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4) 학습내용 성취기준(한문지식, 한자)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4) 학습내용 성취기준(한문지식, 한자)

건방진방랑자 2019. 11. 30. 10:50
728x90
반응형

 - 한문 지식 -

 

<한자>

 

한문

 

(1) 한자의 형((()를 알 수 있다.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소리[[]의 세 요소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문자이다. 곧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단지 어떤 음()의 단위만을 나타내는 표음문자(表音文字)와 달리, 하나의 글자가 어떤 뜻의 단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뜻에 해당하는 소리까지도 아울러 나타내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이다. 따라서 한자를 학습할 때에는 해당 글자의 모양과 소리와 뜻을 동시에 익혀야 한다.

 

(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자는 원칙적으로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음을 가진다. 그러나 인류의 문화가 날로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이미 있는 한자를 응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하나의 한자가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지는 경우가 적지 않게 생겨났다. 이처럼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학습할 때에는 그 음과 뜻을 함께 잘 익혀야 한다.

 

(3) 한자의 부수(部首)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스스로 찾을 수 있다.

부수는 한자의 형태를 분석하여 서로 공통되는 부분이 있는 글자들을 모아 놓아, 자전(字典)을 찾아보기 쉽게 배열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여기서 형태의 특성이 공통되는 한자 집단을 부()라고 하고, 그 부의 글자들에서 공통되는 부분을 부수(部首)라고 한다.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방법은 부수 색인(部首索引) 이용법’, ‘총획 색인(總畫索引) 이용법’, ‘자음 색인(字音索引) 이용법등이 있다. 처음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때에는 주로 부수 색인 이용법을 중점적으로 지도한다. ‘부수 색인 이용법으로 한자를 찾기 위해서는 먼저 부수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자전이나 전자 사전 등을 이용하여 한자를 찾는 방법도 있다.

 

(4) 필순(筆順)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한자를 쓸 수 있다.

한자를 구성하고 있는 점이나 선을 ()’이라고 한다. 이 획을 쓰는 순서를 필순(筆順)’이라고 한다. 한자를 짜임새 있고 편리하게 쓰기 위해서는 필순에 따라 쓰는 것이 좋다. , 필순은 글자에 따라 이견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일반적인 원칙을 중심으로 학습하게 하고 글자를 쓰는 순서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도록 한다.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위에서 아래로 쓴다.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삐침과 파임이 만날 때에는 삐침을 먼저 쓴다. 좌우의 모양이 같을 때에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안쪽과 바깥쪽이 있을 때에는 바깥쪽을 먼저 쓴다.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오른쪽 위의 점은 나중에 찍는다. 받침은 나중에 쓴다.

 

(5) 한자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곧 한자의 짜임을 이해하면 한자의 모양과 소리와 뜻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한자의 짜임은 일정한 구성 원리와 응용 원리에 따라 크게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 6가지로 나뉜다. 이를 육서(六書)라고 한다. 이 중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은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원리이고, ‘가차전주는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응용하는 원리이다. ‘가차전주는 학설이 다양하여 학습에 혼동을 주므로,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을 위주로 학습한다. 한자의 짜임은 글자에 따라 이견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특징이 뚜렷한 한자를 통하여 학습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의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학습하게 하고, 짜임의 원리 자체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도록 한다.

 

(6)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한자(漢字)’라는 말은 한()나라 때에 이르러서 지금 사용하고 있는 글자와 거의 같은 문자로 발달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한자는 오랜 세월을 두고 발생·변화·발전해 왔다. 한자는 세계의 주요 문자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생명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사회와 문화의 발달에 따라 그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한자가 발생한 시기는 단정하기가 어렵다. 오늘날 볼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한자는 은()나라 때 갑골(甲骨)이나 청동기(靑銅器)에 새겨 놓은 글자이다. 은나라 문자는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한 것이므로 그러한 문자가 처음으로 만들어진 시대는 은나라 때보다 훨씬 더 오래 전이었을 것이다. 한자의 형성 과정을 통해 한자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

 

(1) 한자의 형((()를 알 수 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한자의 모양과 소리와 뜻을 동시에 익힐 수 있어야 한다.

 

(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을 알 수 있어야 한다.

 

(3) 바른 모양과 순서를 고려하여 한자를 쓸 수 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한자를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바르고 맵시 있게 쓸 수 있어야 한다.

 

(4)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알 수 있다.

상형자(象形字)’는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상형자지사자와 더불어 한자의 짜임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문자이다. 그러므로 한자 학습의 초보 단계에 있는 학습자에게 한자 학습의 흥미를 돋우고, 학습 성과의 전이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문자에 대한 지도는 상형자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상형자는 시각적인 형태에서 그 한자가 가리키는 사물을 쉽게 짐작할 수 있으며, 가리키는 뜻까지도 알 수 있다.

 

지사자(指事字)’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글자이다. 상형과 지사에 해당하는 한자는 모든 한자의 기본이 되는 글자로서, 한자의 부수(部首) 글자는 거의 이에 속하기 때문에 회의자형성자를 이루는 기본이 된다. ‘지사자는 시각적인 형태 자체에서 그 문자가 가리키는 개념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회의자(會意字)’는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그 글자들이 지닌 뜻을 합쳐서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회의자는 결합된 외형 형태에 있어 기성(旣成) 문자가 상하, 좌우, 내외 등으로 결합되며, 글자들의 결합된 뜻으로 새로운 뜻을 나타낸다.

 

형성자(形聲字)’는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만들되, 일부는 뜻[]을 나타내고 일부는 음[]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형성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진 한자의 짜임은 사물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상형’, 점이나 선으로 추상적인 뜻을 나타내 보인 지사등의 방법과는 크게 다른 방법으로, 기존의 한자를 가지고 소리와 뜻을 나타낼 수 있는 한자를 자유롭게 만들어 낼 수 있었기에 한자의 대부분이 형성자에 속한다. ‘형성자는 형()과 음()의 짜임 학습을 통하여 한자 자체의 음()을 짐작할 수 있고, 뜻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가차전주는 학설이 다양하여 학습에 혼동을 주므로,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을 위주로 학습한다. 한자의 짜임은 글자에 따라 이견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특징이 뚜렷한 한자를 통하여 학습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의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학습하게 하고, 짜임의 원리 자체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도록 한다.

 

(5) 한자 자체(字體)변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한자의 글자 모양은 사물의 모양을 본뜬 발생기의 그림 문자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 전서(篆書), 예서(隸書), 해서(楷書) 등으로 여러 차례 자체(字體)의 변천을 겪어 왔다. 한자 자체의 변천 과정을 통해 한자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한문

 

(1)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인용

목차 / 지도

1. 추구하는 인간상

2. 교육목표

3. 목표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1. 내용 체계

2. 학교급별 성취기준

3. 영역 성취 기준

4. 학습내용 성취기준

독해(읽기, 이해)

문화(한자문화, 언어생활, 한문학의 이해)

한문지식(한자, 어휘, 문장)

5. 교수·학습 방법

6. 평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