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어문 인식 경향 - 5. 맺음말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어문 인식 경향 - 5. 맺음말

건방진방랑자 2019. 11. 30. 10:54
728x90
반응형

 5. 맺음말

 

 

조선후기 활발하게 등장하는 음성언어에 대한 논의들은 명청교체(明淸交替) 이후 중화의 고유한 음성언 어를 규명하려는 경향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이적(夷狄)의 음성언어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중화의 음성언어를 찾아보려는 노력이 한문체계에 음성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부여하였던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이상적인 한자음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한자음의 규명 은 한자가 가지고 있었던 중요한 장점, 즉 시대와 지역과 관련 없이 일관성을 유지하던 문자로서의 권위를 반감시켜 한문체계를 상대화·객관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왜냐하면 음성은 특성상 보편적·균일적이라기보다는 지역적·특수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한시(漢詩)의 민요풍이나 국풍(國風)에 대한 관심, 한문체계 속에 포섭되지 않는 조선의 고유한 음성언어에 대한 문제의식 들이 이 시기 활발하게 등장하였다.

 

본 글은 이 시기 이루어진 음성언어의 논의 가운데 언문일치 문제와 문체·방언·향어 등의 문제들을 다루고자 하였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중국 지식인들과 음성언어로서 대면하는 과정에서 언()과 문()이 불일치한 조선의 현실을 자각하고 이를 중국어를 통하여 일치시키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가졌다. 학문과 외교에 국한된 한문체계가 일상생활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물명(物名) 유서(類書)의 편찬도 이루어졌다. 언문불일치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일상생활용어의 한문화 작업이 활발하게 시도되었던 것이다. 문체(文體) 또한 구어적인 형태로 변화하면서 핍진한 사물묘사가 유행하였다. 그리고 적확한 표현을 위해서 조선의 향어, 방언 등도 사용되었다. 이는 조선의 음성적 표현들이 한문체계 속에 포섭되는 과정이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한문체계가 조선의 음성언어를 통하여 변화하는 이중의 과정이었다.

 

본 글은 음성언어 문제를 통해서 발생한 여러 국면들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중화라는 보편 성과 조선이라는 특수성이 어떻게 결합하고 균열하였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한자라는 기호의 체계에 음성이 부여되면서 한문체계를 상대화하여 볼 수 있는 시야가 확보되었고, 또한 이를 통하여 조선의 고유한 음성언어가 갖는 특이성도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언문일치 문제에 대한 자각과 이를 위한 물명(物名) 유서(類書)의 편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나아가 구어체로의 문체 변화와 조선의 구어적 표현에 대한 관심도 새롭게 일어났다. 이는 한문체계라는 중세적 보편성을 음성이라는 특수성이 어떻게 균열시키고 변형시켜 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음성언어에 대한 관심 증대는 한문체계라는 기호의 체계를 균열시키고 자신들의 고유한 음성언어에 기초한 표현을 증대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음성언어 공동체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주제어 : 명청교체, 중화주의, 음성중심주의, 언문일치, 백화문학, 보편언어, 속어, 양층 언어체계

 

투고일(2009. 7. 24),
심사시작일(2009. 8. 3),
심사완료일(2009. 9. 21)

 

 

Abstract

 

Trend to recognize language and literature of Chos n Intelligent betwee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19th century

 

Cho, Sung-san       

HK Research Professor,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In this study, I have seen various aspects resulted from spoken language problems and have finally tried to disclose how universality of Sino-centrism and specificity of Chos n had been combined and had cracked. The contemporary intelligent at the time happened to expand their vision through which they could see the system of Chinese writings relatively by attaching voice to signal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which made themselves understand peculiarity of Chos n's unique spoken language therewidth. In addition, it pushed forth their further recognition to problems of the un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nd compilation of books of connotation and notes translated and explained in details. Besides, they have found transition toward the spoken language in literary style and new interest in Chos n’s spoken expression. This shows how and in what way the medieval universality of Chinese writing system had been cracked and transformed by the peculiarity of voice. Increase in interest in the spoken language cracked soundless signal system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and expanded such expressions as were based upon Chos n’s own unique spoken languag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into their community with the same spoken language.

 

Key Words : the Transition from Ming to Qing Dynasty, Sino-centrism, Phono-centrism,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Literature in colloquial Chinese, Universal language, Vernacular language, Diglossia

 

 

 

 

인용

목차 / 지도

1. 머리말

2. 음성언어에 대한 관심 증대

1) 명청교체와 음성언어 인식의 계기

2) 음성언어 인식과 조선적인 것

3. 언문일치 인식의 대두

1) 언문불일치의 문제 제기

2) 물명류서의 편찬

4. 백화문학과 방언·향어·속어

1) 백화 문학의 확대

2) 방언·향어·속어의 사용

5. 맺음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