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시미학산책, 시(詩)와 문자유희(文字遊戱): 한시(漢詩)의 쌍관의(雙關義) - 4. 장님의 단청 구경②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시미학산책, 시(詩)와 문자유희(文字遊戱): 한시(漢詩)의 쌍관의(雙關義) - 4. 장님의 단청 구경②

건방진방랑자 2021. 12. 7. 16:51
728x90
반응형

4. 장님의 단청 구경

 

 

광해군 때 평양 관찰사 박엽(朴燁)이 손과 함께 장기를 두고 있었다. 장기 수가 자꾸 막히자 박엽은 곁에 앉아 시중을 들고 있던 기생 소백주(小栢舟)를 쿡 찌르며 그러고만 있지 말고 노래나 한 수 지어 불러보라 하였다.

 

 

상공(相公)을 뵈온 후에 사사(事事)를 믿자오매

졸직(拙直)한 마음에 병들까 염려러니

이리마 저리차 하시니 백년동포(百年同胞)하리이다.

 

 

나는 당신을 만난 뒤로 모든 일을 당신께 의탁고자 해도, 혹 님이 나를 버리시면 어쩌나 하여 병이 될 지경인데, 당신은 이리하마 저리하자는 딴청만 하시니 그러지 말고 함께 품어 백년해로하자는 말씀이다. 그런데 다시 시의 원문을 가만히 읽어보면 장기판의 짝패인 상()ㆍ사()ㆍ졸()ㆍ병()ㆍ마()ㆍ차()ㆍ포()의 음이 다 들어 있다. 그뿐 아니라 더 잘 음미해보면 절묘하게도 지금 그녀는 능청스레 훈수를 두고 있는 중이었다. 재치가 넘쳐흐른다.

 

조선시대 권필(權韠)이 지은 시에 이런 것이 또 있다.

 

遠客來山寺 秋風一杖輕 먼 나그네 산사에 오니 가을바람에 지팡이 가볍구나.
直入沙門去 丹靑四壁明 곧장 절문을 들어서니 사방 벽엔 단청이 환하더라.

 

가을 산사에 놀러 온 나그네의 절 구경 모습을 묘사한 작품이다. 시적 진술이라 보기에는 지나치게 평면적이고 싱겁다. 남용익(南龍翼)호곡시화(壺谷詩話)에서 위 시를 소개하면서, 권필이 절에서 놀다가 마침 장님이 절구경을 온 것을 보고 희롱 삼아 지은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먼 나그네 원객(遠客)’는 곧 눈먼 나그네 맹객(盲客)’이다. ‘눈이 멀었다[]’[] 나그네로 농친 것이다. ‘멀다의 동음이어를 활용, ‘()’에 이중자의를 부여하였다. 남용익(南龍翼)은 그 밖의 구절도 시속에서 흔히 쓰는, ‘장님의 지팡이’, ‘장님 곧장 문에 들어가기’, ‘장님 단청 구경등의 말을 조합하여 배열한 것이라고 부연하였다. 그의 설명을 듣고 나면 위의 진술이 왜 시답지 않았는가를 깨닫게 된다. 표면적 진술은 풍자 의도를 감추기 위한 사탕발림이다, 즉 사탕발림이다. 표면적 의미에만 집착하는 독자는 이 시를 읽을 자격이 없다. 이때 표면적 진술과 실질적 의미사이에 의도적인 괴리가 조성되어 있으므로 언어적 아이러니가 발생된다. 독자의 연상능력을 자극하여 시인의 교묘한 말장난을 깨닫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적 쾌감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역시 권필(權韠)이 장님을 두고 지은 시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百中經事業 三尺杖生涯 백중에 사업을 경영하고 삼척에 생애를 의지하네.

 

백중은 음력 칠월 보름이다. 무더운 때 생업에 열중하는 지팡이 짚은 늙은이의 모습을 말하는 듯하나, 위 번역으로는 작가의 진의가 파악되지 않는다.

 

百中經事業 三尺杖生涯 백발백중 점치는 사업을 한다면서 지팡이를 짚고서야 살아간대나.

 

이것을 위와 같이 풀이하면, 한 치 앞도 못 내다보는 봉사가 다른 사람의 미래는 백발백중 맞춘답시며 점쟁이 행세로 떠듬떠듬 지팡이를 짚고 가는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드러난다. 점치는 행위에 일부러 거창하게 사업을 갖다 부쳐, 독자들이 금방 의도를 간파하기 못하도록 우회하였다. ‘백중(百中)’삼척(三尺)’은 쓰이는 용례의 여러 의미 때문에 처음 독자에게 모호성을 유발시킨다.

 

 

 

 

 

 

인용

목차

한국한시사

1. 초록 저고리, 국수 한 사발

2. 초록 저고리, 국수 한 사발

3. 장님의 단청 구경

4. 장님의 단청 구경

5. 견우(牽牛)와 소도둑

6. 견우(牽牛)와 소도둑

7. 견우(牽牛)와 소도둑

8. 견우(牽牛)와 소도둑

9. 뻐꾹새 울음 속에 담긴 사회학

10. 뻐꾹새 울음 속에 담긴 사회학

11. 뻐꾹새 울음 속에 담긴 사회학

12. 선덕여왕의 자격지심

13. 선덕여왕의 자격지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