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랑의 비극을 막는 방법
바닷새 이야기
또한 너만 들어보지 못했는가? 옛날 바닷새가 노나라 서울 밖에 날아와 앉았다. 노나라 임금은 이 새를 친히 종묘 안으로 데리고 와 술을 권하고, 구소의 음악을 연주해주고, 소와 돼지, 양을 잡아 대접했다. 그러나 새는 어리둥절해하고 슬퍼할 뿐, 고기 한 점 먹지 않고 술도 한 잔 마시지 않은 채 사흘 만에 죽어버리고 말았다.
이는 자기와 같은 사람을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른 것이지,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른 것이 아니다. 「지락」 6
且女獨不聞耶? 昔者海鳥止於魯郊, 魯侯御而觴之於廟, 奏九韶以爲樂, 具太牢以爲膳. 鳥乃眩視憂悲, 不敢食一臠, 不敢飮一杯, 三日而死.
此以己養養鳥也, 非以鳥養養鳥也.
노나라 임금이 몰랐던 것
『장자』는 법전처럼 정리된 경전과 같은 책이 아니라 그냥 이야기 모음입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들이라는 게 한번 읽고 쉽게 잊히는 흥미 위주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각을 계속 자극하는 철학적인 이야기들입니다. 문제는 이 이야기들을 모두 장자가 직접 쓴 것은 아니라는 데 있습니다. 장자가 세상을 떠나고 최소 300여 년 사이에 만들어진 이야기들도 그가 남긴 이야기인 양 포함되어 있으니까요. 『장자』는 크게 내편, 외편, 그리고 잡편으로 구분됩니다. 보통 내편을 구성하는 일곱 편에 담긴 이야기들이 장자가 쓴 이야기라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이것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내편에 장자 본인과 관련된, 그러니까 ‘장자적인’ 이야기가 많을 뿐입니다. 외편과 잡편에도 비록 작지만 장자적인 이야기들이 분명 있습니다. 내편 일곱 편이나 그중 가장 장자적이라 꼽히는 두 번째 「제물론」 편에 등장하는 이야기들은 가급적 뒤에서 다루려고 합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황천 이야기 다음으로 읽어볼 일화는 장자 자신의 속내를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이야기가 좋을 듯해서 「지락」 편의 ‘바닷새 이야기’를 골랐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닷새 이야기가 간접 인용된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너만 들어보지 못했는가?”라는 물음은 바닷새 이야기가 이미 있었던 이야기임을 알게 해줍니다. 누가 만든 이야기였을까요? 장자 본인이 만들어 즐겨 말했던 이야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니 물어본 것입니다. “너만 들어보지 못했는가?” 이 반문은 “너는 장자의 사유, 혹은 장자의 철학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가?”라는 물음과 같지요. 흥미롭게도 바닷새 이야기는 외편의 「지락」 편 말고 「달생」 편에도 똑같이 나옵니다. 「지락」 편과 마찬가지로 간접 인용하는 방식으로 말이죠. 그러니까 누군가 바닷새 이야기를 중시하고 이를 언급한다면 이는 장자의 사유를 따르고 있음을 자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닷새 이야기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합니다. 노(魯)나라(BC 1055 ~ BC 249) 임금이 왕궁 밖에서 매우 아름답고 근사한 바닷새와 마주칩니다. 바닷새를 사랑하게 된 임금은 바닷새를 궁궐로 데리고 오죠. 그리고 바닷새를 궁궐 안 가장 존귀한 곳, 종묘에 살게 합니다. 그렇게 임금은 종묘 안으로 데리고 들어온 바닷새에게 술을 내주고 가장 고귀한 음악인 구소도 들려줍니다. 소와 돼지와 양을 잡아 대접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해풍이 몰아치는 바닷가 암벽 틈에서 행복했던 바닷새에게 종묘는 가시방석 같았을 겁니다. 작은 물고기나 벌레를 잡아먹고 살았을 바닷새는 소나 돼지 같은 육류가 어리둥절하기만 합니다. 바람 소리와 나뭇가지 소리를 듣고 살았을 바닷새에게 구소의 음악은 소음이었을 테고요. 결국 바닷새는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사흘 만에 죽고 맙니다. 이렇게 바닷새 이야기는 새드 엔딩(Sad Ending)으로 마무리됩니다.
철학사적으로 바닷새 이야기는 공자(孔子, BC 551 ~ BC 479)의 윤리를 향한 정면 비판입니다. 공자 윤리의 핵심은 바로 ‘서(恕)’로 요약됩니다. ‘같다’는 뜻의 ‘여(如)’와 ‘마음’을 뜻하는 ‘심(心)’으로 구성된 ‘서’는 나의 마음과 타인의 마음을 같다고 여겨야 한다는 요구입니다. 구체적으로 공자는 말합니다. ‘기소불욕(己所不欲) 물시어인(勿施於人).’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편에 나오는 말로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도 하지 말라”는 뜻이죠. 내가 싫어하는 것은 남도 싫어하고, 내가 좋아하는 것은 남도 좋아할 것이라는 우리의 상식과도 맥을 같이합니다. 이 윤리는 칸트(Immanuel Kant, 1724 ~ 1804)에게서도 유사하게 발견됩니다. “당신은 당신 의지의 원칙이 언제나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그렇게 행위하라!” 『실천이성비판(Kritit der praktischen Vernunft)』에 나오는 말입니다. 내가 남에게 하려는 모든 행동은 남들이 나에게 해도 괜찮을, 그런 행동이어야 한다는 겁니다. 공자든 칸트는 아니면 우리의 상식이든 이런 생각이 옳으려면, 내가 원하는 것과 남이 원하는 것이 같아야 합니다. 이런 생각에 따르면, 남은 타자가 아니라 또 다른 나에 지나지 않겠죠. 본래 타자란 나와는 다르게 느끼고 욕망하는 존재인데 말입니다. 바닷새, 그것은 노나라 임금에게는 타자였습니다. 그런데 노나라 임금은 공자나 칸트의 명령을 그대로 실천한 사람이었죠. 나와 타자를 동일시해, 남들이 나에게 해주었으면 하는 것들, 즉 종묘와 같은 근사한 숙소, 소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맛난 음식, 품위 있는 음악을 바닷새에게 그대로 제공했으니까요. 이런 노나라 임금은 나쁜 사람이었을까요? 그가 설마 바닷새를 죽이려고 그렇게 해주었을까요? 그는 바닷새를 정말 사랑했고, 최선을 다해 그 마음을 표현했을 뿐입니다. 그런데도 그 마음과 달리, 사랑하는 존재를 죽음으로 몰고 가는 비극이 발생한 겁니다. 비극이 생긴 원인은 간단하죠. 노나라 임금은 바닷새가 자기와 유사한 존재가 아니라 자신과 다른 타자라는 것을 몰랐던 겁니다.
인용
목차 / 1. 철학을 위한 찬가 / 3. 소유하라 당신의 삶을
'책 > 철학(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2. 사랑의 비극을 막는 방법, 내가 변하는 것이 사랑 (0) | 2021.05.16 |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2. 사랑의 비극을 막는 방법, 타자를 절실하게 읽으려면 (0) | 2021.05.16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1. 철학을 위한 찬가, 쌀도 밥도 안 나오는 일들의 위대함 (0) | 2021.05.16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1. 철학을 위한 찬가, 내가 밟은 땅만 남기고 모조리 파낸다면 (0) | 2021.05.16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1. 철학을 위한 찬가, 장자 무용의 철학자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