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 진심 하 - 31. 차마하지 못하는 것과 해선 안 된다는 것 본문

고전/맹자

맹자 진심 하 - 31. 차마하지 못하는 것과 해선 안 된다는 것

건방진방랑자 2021. 10. 20. 19:25
728x90
반응형

31. 차마하지 못하는 것과 해선 안 된다는 것

 

 

孟子曰: “人皆有所不忍, 達之於其所忍, 仁也; 人皆有所不爲, 達之於其所爲, 義也.

惻隱羞惡之心, 人皆有之, 故莫不有所不忍不爲, 此仁義之端也. 然以氣質之偏, 物欲之蔽, 則於他事或有不能者. 但推所能, 達之於所不能, 則無非仁義矣.

 

人能充無欲害人之心, 而仁不可勝用也;

, 平聲.

, 滿也.

 

人能充無穿踰之心, 而義不可勝用也.

穿, 穿穴; , 踰牆, 皆爲盜之事也. 能推所不忍, 以達於所忍, 則能滿其無欲害人之心, 而無不仁矣; 能推其所不爲, 以達於所爲, 則能滿其無穿踰之心, 而無不義矣.

 

人能充無受爾汝之實, 無所往而不爲義也.

此申說上文充無穿踰之心之意也. 蓋爾汝人所輕賤之稱, 人雖或有所貪昧隱忍而甘受之者, 然其中心必有慚忿而不肯受之之實. 人能卽此而推之, 使其充滿無所虧缺, 則無適而非義矣.

 

士未可以言而言, 是以言餂之也; 可以言而不言, 是以不言餂之也, 是皆穿踰之類也.”

, 音忝.

, 探取之也. 今人以舌取物曰:, 卽此意也. 便佞隱黙, 皆有意探取於人, 是亦穿踰之類. 然其事隱微, 人所易忽, 故特擧以見例. 明必推無穿踰之心, 以達於此而悉去之, 然後爲能充其無穿踰之心也.

 

 

 

 

 

 

해석

孟子曰: “人皆有所不忍, 達之於其所忍, 仁也; 人皆有所不爲, 達之於其所爲, 義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모두 차마하지 못하는 것으로 차마 해도 된다는 것에 도달하게 하면 인()이고 사람이 모두 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할 수 있는 것에 도달하게 하면 의().

惻隱羞惡之心, 人皆有之,

측은지심과 수오지심은 사람이 모두 그것을 소유했기 때문에,

 

故莫不有所不忍不爲,

차마하지 못하고 할 수 없는 것이 있지 않을 수 없음이

 

此仁義之端也.

이것이 인과 의의 단서다.

 

然以氣質之偏, 物欲之蔽,

그러나 기질의 편벽됨과 물욕의 가림 때문에

 

則於他事或有不能者.

다른 일에 혹 할 수 없기도 하다.

 

但推所能, 達之於所不能,

다만 할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 하지 못하는 것에 도달하게 하면

 

則無非仁義矣.

인의(仁義)가 아님이 없다.

 

人能充無欲害人之心, 而仁不可勝用也;

사람이 남을 해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할 수 있다면 인을 이루 다 쓸 수 없고,

, 平聲.

, 滿也.

()은 가득하게 한다는 것이다.

 

人能充無穿踰之心, 而義不可勝用也.

사람이 벽을 뚫고 담을 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할 수 있다면 의를 이루 다 쓸 수 없다.

穿, 穿穴;

(穿)은 구멍을 뚫는다는 것이고

 

, 踰牆, 皆爲盜之事也.

()는 담장을 넘는다는 것으로 모두 도둑이 하는 일이다.

 

能推所不忍, 以達於所忍,

차마 하지 못하는 것을 확충하여 차마 하는 것에 도달케 하면

 

則能滿其無欲害人之心, 而無不仁矣;

사람을 해치려 하지 않는 마음이 가득 찰 수 있어 인이 아님이 없다.

 

能推其所不爲, 以達於所爲,

할 수 없는 것을 확충하여 할 수 있는 것에 도달케 하면

 

則能滿其無穿踰之心, 而無不義矣.

구멍 뚫고 넘지 않으려는 마음이 가득 찰 수 있어 의가 아님이 없다.

 

人能充無受爾汝之實, 無所往而不爲義也.

사람이 너 따위라고 낮잡아보는 것을 수용하지 않으려는 실체를 확충할 수 있다면 가는 곳마다 의가 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此申說上文充無穿踰之心之意也.

여기선 윗 문장이 무천유지심(無穿踰之心)’의 뜻을 확충하여 거듭 말한 것이다.

 

蓋爾汝人所輕賤之稱,

대체로 너 따위[爾汝]’라는 것은 경박하고 천시하는 호칭으로

 

人雖或有所貪昧隱忍而甘受之者,

사람이 비록 혹 탐욕에 어두워 은근히 참으며 달게 받는 경우가 있지만,

 

然其中心必有慚忿而不肯受之之實.

속으론 반드시 부끄럽고 화가 나 기꺼이 수용하지 못할 실체가 있는 것이다.

 

人能卽此而推之, 使其充滿無所虧缺,

사람이 여기에 나아가 확충하여 충만하게 하여 어그러진 게 없도록 한다면

 

則無適而非義矣.

가는 곳이 의가 아닌 게 없으리라.

 

士未可以言而言, 是以言餂之也; 可以言而不言, 是以不言餂之也, 是皆穿踰之類也.”

선비가 말해선 안 될 때 말하면 이것은 말로 물건을 핥는 것이고,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으면 이것은 말하지 않음으로 물건을 핥는 것이니, 이것이 모두 도둑질하는 부류다.”

, 音忝.

, 探取之也.

()은 더듬어 취하는 것이다.

 

今人以舌取物曰:, 卽此意也.

지금 사람들은 혀로 물건을 취하는 걸 첨()이라 하니, 곧 이 뜻이다.

 

便佞隱黙, 皆有意探取於人,

말만 잘하거나 침묵만 지키는 것은 다 남에게 탐색하여 취하는 데에 뜻이 있으니

 

是亦穿踰之類.

이것이 또한 도적의 부류다.

 

然其事隱微, 人所易忽,

그러나 그 일이 은미하여 사람들이 소홀하기 쉽기 때문에

 

故特擧以見例.

특별히 거론하여 예를 보여준 것이다.

 

明必推無穿踰之心, 以達於此而悉去之,

반드시 도적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하여 여기에 도달함으로 다 제거한 후에

 

然後爲能充其無穿踰之心也.

도적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인용

목차 / 전문 / 역주

삼천지교 / 생애 / 孟子題辭

10118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