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오릉 중자는 작은 절개만 중시하여 큰 절개를 버렸다
孟子曰: “仲子, 不義與之齊國而弗受, 人皆信之, 是舍簞食豆羹之義也.
舍, 音捨. 食, 音嗣.
○ 仲子, 陳仲子也. 言仲子設若非義而與之齊國, 必不肯受. 齊人皆信其賢, 然此但小廉耳.
人莫大焉, 亡親戚ㆍ君臣ㆍ上下. 以其小者信其大者, 奚可哉?”
其辟兄離母, 不食君祿, 無人道之大倫, 罪莫大焉. 豈可以小廉信其大節, 而遂以爲賢哉?
해석
孟子曰: “仲子, 不義與之齊國而弗受, 人皆信之, 是舍簞食豆羹之義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자는 불의하게 제나라를 주더라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사람들이 모두 믿지만 이것은 한 대나무의 밥과 한 그릇의 국을 거절하는 뜻이다.
舍, 音捨. 食, 音嗣.
○ 仲子, 陳仲子也.
중자는 진중자다.
言仲子設若非義而與之齊國, 必不肯受.
‘중자가 만약 의가 아닌 것으로 제나라를 준다면 반드시 기꺼이 받질 않으리니
齊人皆信其賢, 然此但小廉耳.
제나라 사람이 다 그의 어짊을 믿었다. 그러나 이것은 다만 작은 청렴일 뿐이다’는 말이다.
人莫大焉, 亡親戚ㆍ君臣ㆍ上下. 以其小者信其大者, 奚可哉?”
사람에겐 인륜(人倫)보다 큰 게 없는데 친척과 군신과 상하를 없앴으니 이것은 작은 것을 큰 것으로 믿는 것으로 어찌 옳겠는가?”
其辟兄離母, 不食君祿,
형을 피하고 어머니에게 도망쳐 임금의 녹은 먹지 않는 것은
無人道之大倫, 罪莫大焉.
인도(人道)의 큰 윤리가 없는 것이니, 죄가 이것보다 큰 게 없다.
豈可以小廉信其大節, 而遂以爲賢哉?
어찌 작은 청렴으로 믿어 마침내 어짊이 될 수 있겠는가?’라는 말이다.
인용
'고전 >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 진심 상 - 36.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내 몸도 바뀐다 (0) | 2021.10.20 |
---|---|
맹자 진심 상 - 35. 순임금의 아버지가 사람을 죽였다면, 순임금은 어떻게 행동할까? (0) | 2021.10.20 |
맹자 진심 상 - 33. 선비란 뜻을 고상히 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0) | 2021.10.20 |
맹자 진심 상 - 32. 군자가 농사짓지 않는데도 먹고 살 수 있는 이유(不素餐兮) (0) | 2021.10.20 |
맹자 진심 상 - 31. 이윤이 태갑을 추방하다 (0) | 2021.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