에 가깝다는 것이다.
權, 稱錘也,
권(權)은 저울의 추이니,
所以稱物之輕重而取中也.
물건의 경중을 헤아려 가운데를 취하는 것이다.
執中而無權,
그러나 가운데를 잡고서 저울질하지 않으면
則膠於一定之中而不知變,
일정한 중간에 아교칠을 하여 변화를 알지 못하는 것으로,
是亦執一而已矣.
또한 한 군데를 잡고 있는 것일 뿐이다.
程子曰: “中字最難識,
정자가 말했다. “중(中)이란 글자는 가장 알기 어려운 것이니,
須是黙識心通.
묵묵히 알고 마음으로 통해야 한다.
且試言一廳, 則中央爲中;
또한 시험 삼아 말하자면 하나의 대청엔 중앙이 가운데가 되고,
一家, 則廳非中而堂爲中;
일가엔 대청의 중앙이 아니고 당의 중앙이 가운데가 되며,
一國, 則堂非中而國之中爲中,
한 나라엔 당의 중앙이 아니라 나라 가운데가 중앙이 되니,
推此類可見矣.”
이런 종류를 확충한다면, 중(中)을 알 수 있다.”
又曰: “中不可執也,
또한 정자가 말했다. “가운데를 잡을 수가 없으니,
識得則事事物物皆有自然之中,
이런 사실을 알아 얻는다면 사사건건마다 다 자연의 가운데가 있어서
不待安排,
안배하길 기다리지 않으니,
安排著則不中矣.”
안배하려 애를 쓰면 가운데가 아니다.”
所惡執一者, 爲其賊道也, 擧一而廢百也.”
한 군데를 잡은 위아(爲我)와 겸애(兼愛)와 집중(執中)을 미워하는 까닭은 도를 해치는 것이 되어, 하나를 들어 백 가지를 폐하기 때문이다.
惡, 爲, 皆去聲.
○ 賊, 害也.
적(賊)은 해친다는 뜻이다.
爲我害仁, 兼愛害義,
위아(爲我)는 인을 해치고 겸애(兼愛)는 의를 해치며,
執中者害於時中, 皆擧一而廢百者也.
집중(執中)은 시중을 해치니, 다 하나를 들어 백 가지를 폐하는 것이다.
○ 此章言道之所貴者中, 中之所貴者權.
이번 장은 도의 귀한 것은 중(中)이며, 중(中)의 귀한 것은 권도임을 말했다.
楊氏曰: “禹ㆍ稷三過其門而不入,
양씨가 “우임금과 후직이 세 번 자기의 집 문을 지나쳐 들어가지 않은 것이
苟不當其可, 則與墨子無異.
진실로 옳음에 합당하지 않았다면 묵자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顔子在陋巷, 不改其樂,
안자가 누추한 마을에 있으며 그 즐거움을 고치질 않은 것이
苟不當其可, 則與楊氏無異.
진실로 옳음에 합당하지 않았다면 양씨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子莫執爲我兼愛之中而無權,
자막이 ‘위아’와 ‘겸애’의 가운데를 잡아 저울질하질 않았으니,
鄕鄰有鬪而不知閉戶,
이웃마을에 싸우는 사람이 있어도 문을 닫을 줄을 모르고,
同室有鬪而不知救之,
같은 방에 싸우는 사람이 있어도 그를 구할 줄을 모르는 것이니,
是亦猶執一耳,
이것 또한 한 군데를 잡은 것과 같을 뿐이다.
故孟子以爲賊道.
그렇기 때문에 맹자는 도를 해치는 것이라 여겼다.
우임금과 후직과 안회가 처지를 바꾸었더라도 다 똑같이 행동했으리란 것은
以其有權也;
저울질했기 때문이다.
不然, 則是亦楊ㆍ墨而已矣.”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또한 양주와 묵적일 뿐이다.”
인용
'고전 >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 진심 상 - 28. 외적인 요인에 지조가 흔들리지 않았던 유하혜(柳下惠不以三公易其介) (0) | 2021.10.20 |
---|---|
맹자 진심 상 - 27. 배고플 때 먹는 음식과 가난할 때 마음의 공통점 (0) | 2021.10.20 |
맹자 진심 상 - 25. 순임금과 도척의 나눠짐은 한 끗 차 (0) | 2021.10.20 |
맹자 진심 상 - 24. 착실히 공부하고, 한걸음씩 나아가라 (0) | 2021.10.20 |
맹자 진심 상 - 23. 물과 불을 쉽사리 나눠주듯 곡식도 나눠 줄 수 있으려면? (0) | 2021.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