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동문서답의 선시들
이제 선시에 대해 살펴보겠다. 선은 분별지를 마음에서 걷어내는 것이다. 명상(瞑想) 즉 생각을 잠재우고, 묵상(黙想) 곧 생각을 침묵시키는 것이다. 그때 남는 것은 마음뿐이다. 선은 마음을 텅 비워 본래의 나와 만나는 순간이다. 명상이란 뜻을 지닌 범어의 댜나(Dhyāna)를 선(禪)으로 옮겼다. 정려(靜慮) 또는 사유수(思惟修)로도 옮긴다. 다시 말해 선은 생각을 걷어내는 마음공부다. ‘근심과 기쁨을 마음에서 걷어내는 것이 바로 선[喜憂心忘便是禪]’이다. 달마는 제자와의 문답에서 선을 이렇게 설명한다.
선(禪)은 어지러운 마음이 일어나지 않음을 말한다. 생각도 없고 움직임도 없는 것이 선정(禪定)이다. 마음을 단정히 하고 생각을 바로 하여, 생(生)도 없고 멸(滅)도 없으며 감도 없고 옴도 없이 고요히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일러 선정이라 한다. 말을 비우고 생각을 깨끗이 하여 마음으로 깨달아 고요 속에 침잠하여, 갈 때나 머물 때나 앉았거나 누웠거나 언제나 고요하여 흐트러짐이 없는 까닭에 선정이라 한다.
선시는 이 순간의 느낌을 언어로 표현한다. 선의 경지는 사변의 길로는 다다를 수가 없다. 말을 떠나고 생각이 끊긴 곳에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그 세상을 어찌 말로 설명할 수 있을까? 그래도 인간은 언어를 떠나서는 살 수가 없으니, 이언절려(離言絶慮)를 말하고 불립문자를 말하면서도 언어에 기댈 수밖에 없다. 말의 길로는 다다를 수 없는 언어도단(言語道斷)의 세계를 말로 설명하려 드니, 선시에는 자다가 봉창 뜯는 소리가 자주 보인다. 유명한 회양선사(懷讓禪師)의 시처럼, 회주 땅의 소가 풀을 뜯는데, 정작 익주의 말이 배가 터진다. 그래서 의원을 찾아가 살려 달라 하니 천연덕스럽게 돼지 어깨에 뜸을 놓는 식이다. 말이 럭비공처럼 튀어 갈피를 잡을 수 없다. 깨달음의 소식은 언어로 설명하려 들면 이렇듯 헛김이 샌다.
조선시대 허백당(虛白堂)의 시 한 수를 읽어 보자.
焰裏寒霜凝結滯 | 불꽃 속에 찬 서리 엉기어 맺혀있고 |
花開鐵樹暎輝明 | 무쇠 나무 꽃이 피어 환하게 비치누나. |
泥牛哮吼海中走 | 진흙 소가 포효하며 바다 속을 달려가고 |
木馬嘶風滿道聲 | 나무 말이 힝힝대자 길에 소리 가득해라. |
말도 되지 않는 말만 모아놓았다. 뜨거운 불꽃 속에 서리가 엉기는 이치나, 무쇠로 만든 나무에 산 꽃이 피는 이치가 있는가? 진흙 소가 어찌 포효하며, 바다 속은 어이 달리는가? 목마는 힝힝대며 거리를 메우고 달려간다.
내친 김에 한 수 더 읽어 보자. 근대의 선객 효봉선사(曉峯禪師)가 남긴 「오도송(悟道頌)」이다.
海底燕巢鹿胞卵 | 바다 밑 제비 둥지 사슴이 알을 품고 |
火中蛛室魚煎茶 | 불 속의 거미집선 고기가 차 달이네. |
此家消息誰能識 | 이 집안 소식을 뉘 능히 알겠는가 |
白雲西飛月東走 | 흰 구름 서편으로 달은 동쪽 달려간다. |
말이 한참 꼬였다. 날짐승인 제비가 바다 밑바닥에 둥지를 틀고, 둥지 안에는 엉뚱하게 사슴이 알을 품는다. 날름대는 불꽃 속에 거미가 집을 짓고, 그 속에선 물고기가 차를 달인다. 서편으로 흐를 달은 동쪽으로 달려간다. 이것이 이 집안 소식이다. 그것을 알겠는가?
시인이 이렇듯 말 같지 않은 소리만 골라서 늘어놓는 까닭은 단 하나다. 따지지 말라는 것이다. 머리로 따져 알려 들지 말고 가슴으로 느껴 직지인심(直指人心)ㆍ견성성불(見性成佛) 하라는 말이다. 굳이 말로 하자면 이렇게 밖에 설명할 수 없는 세계를 일러주고 있는 중이니 섣불리 사변의 잣대를 들이댈 생각일랑 아예 하지 말라는 우격다짐이다.
의미는 도처에서 단절되고, 따라 읽으려는 순간 벼랑 끝에 선 나를 본다. 선은 자기 자신과 맞대면해서 자신을 한칼에 베겠다는 것이다. 남을 다 속여도 자신을 속이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 만 사람이 다 인정해도 내 스스로 수긍하지 못하면 도로(徒勞)에 그칠 뿐이다.
의미가 도처에서 단절된 것은 현대시 속에도 있다. 이승훈의 「너」를 읽는다.
캄캄한 밤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너를 만났을 때도 캄캄했다 캄캄한 밤에 너를 만났고 캄캄한 밤 허공에 글을 쓰며 살았다 오늘도 캄캄한 대낮 마당에 글을 쓰며 산다 아마 돌들이 읽으리라
아무 것도 안 보이는 캄캄한 밤에 너를 만나, 아무 것도 안 보이는 허공에 글을 써왔다. 오늘은 캄캄한 대낮 마당에 글을 쓴다. 내 글은 돌들이 읽을 것이다. 역시 요령부득이다. 시인은 ‘그리고’라고 말해야 할 때 ‘그러나’를 말하고, ‘오늘은’ 하지 않고 ‘오늘도’라고 말한다. ‘캄캄한 밤 허공’은 아무렇지도 않게 ‘캄캄한 대낮 마당’으로 미끌어진다.
아무 것도 안 보이는 허공에 쓴 글은 쓰나마나 한 글이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밤에 만난 너는 만나나 마나한 존재다. 만나나 마나 한 존재를 위해 쓰나마나한 글을 쓰며 살았다. 무슨 말인가? 너는 누구인가? 왜 내가 쓴 글을 ‘너’가 읽지 않고 돌들이 읽는가? 이런 언어 앞에 의미화의 노력은 대부분 수포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 너머에 무언가 있다. 그것이 무엇인가?
다음은 이성선의 「뿔을 물어뜯다」이다.
진흙 묻은 소가
빗줄기 몇 가닥에 목을 씻고 지나간다
번개 짐승이
달려들어 소의 뿔을 물어뜯는다
깜깜한 지상
연꽃 피는 소리 들린다
진흙 묻은 소가 빗속을 지나가자 짐승 같은 번개가 소뿔을 물어뜯고, 그 서슬에 깜깜한 지상에선 연꽃이 핀다. 참 희한한 말이다. 동사만 연결해서, 지나가는데 물어뜯더니 소리 들린다로 읽으면, 각각의 이미지들이 얼마나 뚱딴지같이 결합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시인이 세상이 이렇듯 보이지 않는 유기체적 질서 속에 배열되어 있음을 말하고 싶었던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깜깜한 세상에 등불을 밝히는 연꽃이 피어나는 그 소리만큼은 번개가 소뿔을 물어뜯듯이 장엄하기 그지없다. 이런 것이 선시다.
그렇다고 선시가 늘 이렇게 반상합도(反常合道)의 넌센스만을 말한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큰 오산이다. 실제로 위와 같은 말 안 되는 내용을 담은 시만을 선시로 이해하는 오해가 널리 퍼져 있다. 그래서 종종 초현실주의 시에 선시를 견주기도 하는데, 둘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은 언어의 일상 궤도를 이탈했다는 점뿐이다. 진짜 선시는 말장난에 머물지 않는다. 때로 선시가 말장난의 외양을 취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방편일 뿐이다.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는 선시를 몇 수 보자. 김시습(金時習)의 「증준상인(贈峻上人)」 20수 연작 중 제 8이다.
終日芒鞋信脚行 | 종일 짚신 신고 발길 따라 가노라니 |
一山行盡一山靑 | 한 산을 가고 나면 또 한 산이 푸르도다. |
心非有想奚形役 | 마음에 생각 없으니 어찌 형상 부리며 |
道本無名豈假成 | 도는 본시 무명(無名)한데 어찌 거짓 이룰까. |
宿露未晞山鳥語 | 간 밤 이슬 마르잖아 산새는 지저귀고 |
春風不盡野花明 | 봄 바람 그치잖아 들꽃은 피었구나. |
短笻歸去千峯靜 | 지팡이로 돌아갈 때 천봉이 고요터니 |
翠壁亂烟生晩晴 | 푸른 절벽 짙은 안개 저녁 햇살 비쳐드네. |
“저 들판 끝난 곳이 그 바로 청산인데, 행인은 다시금 청산 밖에 있구나[平蕪盡處是靑山, 行人更在靑山外].”의 탄식을 떠올리게 하는 구절로 시상을 열었다. 멀리 뵈는 청산을 목표 삼아 부지런히 걸었다. 발바닥이 부르트고 물집이 잡혀도 쉬지 않고 걸었다. 그리하여 막상 그 청산에 이르고 보니, 다시 저 멀리 지평선 끝에 또 다른 청산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 허망하기 그지없다.
인간 도처(到處)에 유청산(有靑山)인데, 청산의 끝은 찾아 무엇하겠는가? 3ㆍ4구에서 시인은 슬며시 속내를 드러낸다. 마음에 둔 집착 때문에 나는 내 몸을 괴롭혔다. 그 집착은 무엇이었던가? 도를 이루고 말겠다는, 성불하고 말겠다는 욕심이었다. 도는 원래 무어라 이름 지을 수 없는 것이니, 이루고 말고 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다. 그러니 내가 저 청산의 끝에 설 때 내 마음속에 품었던 도도 이루어지리라 믿은 내 집착은 헛된 미망(迷妄)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끝은 본래부터 있지 않았다.
그리고 다시 바라본 세상이 5,6구다. 저 허공을 나는 새를 보아라. 누가 아침이 온 것을 일러주지 않아도 먼동이 트기 전에 먼저 깨어 새벽을 노래한다. 들판에 피는 꽃은 어떠한가? 봄바람이 끝나기도 전에 제가 먼저 알아 꽃망울을 터뜨린다. 자연의 이법은 모두 이와 같은데, 인간은 반대로 하고, 억지로 한다. 그래서 발만 부르트고 몸만 괴롭다.
이제 그는 다시 본래 왔던 곳으로 돌아온다. 시인은 산이 고요하다 했지만, 고요한 것은 사실 시인의 내면이다. 푸른 절벽은 예전 이 길을 거쳐 올 때 절망처럼 내 길을 막았었다. 짙은 안개는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방향을 잃고 헤매게 했었다. 하지만 이제 욕심을 내려놓고 돌아가는 길, 늦은 햇살이 비쳐들며 나를 괴롭히던 망집(妄執)의 실체를 극명하게 비쳐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일종의 오도시(悟道詩)다.
다시 한 수 더 읽어 보기로 하자. 같은 제목의 시 제 10이다.
空色觀來色卽空 | 공(空)과 색(色) 살펴보면 색이 곧 공이거니 |
更無一物可相容 | 다시금 한 물건도 서로 용납함이 없네. |
松非有意當軒翠 | 소나무 별 뜻 없이 집 앞에 푸르르고 |
花自無心向日紅 | 꽃은 절로 무심하게 해를 향해 붉게 폈다. |
同異異同同異異 | 다름을 같다 하고 같음을 다르다 하니 같고 다름 같지 않고 |
異同同異異同同 | 같음을 다르다 하고 다름을 같다 하니 다르고 같음이 같도다. |
欲尋同異眞消息 | 같고 다른 진짜 소식 찾고자 한다면은 |
看取高高最上峯 | 높고 높은 최정상서 살피어 보시게나. |
공즉시색(空卽是色),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 했다. 사람들은 허실(虛實)을 따지고 득실(得失)을 헤아리느라 바쁘지만, 그 사이에는 조금의 틈도 없다. 무엇이 색이고 무엇이 또 공인가? 집 앞에 서서 사시장철 푸름을 뽐내는 소나무는 색인가? 잠시 피었다 금세 스러질 저 꽃은 공인가? 소나무와 꽃은 같으면서 다르고, 다르지만 같다. 이것은 나무요 저것은 꽃이니 다르다면 다르고, 이것은 오래 가고 저것은 잠깐 뿐이니 다르다면 다르다. 하지만 종당에는 다 시들고 베어지니 막상 다를 것도 없다.
5ㆍ6구는 공(空)과 색(色)의 자리에 동(同)과 이(異)를 넣어 장광설의 말장난을 늘어놓았다. 시비는 어디서 생기는가? 다른 것을 굳이 같다고 하고, 같은 것을 다르다 하는 데서 생긴다. 같을 것도 다를 것도 없는데, 분별하여 편 가르니 세상이 시끄럽다. 자연은 뜻 없이 무심한데, 유의(有意)한 인간들이 공연히 해석하느라 바쁘다. 같고 다름의 분별에 대해 알고 싶은가? 가장 높은 꼭대기로 가서 보라. 세상 만물이 한눈에 들어오는 지점, 같고 다름이 대번에 판가름 나는 장소로 찾아가라.
이렇듯 선시의 세계는 칼끝 같은 깨달음을 노래한다. 언어가 무력화되고 의미가 힘을 잃는다. 다시 정진규의 「모기 친구」를 읽어 본다.
진종일 뛰어 놀고서도 씻지 않으려 하기에 얼굴엔 온통 암괭이를 그리고서도 말을 듣지 않기에 지난 밤 모기에 물린 자리가 발갛게 부어 올랐기에 모기는 깨끗한 것보다는 더러운 걸 더 맛있어 한다고 겁을 주었더니, 그럼 모기에겐 깨끗한 것이 더러운 거고 더러운 것이 깨끗한 거네, 모기가 목욕을 해주었잖아! 더러운 걸 먹어버렸잖아! 난 모기 친구가 될 거야 그러곤 여섯 살짜리 내 상욱이는 깔깔깔 달아나버렸다.
깨끗하고 더럽다는 말의 의미가 한 순간에 증발해버리는 상쾌함이 있다. 내게 깨끗한 것이 남에겐 더럽고, 내가 더러워 못 견딜 것도 남에겐 아무렇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생각을 한 번 바꾸면 모든 것이 시원스럽게 된다. 깔깔깔 웃게 된다.
그러고 보면 선시는 선승들의 전유물이란 생각은 큰 잘못이다. 선시는 하나의 사고방식일 뿐이다. 불교가 있기 전에도 선시는 있었고, 불교를 믿지 않아도 선시를 쓸 수 있다. 도연명(陶淵明)의 「음주(飮酒)」 제 5를 읽어 본다.
結廬在人境 而無車馬喧 | 사람 사는 마을에 집을 엮어도 수레와 말 떠들썩함 찾을 길 없네. |
問君何能爾 心遠地自偏 | 묻노라 그대 어이 그럴 수 있나 마음 멀면 땅은 절로 구석져지리. |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캐다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노라. |
山氣日夕佳 飛鳥相與還 | 산 기운 저물녘 더욱더 곱고 나는 새 짝지어 돌아가누나. |
此中有眞意 欲辨已忘言 | 이 가운데 참다운 뜻이 있으나 따지려다 어느새 말을 잊었네. |
깊은 산속 인적 없는 곳이 아니라, 사람들 부대끼며 사는 마을에 집을 지었다. 고관대작들의 수레소리 말소리의 시끄러움은 찾을 수가 없다. 누가 묻는다. 사람 사는 세상에 살면서 어찌 세상일에 그리 초연할 수 있느냐고. 나는 대답한다. 마음을 멀리 하면 시정(市井) 속에 살아도 산림에 든 것이나 다를 바 없다고. 문제는 늘 마음에 있는데, 해법을 장소에서 찾으려 드니, 어딜 가나 지옥이요, 무얼 해도 감옥 속이 아니냐고.
동쪽 울타리 아래 심어둔 국화꽃을 캐다가 무심히 뒷짐 지고 남산을 바라본다. 석양빛을 받은 산 기운이 더욱 곱고, 저물녘의 잔영 속으로 새들은 둥지를 찾아 돌아간다. 걸릴 것이 없고 거칠 것이 없다. 순간 마음속에 아! 저거다 싶은 깨달음 하나가 불쑥 들어선다. 나는 따지려는 생각을 접고 말을 잊고 서 있다. 시인은 장자(莊子)가 말한 득의망언(得意忘言)의 경계를 맛본 것이다.
다음은 고려 때 최유청(崔惟淸)의 「잡흥(雜興)」이다.
春草忽已綠 滿園蝴蝶飛 | 봄풀이 어느덧 저리 푸르러 동산 가득 나비가 날아다닌다. |
東風欺人垂 吹起床上衣 | 봄바람 잠든 나를 속여 깨우려 침상 위 옷깃을 불어 흔드네. |
覺來寂無事 林外射落暉 | 깨고 보면 고요히 아무 일 없고 숲 밖엔 저녁 해만 비치고 있다. |
依檻欲歎息 靜然已忘機 | 난간에 기대어 탄식하려다 고요히 어느새 기심(機心) 잊었네. |
봄볕이 따스해 혼곤한 낮잠에 빠졌다. 자는데 누가 자꾸 일어나라고 옷깃을 흔들어 깨운다. 무슨 일인가 싶어 부스스 일어난다. 일은 무슨 일, 봄바람의 공연한 장난이다. 밖을 내다보니 그게 아니다. 숲밖에는 저물녘 햇살이 빗겨있고, 봄 동산엔 풀빛이 벌써 짙었다. 꽃 찾는 나비는 햇살을 등에 안고 훨훨 날아다닌다. 봄바람이 나를 골렸던가? 그렇지 않다. 저걸 좀 보라고, 저 아름다운 광경을 곁에 두고 어찌 잠만 쿨쿨 자느냐고 날 깨운 것이다. 아! 아름답다. 나도 몰래 감탄사가 내 입을 빠져 나오려는 순간, 갑자기 사위(四圍)가 고요해지며 내가 누군지, 왜 여기 있는지조차 잊어버리고 말았다는 것이다.
도연명이 ‘득의망언(得意忘言) 한 것을, 최유청은 ‘정연망기(靜然忘機)’했다. 고요히 서서 사물을 바라보다가, 내가 사물이 되고, 사물이 내가 되는, 나비가 장주가 되고, 장주가 나비가 되는 물아일체의 황홀경을 맛보았다. 이런 점에서 두 시가 보여주는 세계는 같다. 선시는 이렇듯 언어가 끊긴 자리의 흔적들을 보여준다.
유재영의 「오월」에서도 그런 흔적을 본다.
상추꽃 핀
아침
자벌레가
기어가는
지구 안쪽이
자꾸만
간지럽다
마당에 핀 상추꽃을 보는 5월의 아침은 싱그럽다. 자벌레 한 마리가 활처럼 제 몸을 굽혔다가 쭉 펴고, 굽혔다가 쭉 펴며 지구의 중심을 향해 나아간다. 시인은 자꾸만 간지럽다고 말하는데, 정작 간지러운 것은 지구의 안쪽인가? 아니면 시인 자신인가? 조그만 자벌레가 지구를 간지럽힌다. 이 놀라운 깨달음 앞에 세계는 한순간 어안이 벙벙해진다.
다시 이런 시는 어떤가? 고려 때 혜심(慧諶)의 「대영(對影)」이란 작품이다.
池邊獨自坐 池底偶逢僧 | 연못 가 홀로 앉아 연못 속 중 만났지. |
黙黙笑相視 知君語不應 | 묵묵히 보며 웃네 대답 않을 줄을 알고. |
못가에 혼자 앉아 있는데, 못 속에서 웬 중 하나가 나를 물끄러미 보고 있다. 아무런 표정이 없다. 싱거워 내가 씩 웃자, 그도 따라 웃는다. 누구신가? 물으려다 입을 다문다. 내가 나를 모르는데, 그인들 그를 알겠는가? 두 사람은 그저 바라만 본다. 내가 그를 본다. 그도 나를 본다. 내가 나를 본다. 그가 그를 본다. 독자상시(獨自相視), 혼자 앉아 마주 본 이야기다. 물에 비친 자기 그림자를 보고 쓴 시다.
선이란 때로 이렇듯 무심한 자기 응시이기도 하다. 일체의 이런 저런 분별을 걷고, 하루에도 밑도 끝도 없이 떠오르는 생각들을 걷어내면 그 안에 텅빈 물건이 하나 남는다. 이것이 무엇인가? 선시는 그 텅빈 물건 하나를 앞에 두고 부지런히 닦기도 하고,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인데 닦을 먼지가 있기나 하겠느냐고 말하기도 한다.
인용
2. 학시와 학선의 원리
3. 동문서답의 선시들
'책 > 한시(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시미학, 21. 산수의 미학, 산수시 - 1. 가어옹과 뻐꾸기 은사 (0) | 2021.12.08 |
---|---|
한시미학, 20. 선시, 깨달음의 표정 - 4. 달마가 오지 않았는데도 도연명은 선을 아네 (0) | 2021.12.08 |
한시미학, 20. 선시, 깨달음의 표정 - 2. 학시와 학선의 원리 (0) | 2021.12.08 |
한시미학, 20. 선시, 깨달음의 표정 - 1. 선사들이 깨달음의 순간 시를 선택하는 이유 (0) | 2021.12.08 |
한시미학, 19. 선시, 깨달음의 바다 - 4. 거문고의 소리는 어디서 나는가 (0)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