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소화시평 상권 - 1. 활발발한 기상의 왕건 본문

문집/소화시평

소화시평 상권 - 1. 활발발한 기상의 왕건

건방진방랑자 2023. 1. 11. 11:49
728x90
반응형

1. 활발발한 기상의 왕건

 

 

凡帝王文章, 必有大異於人. 宋太祖詠日明太祖詠雪, 其弘量大度, 皆有不可以言語形容者.

輿地勝覽, 載高麗太祖嘗巡到鏡城龍城川, 有詩一絕曰: ‘龍城秋日晚, 古戍寒烟生. 萬里無金革, 胡兒賀太平.’ 意格豪雄, 音律和暢. 其一統三韓之氣像, 於此可見.

 

 

 

 

해석

凡帝王文章, 必有大異於人.

일반적으로 임금의 문장은 반드시 크게 남보다 다름이 있다.

 

宋太祖詠日明太祖詠雪,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영일(詠日)시와 명태조 주원장의 영설(詠雪)이란 시는

 

其弘量大度, 皆有不可以言語形容者.

너른 헤아림과 크나큰 헤아림이 모두 언어로써 형용할 수 없는 것이다.

 

輿地勝覽, 載高麗太祖嘗巡到鏡城龍城川,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살펴보면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일찍이 순수(巡狩)하며 경성 용성천에 이르렀을 적에

 

有詩一絕曰: ‘龍城秋日晚, 古戍寒烟生. 萬里無金革, 胡兒賀太平.’

지은 시 절구가 실려 있으니 다음과 같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50권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 산천(山川) 용성천(龍城川) 조에 실려 있다. 그런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은 최자(崔滋)의 시화 보한집(補間集)에서 재인용하였다. 보한집원문은 다음과 같다. “황조(皇祖)께서 수의()를 입고서 북방 변새를 순수할 때 다음 시를 지으셨다. (중략) 그 담박하고 예스러워 흔적이 없기가 최 아무개의 시와 똑같다. 저최 아무개의 시는 고금을 감탄했기에 정감이 풍부하고, 이 시는 한가로이 변새를 읊었기에 풍력이 웅장하다[皇祖以繡衣巡北塞曰, ‘龍城秋日淡, 古戍白烟橫. 萬里無金革, 胡兒賀大平.’ 其淡古無痕迹, 與崔詩同, 彼崔詩感歎今昔, 故情思多, 此詩閑昑邊塞, 故風力壯]." 보한집에서는 황조(皇祖)가 용성에 가서 시를 지었다고 했다. 여지승람소화시평등에서 그 황조를 고려 태조로 보았으나 그것은 오독으로 사실은 최자의 작고한 할아버지이다. 따라서 이 시의 작자는 고려 태조가 아니다. 김유(金楺)검재집(儉齋集)』 「무기쇄록(戊己瑣錄)에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 작자를 오인하였음을 보한집을 근거로 밝혀냈다. 또 경성이 예종 때 윤관이 개척하기 전에는 여진 땅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애초부터 태조가 갈 수 없음을 지적했다. 성호(星湖) 이익(李瀷) 역시 성호사설(星湖僿說)시문문(詩文門) 여조시(麗朝詩) 조에서 비슷한 견해를 제시했다..

 

龍城秋日晚 古戍寒烟生 용성의 늦가을 옛 수자리에 추운 이내 일어나지만
萬里無金革 胡兒賀太平 만리에 병기와 갑옷 없어져 오랑캐조차도 태평성대를 축하하네.

 

意格豪雄, 音律和暢.

의취와 격조가 호쾌하고 웅장하며 음률이 들어맞고 밝다.

 

其一統三韓之氣像, 於此可見.

후삼국[三韓]을 통일한 기상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서설

상권 목차

하권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