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한글역주, 진심장구 상 - 4. 만물의 이치가 다 구비되다 본문

고전/맹자

맹자한글역주, 진심장구 상 - 4. 만물의 이치가 다 구비되다

건방진방랑자 2022. 12. 31. 12:49
728x90
반응형

 4. 만물의 이치가 다 구비되다

 

 

7a-4. 맹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만물(萬物)이 나[]에게 다 구비되어 있느니라. 내 몸을 돌이켜보아 우주의 성실함을 자각할 수만 있다면 인생의 즐거움이 그것보다 더 큰 것은 없다. 살아가면서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서()를 열심히 실천하면 인()을 구하는 데 그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7a-4. 孟子曰: “萬物皆備於我矣. 反身而誠, 樂莫大焉. 强恕而行, 求仁莫近焉.”

 

이 장 역시 매우 유명한 장이며 조선의 유자들도 심심하면 잘 인용하는 말이지만 그 뜻을 제대로 헤아리는 자가 과연 몇 명이나 있는지 내 알 바 없다. 우선 만물개비어아(萬物皆備於我)’를 너무 도덕주의적(moralistic)으로 해석하거나 관념주의적(subjectivistic)으로 해석하는 오류를 쉽게 범한다. 양명심학의 문제도 이 맹자의 말을 너무 관념적으로 해석했다는 데 있다. 조선유자들은 양명심학을 접하지 않았지만 암암리 심학적 방식으로 맹자를 이해하였다. 그것은 19세기의 사상가 최한기가 통렬히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최한기의 말대로 만물이 모두 나에게 구비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문 자 그대로 만물이 통째로 들어있다. 그래서 외계의 격물은 필요없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만물의 이치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의 본성에 구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한 차원 더 거슬러 올라가 맹자의 말을 우주론적으로, 혹은 생물학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맹자는 내가 생각키엔 오늘날의 콘템포러리한 콘텍스트에서 해석하자면,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소기하는 바 인간학적 의미를 다 이해한 인물이라고 말하고 싶다. 나의 몸(Mom)은 단순한 유기체의 한 현재적 사건이 아니라 기나긴 시간의 진화의 과정의 통시적 산물이며, 그 한 몸 속에는 40억 년의 생명의 진화의 모든 가능성이 함장되어 있다. 따라서 만물개비어아(萬物皆備於我)라는 이 한마디는 보다 구체적으로 문자 그대로 이해될 수가 있다. 내 몸의 신비는 만물의 신비의 종합태인 것이다. 그런데 나의 몸의 신비의 가장 위대한 사실은 그 몸을 지배하는 만물의 이법(理法)이 도덕적 가치로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즉 나의 몸(Mom=)만을 반추하고 궁구하여도 우주의 성()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반신이성(反身而誠)’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이것은 주자학(朱子學)이나 양명학이 말하는 격물(格物)이 아니다. 내 몸의 탐구라는 것 자체가 관념적인 사태가 될 수 없으며, 그것은 생명과학의 전체적 사실(total facts)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한 계단을 낮추어 생각할 때, 인간의 삶의 도덕성에 관한 구체적 사실은 ()’에 집중된다. 자공이 공자에게 무어라 말했던가? ‘일언(一言)으로 종신토록 행할 만한 것이 과연 있겠나이까[有一言而可以終身之者乎]?’ 공자는 말씀하신다: “(), 그 한마디일 것이다.’

 

()’기소불욕(己所不欲), 물시어인(勿施於人)’이다. 이것은 중용(中庸)13에 매우 상세히 부연되고 있다. 나의 중용13장 해석을 참고할 것이다. ‘()’라는 것은 인간세의 보편적 윤리법칙을 말한 것인데, 칸트의 정언명령과 다른 것은 그것은 완벽무결한 논리적 전제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의 교섭 속에서 생성적으로 달성되는 것이다. ‘내가 원치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는다는 최소한의 부정형적 원리를 통하여 인간과 인간 사이의 정의 교섭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 교섭의 궁극에서 우리는 또다시 성()을 만난다. 그래서 구인(求仁)하는 데 서()처럼 좋은 방법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맹자진심편은 중용이라는 문헌과의 연계선상에서 읽는 것이 좋다. 우리가 보통 사맹학파(思孟學派)’ 운운하는 것은 중용(中庸)진심를 편과의 연속적 관계를 중심으로 운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중용불성무물(不誠無物)’(25)도 본장과의 관련 속에서 생각하는 것이 좋다.

 

 

 

 

인용

목차 / 맹자

전문 / 본문

중용 강의

논어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