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시미학산책, 놀이하는 인간, 잡체시의 세계 - 9. 바로 읽고 돌려 읽고⑥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시미학산책, 놀이하는 인간, 잡체시의 세계 - 9. 바로 읽고 돌려 읽고⑥

건방진방랑자 2021. 12. 7. 13:13
728x90
반응형

 

9. 바로 읽고 돌려 읽고

 

 

비슷하지만 좀 더 복잡한 예를 하나 더 읽어보자. 명나라 장조(張潮)가 엮은 해낭촌금(奚囊寸錦)에 실린 영기(令旗)란 작품이다. 위 그림에서 보듯 깃발 안에 49자가 적혀 있고, 정중앙의 ()’ 자만 검게 표시했다. 이 시를 읽는 방법은 좀 복잡하다. 중앙의 자에서 출발해서 아래로 내려와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7자씩 끊어 읽는다. 그리고 다음 구의 첫 자는 전 구의 끝 글자를 반으로 갈라서 따온다. 예를 들어 첫 구의 끝 글자 ()’에서 ()’을 취하고, 둘째 구의 끝 글자 ()’에서 ()’ 자를 취하는 방식이다. 퍼즐을 풀면 다음과 같다.

 

令出功成好勒銘 영 내리면 공 이루어 공 새기기 좋은데
金戈鐵馬靜瑽琤 쇠 창과 갑옷 말이 고요히 쟁글댄다
王侯仗此安邊檄 왕후께서 이를 기대 변방 격서 안돈하고
文武憑伊致太平 문무가 너를 빌려 태평을 이루도다
一面巧排龍虎勢 한 면으로 용호 형세 교묘히 물리치고
執宮分列斗牛横 궁을 지켜 두우진(斗牛陳)을 나누어 벌인다네
黃藍紅白仍兼綠 황색 남색 홍색 백색 녹색마저 아우르니
彔隊元戎總擅名 좋은 부대 무기들이 온통 이름 떨치누나

 

각 구절의 끝 글자와 다음 글자의 첫 글자를 보면 절반씩 갈라 꼬리따기 식으로 접속된다. 시의 내용은 군령기의 효용과 의미를 기렸다. 그림 자체를 설명한 셈이다. 단순한 화문에 다시 하나의 파자퍼즐을 보탠 난이도가 높은 형태다.

 

 

 

 

 

해낭촌금(奚囊寸錦)에 수록된 시 한 수 더 보자. 삼각형 안에 다시 삼각형을 넣은 모습이다.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유석도(儒釋道)’ 세 글자를 넣었다. 제목은 함삼위일(函三爲一)읽는 법은 꼭대기 ()’에서 시작 한 바퀴 돌아 ()’에서 안쪽 삼각형을 돌아 처음 ()’에서 맺는다. 시를 읽으면 다음과 같다.

 

儒家萬券高於釋 유가의 만 권이 불가 보다 높으니
佛典咸通看道書 불전에 모두 통해 도서를 본다네
仙子丹藏券石內 신선의 단서 경전 석실 안에 간직되니
咸邀納子拜吾儒 납자를 다 맞이해 오유(吾儒)에서 절 올린다

 

세 개의 꼭지점에 나란했던 학문이 한 줄기로 회통하여 유학으로 일원화되는 과정을 내용뿐 아니라 읽는 순서를 통해서도 드러내 보였다.

 

 

 

 

 

 

인용

목차

한국한시사

1. 글자로 쌓은 탑

2. 글자로 쌓은 탑

3. 글자로 쌓은 탑

4. 바로 읽고 돌려 읽고

5. 바로 읽고 돌려 읽고

6. 바로 읽고 돌려 읽고

7. 바로 읽고 돌려 읽고

8. 바로 읽고 돌려 읽고

9. 바로 읽고 돌려 읽고

10. 바로 읽고 돌려 읽고

11. 그림으로 읽기, 신지체

12. 그림으로 읽기, 신지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