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82. 통신사가 쓴 시
黃漫浪㦿能詩, 而但欠生梗, 如「奉使日本」詩云: ‘童男女昔求仙地, 大丈夫今杖節行.’ 爲人傳誦.
鄭圃隱「奉使日本」詩云: ‘張騫査上天連海, 徐福祠前草自春.’
觀此兩詩, 不啻霄壤.
해석
黃漫浪㦿能詩, 而但欠生梗, 如「奉使日本」詩云: ‘童男女昔求仙地, 大丈夫今杖節行.’ 爲人傳誦.
만랑(漫浪) 황호(黃㦿)는 시를 잘 지었지만 다만 낯선 게 흠이었으니 「봉사일본(奉使日本)」이란 시는 다음과 같으니 사람들에게 전하여 외워졌다.
童男女昔求仙地 | 어린 사내와 계집이 예전에 신선을 찾으려던 곳, |
大丈夫今杖節行 | 대장부가 오늘은 사절단의 행렬이라네. |
鄭圃隱「奉使日本」詩云: ‘張騫査上天連海, 徐福祠前草自春.’
정포은의 「봉사일본(奉使日本)」이란 시는 다음과 같다.
張騫査上天連海 | 장건의 배 위엔 하늘이 바다에 연이어졌고 |
徐福祠前草自春 | 서복의 사당 앞에 풀은 절로 봄이네. |
觀此兩詩, 不啻霄壤.
이 두 시를 보면 차이가 하늘과 땅 차이뿐만 더 크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문집 > 소화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시평 하권 - 84. 노둔한 김득신이 지은 당풍에 가까운 한시 (0) | 2021.10.30 |
---|---|
소화시평 하권 - 83. 임유후 시를 중만당풍이라고 비평한 소암을 비판하다 (0) | 2021.10.30 |
소화시평 하권 - 81. 성리학이란 바탕으로 참된 선비의 시를 쓴 부친 홍주세 (0) | 2021.10.30 |
소화시평 하권 - 80. 소동파마저 뒷걸음치게 만들 시재를 뽐낸 신최 (0) | 2021.10.29 |
소화시평 하권 - 79. 수재라 칭송되었던 이계와 그의 죽음을 슬퍼한 택당 (0) | 202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