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텅 빈 하늘의 바람 소리
바람 이야기
남자기가 탁자에 기대 앉아 하늘을 올려다보면서 숨을 쉬고 있었다. 그는 마치 자신의 짝을 잃어버린 듯 보였다. 그 앞에 시중들며 서 있던 안성자유가 물었다. “어디에 계십니까? 몸은 진실로 시든 나무처럼, 마음은 꺼진 재처럼 만들 수 있습니까? 오늘 탁자에 기대 앉아 있는 사람은 어제 탁자에 기대 앉았던 사람이 아닌 것 같습니다.”
南郭子綦隱几而坐, 仰天而噓, 嗒焉似喪其耦. 顔成子游立侍乎前, 曰: “何居乎? 形固可使如槁木, 而心固可使如死灰乎? 今之隱几者, 非昔之隱几者也?”
남곽자기가 말했다. “자유야, 현명하게도 너는 그것을 질문하는구나! 지금 나는 나 자신을 잃었는데, 너는 그것을 아느냐? 너는 사람의 피리 소리를 들어보았어도 아직 땅의 피리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을 수 있다. 너는 땅의 피리 소리를 들어보았어도 아직 하늘의 피리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子綦曰: “偃, 不亦善乎而問之也! 今者吾喪我, 汝知之乎? 汝聞人籟而未聞地籟, 汝聞地籟而不聞天籟夫!”
안성자유가 물었다. “감히 그 의미를 묻고 싶습니다.”
子游曰: “敢問其方.”
남곽자기가 말했다. “대지가 기운을 내뿜는 것을 바람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일어나지 않으면 그뿐이지만, 일어나기만 하면 모든 구멍이 성난 듯이 울부짖는다. 너는 무섭게 부는 바람 소리를 듣지 못했는가? 높고 깊은 산이 심하게 움직이면 백 아름이나 되는 큰 나무의 구멍들, 마치 코처럼, 입처럼, 귀처럼, 병처럼, 술잔처럼, 절구처럼, 깊은 웅덩이처럼, 좁은 웅덩이처럼 생긴 구멍들이 각각 물 흐르는 소리, 화살 나는 소리, 꾸짖는 소리, 숨을 들이마시는 소리, 울부짖는 소리, 아우성치는 소리, 탁하게 울리는 소리, 맑게 울리는 소리 등 온갖 소리를 낸다. 앞의 것들이 ‘우우’하고 소리를 내면 뒤의 것들은 ‘오오’하고 소리를 낸다. 산들바람에는 작은 소리로 대답하고, 거센 바람에는 큰 소리로 대답한다. 그러다 사나운 바람이 가라앉으면 모든 구멍들은 고요해진다. 너만 저 나무들이 휘청휘청하거나 살랑살랑거리는 모습을 보지 못했는가?”
子綦曰: “夫大塊噫氣, 其名爲風. 是唯無作, 作則萬竅怒號. 而獨不聞之翏翏乎? 山林之畏佳, 大木百圍之竅穴, 似鼻, 似口, 似耳, 似枅, 似圈, 似臼, 似洼者, 似汚者. 激者·謞者·叱者·吸者·叫者·譹者·宎者, 咬者, 前者唱于而隨者唱喁, 冷風則小和, 飄風則大和, 厲風濟則衆竅爲虛. 而獨不見之調調之刁刁乎?”
안성자유가 말했다. “땅의 피리가 온갖 구멍들이라면, 사람의 피리는 대나무관들을 붙여 만든 악기들이군요. 감히 하늘의 피리에 대해 묻고 싶습니다.”
子游曰: “地籟則衆竅是已, 人籟則比竹是已, 敢問天籟.”
남곽자기가 말했다. “만 가지로 다르게 소리를 내지만 자신으로부터 나오도록 해서 모두 자신이 취한 것이다. 그렇게 소리 나도록 한 것은 그 누구인가!” 「제물론」 1
子綦曰: “夫吹萬不同, 而使其自己也. 咸其自取, 怒者其誰耶?”
“지금 나는 나 자신을 잃었다”
『장자』는 전국시대부터 진나라와 한나라에 이르기까지 대략 300여 년이라는 시간을 거쳐 장자 본인과 그의 제자들, 나아가 장자를 너무나 사랑하고 따랐던 사람들의 사유가 합류해 만들어진 책입니다. 물론 강물의 수원지는 장자이지만, 무수한 지류들이 합류되어 섞이면서 『장자』라는 하나의 거대한 강물이 된 것입니다. 문제는, 합류한 지류들 중에 맑은 물을 흐리는 탁한 것들도 있고, 심지어 맑은 물을 썩게 만드는 오염된 것들도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대학과 연구소의 많은 연구자들은 지금도 『장자』에 합류한 다양한 흐름을 식별하려는 연구를 쉬지 않고 있죠. 다행히도 공통된 의견 한 가지가 있습니다. 『장자』 중 내편에 속한 일곱 편들, 그중 두 번째 편인 「제물론」 편은 장자 본인의 사유를 담고 있다는 겁니다. 「제물론」 편은 그만큼 중요합니다. 물론 「제물론」도 다른 편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여기 묶인 이야기들은 문학적 감수성뿐만 아니라 지적 영민함이 최상의 수준입니다. 분명 「제물론」 편은 매우 영민하고 섬세한 정신이 쓴 것이 확실합니다. 장자 본인이 썼는지 아니면 장자보다 더 장자적이었던 익명의 저자가 있었는지는 모를 일이지만, 어쨌든 장자가 직접 쓴 이야기라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바람은 있습니다. 그만큼 「제물론」 편에 등장하는 이야기들은 반짝반짝 빛이 납니다. 아니나 다를까, 「제물론」 편의 시작을 알리는 이야기는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아름답기까지 합니다. 수백 번 읽었지만 아직도 설렘을 주는 이야기, 바로 ‘바람 이야기’입니다.
안성자유라는 제자가 스승 남곽자기에게 던지는 질문으로 바람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제자는 오랫동안 스승을 모시고 있었기에 스승의 일거수일투족에 익숙합니다. 그런데 그날따라 스승이 어딘가 이상하기만 합니다. 스승이 생면부지의 남인 양 느껴진 것입니다. “오늘 탁자에 기대 앉아 있는 사람은 어제 탁자에 기대 앉았던 사람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제자의 질문에 스승은 기뻐합니다. 제자의 섬세함과 영민함만큼 스승이 기대하는 것은 없으니까요. 스승은 제자의 의구심을 풀어주려고 지금의 자신이 어제의 자신과 달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지금 나는 나 자신을 잃었다.” ‘오상아(吾喪我)’라는 유명한 말이 바로 여기서 등장합니다. ‘상(喪)’이라는 한자는 ‘상을 치른다’나 ‘상을 당했다’고 할 때 사용합니다. 사랑하는 가족이나 지인이 먼저 죽을 때 그를 떠나보내는 예식을 상례(喪禮)라고 하고, 상을 당한 가족을 상가(喪家), 상가에 가서 그 유족을 위로하는 것을 문상(問喪)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빈 배 이야기에 등장하는 ‘허(虛)’, 즉 ‘자신을 비운다’는 말보다 ‘상아(喪我)’라는 표현은 더 강렬한 데가 있습니다. 바구니에 있던 사과를 꺼내는 것은 결과적으로 바구니가 비는 것은 마찬가지더라도, 사과를 꺼내 매장하는 것과는 느낌이 다르니까요. 그만큼 ‘상아’는 ‘허기’보다 강한 개념이죠. 그래서 제자는 스승에게서 무언가 죽음의 냄새를 맡았던 겁니다. “몸은 진실로 시든 나무처럼, 마음은 꺼진 재처럼 만들 수 있습니까?”
자신을 비운다거나 아니면 자신을 잃는다는 것이 물론 마취 상태나 혹은 코마 상태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의식이나 소유 의식 혹은 허영의 마음을 없앤다는 말이니까요. ‘나는 똑똑해’ ‘나는 진리를 알아’ ‘나는 남자(여자)야’ ‘나는 돈이 많아’ ‘나는 섹시해’ 등등 이런 생각들이 사라지는 겁니다. 그렇지만 ‘비운다’나 ‘잃는다’는 말을 들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허무하다거나 부정적인 느낌이 들 겁니다. 제자 안성자유가 시든 나무나 꺼진 재라는 인상을 받은 것도 다 이해가 되죠. 한마디로 제 자는 “자신을 잃는 경지에서 죽음의 이미지를 얻은 것입니다. 자신의 상태를 감지한 제자의 영민함이 기뻐서인지, 아니면 자신이 자기 자신을 잃어버린 경지에 오른 것이 행복해서인지, 스승은 죽음의 냄새를 맡은 제자의 잘못된 생각을 바로잡으려 합니다. 그에게 ‘오상아(吾喪我)’의 경지 혹은 실존의 상태는 잿빛의 어두운 이미지가 아니라, 오히려 풀빛의 생생한 이미지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어둠이 아니라 밝음, 허무가 아니라 충만, 부정이 아니라 긍정, 무기력이 아니라 생기, 한마디로 사(死)가 아니라 생(生)의 이미지를 느껴야 ‘오상아’의 경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스승 남곽자기는 피리에 비유해 제자의 잘못된 인상을 고쳐주려 합니다. 우리로서는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안성자유의 의문 덕분에 장자의 속내에 한 걸음 더 접근할 수 있으니까요.
인용
9. 타자와 함께 춤을 / 11. 자유로운 공동체를 꿈꾸며
'책 > 철학(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10. 텅 빈 하늘의 바람 소리, 우리는 바람과 같다 (0) | 2021.05.17 |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10. 텅 빈 하늘의 바람 소리, 바람의 소리는 어디서 생긴 걸까 (0) | 2021.05.17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9. 타자와 함께 춤을, “모든 소는 다르다” (0) | 2021.05.17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9. 타자와 함께 춤을, 내 몸을 매개로 타자와 하나가 되는 (0) | 2021.05.17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9. 타자와 함께 춤을, ‘체험된 상황들’을 위하여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