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허균 (61)
건빵이랑 놀자
그리움이 있어유회(有懷) 허균(許筠) 功名非我輩 書史且相親공명비아배 서사차상친泉壑待逋客 津梁誰故人천학대포객 진량수고인危途靑鬢換 舊業白雲貧위도청빈환 구업백운빈但自賦歸去 山中瑤草春단자부귀거 산중요초춘 倦鳥何時集 孤雲且未還권조하시집 고운차미환浮名生白髮 歸計負靑山부명생백발 귀계부청산日月消穿榻 乾坤入抱關일월소천탑 건곤입포관新詩不縛律 且以解愁顔 신시불박률 차이해수안 「惺所覆瓿藁」 해석功名非我輩 書史且相親공명은 우리 무리의 것이 아니니 책과 또한 서로 친해보세.泉壑待逋客 津梁誰故人임천【임천(林泉): ① 숲과 샘 ② 물러나 은거하는 곳】에서 은일자를 기다리니 진량【진량(津梁): ‘나루와 다리’라는 뜻인데, 두 가지 모두 물을 건너는 수단이므로, 중생(衆生)을 제도(濟度)한다는 뜻.】에선 누가 벗이런가?危途靑鬢換 舊業白..
춘추관에 제수되자 느꺼움이 있어서제춘추유감(除春秋有感) 허균(許筠) 投閑方欲乞江湖 金匱紬書更濫竽丘壑風流吾豈敢 丹鉛讎勘歲將徂壯遊未許追司馬 良史誰能繼董狐碧海煙波三萬頃 釣竿何日拂珊瑚 「惺所覆瓿稿」 해석投閑方欲乞江湖투한방욕걸강호한가로움에 푹 빠지려 곧 강호에 구걸하려 했는데,金匱紬書更濫竽금궤주서갱람우금갑에 넣을 글 엮는 것【금갑주서(金匱紬書): 책서(策書) 등의 비서(祕書)를 간직한 금속제(金屬製)의 상자. 곧 귀중한 서책을 의미한다.】으로 또 분수를 넘어서는 일이 되었네【남우(濫竽): 함부로 피리를 분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것처럼 속여 외람되이 높은 자리를 차지함을 말한다. 춘추(春秋) 시대 제선왕(齊宣王)이 우(竽)라는 피리를 좋아하여 악인(樂人) 3백 명을 불러 이 피리를 연주하게 하였는..
반골기질의 허균과 그를 도와준 사람들 『소화시평』 권하 42번의 주인공은 허균이다. 우리에게 허균은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의 작가로 알려져 있다. 한문이 권력의 지표가 되고 한글은 아녀자들이나 쓰는 글로 폄하되던 당시에 한문으로 유창한 글을 쓸 수 있던 사람이 한문이 아닌 한글로 글을 지었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일이었다. 더욱이 조선시대엔 소설이란 장르는 하나의 문학 장르로 호평을 받지 못하고 ‘그저 신변잡기나 읊어대는 불온한 글’이란 인상까지 있었으니, 『홍길동전』이 조선 전기 문인사회에 어떻게 비춰졌을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허균은 양반가의 막내아들로 뛰어난 문학적 소양으로 귀여움을 받으며 자랐다. 신분제 사회에선 모든 기득권을 향유할 수 있는 계층으로 태어났다는 사실, 그 하나만으로도..
42. 시의 내용과 행동이 위배된 허균 許筠「除兼春秋有感」詩曰: “投閑方欲乞江湖, 金櫃紬書亦濫竽. 丘壑風流吾豈敢, 丹鉛讐勘歲將徂. 壯遊未許追司馬, 良史誰能繼董狐. 碧海烟波三萬頃, 釣竿何日拂珊瑚.” 辭意極其婉轉. 第附麗兇徒, 煽俑邪論. 言與行違. 一至於此, 何哉. 해석 許筠「除兼春秋有感」詩曰: “投閑方欲乞江湖, 金櫃紬書亦濫竽. 丘壑風流吾豈敢, 丹鉛讐勘歲將徂. 壯遊未許追司馬, 良史誰能繼董狐. 碧海烟波三萬頃, 釣竿何日拂珊瑚.” 허균의 「겸춘추관에 제수되자 느꺼움이 있어[除兼春秋有感]」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投閑方欲乞江湖 한가로움에 푹 빠지려 곧 강호에 구걸하려 했는데, 金匱紬書亦濫竽 금갑에 넣을 글 엮는 것으로 또 분수를 넘어서는 일이 되었네. 丘壑風流吾豈敢 산천의 풍류를 내가 어찌 바라겠나. 丹鉛讎勘歲將徂..
주지번과 허균 『소화시평』 권하 41번에서는 중국 사신인 주지번이 말하는 허균에 대한 평가를 들을 수 있다. 이미 권상 35번 글을 통해 허균과 주지번이 매우 가까운 사이라는 걸 알 수 있었는데, 이번 글에서 평가하는 걸 보니 단순히 친한 정도가 아니라, 어찌 보면 소울 메이트였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는 아예 허균을 매우 칭송하며 ‘중국에 있더라도 상위권에 랭킹될 정도의 실력파 문장가[雖在中朝, 亦居八九人中]’라고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중과 포숙아의 이야기를 다룬 ‘관포지교(管鮑之交)’나 백아와 종자기의 우정담을 다룬 ‘지음(知音)’이나 이안눌과 권필의 우정담 등이 모두 그렇듯이 자기를 알아주는 한 사람이 얼마나 소중하냐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설 연휴에 모처럼 성남에 사는 친구와 만..
41. 주지번과 홍만종도 인정한 허균의 시작 재능 朱太史之藩, 嘗稱端甫雖在中朝, 亦居八九人中, 端甫, 許筠字也. 第以刑死, 文集不行, 人罕知之, 特揀數首. 其「有懷」詩, “倦鳥何時集, 孤雲且未還. 浮名生白髮, 歸計負靑山. 日月消穿榻, 乾坤入抱關. 新詩不縛律, 且以解愁顔.” 「初夏省中」詩曰: “田園蕪沒幾時歸, 頭白人間宦念微. 寂寞上林春事盡, 更看疏雨濕薔薇. 懕懕晝睡雨來初, 一枕薰風殿閣餘. 小吏莫催嘗午飯, 夢中方食武昌魚.” 評者謂: “東岳詩如幽燕少年, 已負沈鬱之氣; 石洲詩如洛神凌波, 微步轉眄, 流光吐氣; 許筠詩如波斯胡陳宝列肆, 下者乃木難火齊. 해석 朱太史之藩, 嘗稱端甫雖在中朝, 태사 주지번은 일찍이 ‘단보는 비록 중국에 있었더라도 亦居八九人中, 또한 8~9등엔 들어간다’고 칭찬했으니, 端甫, 許筠字也. 단보..
18. 독창적인 시 세계를 연 최립 崔東皐岦, 一號簡易. 「次文殊僧卷韻」曰: “文殊路已十年迷, 有夢猶尋北郭西. 萬壑倚笻雲遠近, 千峰開戶月高低. 磬殘石竇晨泉滴, 燈剪松風夜鹿啼. 此況共僧那再得, 官街七月困泥蹄.” 此在東皐詩中稍似平穩, 比諸公詩, 猶覺有奇健氣味. 比諸公詩, 猶覺有奇健氣味. 許筠以爲簡易詩, “本無師承, 自創爲格, 意淵語傑, 非切磨聲律. 採掇花卉者, 所可企及. 吾以簡易詩爲勝於文”云. 해석 崔東皐岦, 一號簡易. 동고 최립은 또 다른 호가 간이(簡易)다. 「次文殊僧卷韻」曰: “文殊路已十年迷, 有夢猶尋北郭西. 萬壑倚笻雲遠近, 千峰開戶月高低. 磬殘石竇晨泉滴, 燈剪松風夜鹿啼. 此況共僧那再得, 官街七月困泥蹄.” 「문수 스님의 시권에 차운하다[次文殊僧卷韻] / 차운문수승권(次韻文殊僧卷)」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허균과 이달의 재미난 첫 만남 이야기 공부를 막 시작할 때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는 『홍길동전』의 작자인 허균은 이달을 스승으로 모시고 배웠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다. 재밌는 사실은 허균은 정통 양반가의 자제인 반면 이달은 어머니가 관기 출신으로 서얼 신분이었다는 것이다. 지금도 계급이 있는 사회(우리나라는 계급이 타파되었지만 직업적인 계급은 존재한다. 그래서 재벌은 재벌들끼리, 권력 있는 사람은 권력 있는 사람들끼리만 관계를 유지한다)가 그러하듯, 그 당시 조선도 마찬가지라 양반과 서얼은 어울릴 수 있는 존재가 아니었다. 하지만 허균은 그런 것에 상관없이 어울렸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배울 만하다고 여기면 계급에 상관없이 스승으로 삼아 배웠던 것이다. 그런데 『소화시평』 권상 109번을 보니 허균이..
109. 허균을 경복케 한 이달의 시재 蓀谷李達少與荷谷相善, 一日往訪焉. 許筠適又來到, 睥睨蓀谷, 略無禮容, 談詩自若. 荷谷曰: “詩人在坐, 卯君曾不聞知耶? 請爲君試之.” 卽呼韻, 達應口而賦一絶, 其落句云: ‘墻角小梅開落盡, 春心移上杏花枝.’ 筠改容驚謝, 遂結爲詩伴. 且如「贈湖寺僧」詩曰: ‘東湖停棹暫經過, 楊柳悠悠水岸斜. 病客孤舟明月在, 老僧深苑落花多. 歸心黯黯連芳草, 鄕路迢迢隔遠波. 獨坐計程雲海外, 不堪西日聽啼鴉.’ 絶似唐人韻響. 해석 蓀谷李達少與荷谷相善, 一日往訪焉. 손곡 이달이 젊었을 적에 하곡 허봉과 서로 좋아하여 하루는 가서 방문했었다. 許筠適又來到, 睥睨蓀谷, 하곡의 동생 허균이 마침 또한 와서 도착했고 손곡을 흘겨보며, 略無禮容, 談詩自若. 거의 예의를 갖춘 태도도 없이 시를 말하는 게 태연..
102. 해동강서시파 호소지와 지천의 난삽한 시 世稱近代名家, 必曰湖蘇芝, 謂湖陰·蘇齋·芝川. 湖之組織精緻, 蘇之雄拔富贍, 芝之橫逸奇偉, 眞可相角. 芝川「贈梧陰」詩曰: ‘春事闌珊病起遲, 鶯啼燕語久逋詩. 一篇換骨脫胎去, 三復焚香盥手時. 天欲此翁長漫浪, 人從世路苦低垂. 銀山松桂芝川水, 應笑吾行又失期.’ 亦可見大家一班. 許筠云: “見芝川近律百餘篇, 其矜持勁悍, 森邃泬㵳, 寔千年以來絶響. 覈其所變化, 盖出於訥齋, 而出入乎盧ㆍ鄭之間, 殆同其派而尤傑然者也.” 해석 世稱近代名家, 必曰湖蘇芝, 세상에서 근대의 명문장가를 일컬을 때 반드시 ‘호소지’라고 말하는데, 謂湖陰·蘇齋·芝川. 호음 정사룡ㆍ소재 노수신ㆍ지천 황정욱을 말한다. 湖之組織精緻, 蘇之雄拔富贍, 호음의 시적 조직이 치밀하고 정밀한 것과 소재의 웅장하고 특출..
90. 우리나라 고유어로 시를 쓰라 世謂: “中國地名皆文字, 入詩便佳. 如‘九江春草外, 三峽暮帆前.’ ‘氣蒸雲夢澤, 波撼岳陽樓.’等句, 只加數字而能生色. 我東方皆以方言成地名, 不合於詩.”云. 余以爲不然, 李容齋「天磨錄」詩: ‘細雨靈通寺, 斜陽滿月臺.’ 蘇齋「漢江」詩云: ‘春深楮子島, 月出濟川亭.’ 詩豈不佳? 惟在鑪錘之妙而已. 해석 世謂: “中國地名皆文字, 入詩便佳. 세상에선 말한다. “중국의 지명은 모두 문자이기 때문에 시에 삽입하면 더욱 아름답다. 如‘九江春草外, 三峽暮帆前.’ 두보(杜甫)의 「나그네[遊子]」의 다음 구절이나 九江春草外 三峽暮帆前 봄풀 바깥에서 구강이 흐르고, 저물녘 돛대 앞에 삼협(三峽)이 놓여 있네. ‘氣蒸雲夢澤, 波撼岳陽樓.’等句, 맹호연(孟浩然)의 「동정호에 다다라[臨洞庭]」의 ..
성수시화(惺叟詩話) 목차 허균(許筠) 惺叟詩話引 1 2 3‘送人’ 시의 의미와 고죽ㆍ익지가 화운한 시 평가정지상 - 送人최경창 - 浿江樓舡題詠이달 - 采蓮曲 次大同樓船韻4 5영달하지 못하는 자신을 한탄한 이인로이인로 - 內庭寫批有感6 7 8 9 10 11 12 13부벽루의 대표작, 이색의 시이색 - 浮碧樓14 15 16호탕한 기상을 지닌 정몽주의 시들정몽주 - 定州重九 韓相命賦정몽주 - 重九日題益陽守李容明遠樓정몽주 - 蓬萊驛 示韓書狀尙質정몽주 - 洪武丁巳奉使日本作정몽주 - 江南曲17김구용과 조서, 중국에서 유배 가는 기구한 운명과 시재김구용 - 感懷김구용 - 武昌18 19고려 말의 뛰어난 시인 정이오와 이첨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조선 한시 제일 대가 용재 이행이행..
81. 本朝僧人能詩者甚稀 惟參寥爲最 其贈人詩曰 水雲蹤跡已多年 針芥相投喜有緣 盡日客軒春寂寞 落花如雪雨餘天 俊潔有味
80. 有白大鵬者 亦能詩 嘗爲司錀 一時渠之儕類皆效之 其詩學郊島 枯淡而萎 故汝章每見人學晩唐者 必曰司鑰體也 蓋嘲其弱焉
79. 劉希慶者 本賤隷也 爲人淸愼 事主忠事親孝 大夫士多愛之 能詩甚純熟 小日 從林葛川薰 在光州登石川墅 押其樓題星字曰 竹葉朝傾露 松梢曉掛星 梁松川見而亟稱之
76. 羽士田禹治 人言仙去 其詩甚淸越 嘗游三日浦作詩曰 秋晩瑤潭霜氣淸 天風吹下紫簫聲 靑鸞不至海天闊 三十六峯明月明 讀之爽然
75. 家姊蘭雪一時 有李玉峯者 卽趙伯玉之妾也 詩亦淸壯 無脂粉態 寧越道中作詩曰 五日長關三日越 哀歌唱斷魯陵雲 妾身亦是王孫女 此地鵑聲不忍聞 含思悽怨 與李益之東風蜀魄苦 西日魯陵寒之句 同一苦調也
74. 壬辰六月二十八日 是明廟忌辰 申濟而題詩於谷口驛曰 先王此日棄群臣 末命慇懃托聖人 二十六年香火絶 白頭號哭只遺民 觀者無不下淚
73. 仲兄於豐山驛 見題壁一詩 曰 世上無人識俊才 黃金誰爲築高臺 邊霜染盡靑靑鬢 疋馬陰山十往來 辭氣感慨 甚佳作也 問之郵卒 曰 兵營軍官孫萬戶所題也
72. 仲兄奉使北方 登壓胡亭作詩曰 白屋經年病 靑苗一夜霜 林子順極賞之 以詩贈之曰 白屋靑苗十字史 仲兄亦稱其胡虜曾窺二十州 將軍躍馬取封侯 如今絶塞無征戰 壯士閑眠古驛樓 以爲翩翩俠氣
71. 林子順有詩名 吾二兄嘗推許之 其朔雪龍荒道一章 可肩盛唐云 嘗言往一寺有僧軸 題詩曰 竊食東華舊學官 盆山雖好可盤桓 十年夢繞毗盧頂 一枕松風夜夜寒 詞甚脫洒 沒其名號 不知爲何人作也 固有遺才 而人未識者
70. 尹斯文勉奉使湖南 造一山中有草屋 一老翁樹下槃博 几有一卷 展看則就奪之曰 鄙作不堪入眼 僅見首題詠梳詩曰 木梳梳了竹梳梳 梳却千回蝨已除 安得大梳長萬丈 盡梳黔首蝨無餘 問其名 不對而遯去 或言全州進士兪好仁也
69. 仲兄深服高霽峯 每言同在浿西 人押交字 高公和之曰 連村稌黍三秋後 一路風霜十月交 不覺屈服 又言柳參判永吉詩 雖境狹有好處 如錦瑟消年急 金屛買笑遲 映箔山榴艶 通池野水淸等句 皦勁可喜
68. 人謂子敏詩鈍而不揚者 非也 其在咸興作詩曰 雨晴官柳綠毿毿 客路初逢三月三 共是出關歸未得 佳人莫唱望江南 淸楚流麗 去唐人奚遠哉
67. 鄭松江善作俗謳 其思美人曲及勸酒辭 俱淸壯可聽 雖異論者斥之爲邪 而文采風流 亦不可掩 比比有惜之者 汝章過其墓 作詩曰 空山木落雨蕭蕭 相國風流此寂寥 惆悵一杯難更進 昔年歌曲卽今朝 子敏江上聞歌詩曰 江頭誰唱美人辭 正是江頭月落時 惆悵戀君無恨意 世聞唯有女郞知 二詩皆爲其歌發也
66. 實之賞亡兄之文曰 深知文章者 許美叔也 余嘗問後來孰繼吾兄耶 曰 申玄翁可繼之 淸亮不逮 而穠厚過之
64. 余嘗聚孤竹五言古詩 亡兄古歌行 蘇相五言律 芝川七言律 蓀谷玉峯及亡姊七言絶句 爲一帙看之 其音節格律 悉逼古人 而所恨氣不及焉 嗚呼 孰返其元聲耶
62. 崔詩悍勁 白詩枯淡 俱不失李唐跬逕 誠亦千年希調也 李益之較大 故苞崔孕白而自成大家也
61. 近代館閣 李鵝溪爲最 其詩初年法唐 晩謫平海 始造其極 而高霽峯詩 亦於閑廢中 方覺大進 乃知文章不在富貴榮耀 而經歷險難 得江山之助 然後可以入妙 豈獨二公 古人皆然 如子厚柳州 坡公嶺外 可見已
60. 思庵相捐舍 輓歌殆數百篇 獨成牛溪一絶爲絶倡 其詩曰 世外雲山深復深 溪邊草屋已難尋 拜鵑窩上三更月 應照先生一片心 無限感傷之意 不露言表 非相知之深 則焉有是作乎
59. 余赴遂安日 黃芝川送以詩曰 詩才突兀行間出 官況蹉跎分外奇 摠是人生各有命 悠悠餘外且安之 殊甚感慨 公少日在玉堂 時李伯生,崔嘉運,河大而輩 俱尙唐韻 詠省中小桃 篇什甚多 公和之曰 無數宮花倚粉墻 游蜂戲蝶趁餘香 老翁不及春風看 空有葵心向太陽 含意深遠 措辭奇悍 爲詩不當若是耶 綺麗風花 返傷其厚
58. 先大夫以子弟在和順 與金進士潤相交 每稱其詩 兵使嘗構鎭南樓 邀進士作大篇記之 桑酣一揮而就六十句 其首句曰 虹梁萬鈞壓朱雀 龍顏舞劍公孫娘 甚傑作也 嘗水行船敗 僅及岸 登亭作詩曰 衣冠俱被狂流失 身體猶存父母遺 更上高亭看霽景 秋山淡碧入新詩 其高趣可掬 六十後始占司馬 以遺逸授齋郞 不來
56. 노수신과 황정욱의 시에 대한 평가 盧蘇齋ㆍ黃芝川, 近代大家, 俱工近體. 未知其故也. 盧之五律, 黃之七律, 俱千年以來絶調. 然大篇不及此, 未知其故也. 해석 盧蘇齋ㆍ黃芝川, 近代大家, 俱工近體. 노소재와 황지천은 근세의 대가들로 함께 근체시를 잘 지었다. 盧之五律, 黃之七律, 노수신의 5언율시와 황정욱의 7언율시는 俱千年以來絶調. 모두 천년 이래의 절창이었다. 然大篇不及此, 未知其故也. 그러나 대편【대편(大篇): 규모가 웅장하고 길이가 긴 시문】은 여기에 미치지 못하니 그 까닭을 알진 못하겠다. 인용 목차 전문 작가 이력 및 작품
55. 朴思庵詩 久沐恩波役此心 曉鷄聲裏載朝簪 江南野屋春蕪沒 却倩山僧護竹林 嗚呼 士大夫孰無欲退之志 而低回寸祿 負此心者多矣 讀此詩 足一興嘅
53. 魯國鶢鶋饗 南征薏苡還 秋風蘇季子 又出穆陵關 公大加稱愛 待之如初 可見先輩朋友相規之義 而其風流好才 亦何易得乎 盧相見僧軸有孤竹及益之詩 題曰 當代文章伯 唯稱李與崔 蓋非溢辭也 仲兄亦言李之詩 自新羅以來法唐者 無出其右 嘗稱其中天笙鶴下秋霄 千載孤雲已寂寥 明月洞門流水在 不知何處武陵橋之作 以爲不可及已
52. 蓬萊宰江陵 賓遇益之 之爲人不檢 邑人訾之 先子貽書勖之 公復曰 桐花夜煙落 梅樹春雲空之李達 設若疏待 則何以異於陳王初喪應劉之日乎 然醴初不設 益之留詩以辭曰 行子去留際 主人眉睫間 今朝失黃氣 未久憶靑山
51. 楊蓬萊游楓岳 刻詩石上曰 白玉京蓬萊島 浩浩煙波古 煕煕風日好 碧桃花下閑來往 笙鶴一聲天地老 有游仙之興 同時有宋暻者 庶子也 亦續之曰 鶴軒昂鳳逶遲 三山朝下 五雲中飛 乾坤三尺杖 身世六銖衣 好掛長劍巖頭樹 手弄淸泉茹紫芝 蓬萊極加奬詡 亡兄喜稱之
50. 朴守庵遊靑鶴洞 作詩曰 孤雲唐進士 初不學神仙 蠻觸三韓日 風塵四海天 英雄那可測 眞訣本無傳 一入蓬山去 淸芬八百年 淵悍簡質 有思致深 得杜,陳之體
49. 先君送行詩帖 蘇相有白玉堂盛久 黃金帶賜今之句 人以爲佳 然朴守庵詩 有忽看卿月上 誰惜我衣華之語 此乃警策 其挽眉庵詩 千秋滄海上 白日大名垂 何必杜陵
48. 先大夫己卯歲按嶺南 而權習齋以冬至使赴京 其送先君詩曰 懷抱平生擬好開 笑談從此未多陪 朝天我渡遼河月 擁節君尋庾嶺樓 職事道途俱可念 別離衰謝兩相催 公餘倘有停雲詠 佇望詩筒數寄來 先君稱其切當
47. 先大夫嘗言尹長源之才不可及 每稱其海闊孤舟千里夢 月明長笛數聲秋及交風吹杏打重門之句 以爲淸切逼古
46. 河西亡後 嶺南河陽 有吳世億者死 三日而蘇 言夢詣天府 紫衣人押入小院 有綸巾學士 云是金河西 你今年不合升天 可出云 勉力脩行以詩送之曰 世億其名字大年 排門來謁紫微仙 七旬七後重相見 歸去人間莫浪傳 世億孝子也 其後果七十七 無疾而卒
45. 金河西麟厚高曠夷粹 詩亦如之 梁松川極贊其登吹臺詩 以爲高岑高韻云 其詩曰 梁王歌舞地 此日客登臨 慷慨凌雲趣 凄涼弔古心 長風生遠野 白日隱層岑 當代繁華事 茫茫何處尋 沈着俊偉 一洗纖靡 寔可貴重也
44. 林錦湖亨秀風流豪逸 其詩亦翩翩 花低玉女酣觴面 山斷蒼虯飮海腰之句 至今膾炙人口 退溪先生酷愛之 晩年輒思之曰 安得與林士遂相對乎
43. 林石川爲人高邁 詩亦如其人 洛山寺詠龍升雨降之狀 文勢飛動 殆與奇觀敵其壯麗 其心同流水世間出夢作白 鷗江上飛 矯矯神龍戲海意
42. 沈漁村晩與安老有隙 出爲北方伯 有詩曰 洪河欲濟無舟子 寒木將枯有寄生 蓋悔心之萌乎
40. 羅長吟湜有詩趣 往往逼盛唐 申,鄭諸老會于人家 方詠蒲桃畫簇 沈吟未就 長吟乘醉而至 奪筆欲書簇上 主人欲止之 湖老曰 置之 長吟作二絶 其一曰 老猿失其群 落日枯楂上 兀坐首不回 想聽千峯響 湖老大加稱賞 因閣筆不賦 蓀谷亦云此盛唐伊州歌法 所謂截一句不得成篇者也
39. 申駱峯詩 淸絶有雅趣 中秋舟泊長灘曰 孤舟一泊荻花灣 兩道澄江四面山 人世豈無今夜月 百年難向此中看 船上望三角山曰 孤舟一出廣陵津 十五年來未死身 我自有情如識面 靑山能記舊時人 過金公碩舊居曰 同時逐客幾人存 立馬東風獨斷魂 煙雨介山寒食路 不堪聞笛夕陽村 三月三日 寄朴大立曰 三三九九年年會 舊約猶存事獨違 芳草踏靑今日是 淸尊浮白故人非 風前燕語聞初嫩 雨後花枝看亦稀 茅洞丈人多不俗 可能無意典春衣 篇篇俱可誦 雖雄奇不逮湖老 而淸鬯過之
37. 崔猿亭玩世不仕 冀以免禍 一日 諸賢會靜庵第 猿亭自外至 氣急不能言 亟呼水飮之曰 我渡漢江 波湧船壞 幾渰僅生 主人笑曰 此諷吾輩也 猿亭援筆寫山水於壁間 元冲詩之曰 淸曉巖峯立 白雲橫翠微 江村人不見 江樹遠依依 猿亭登萬義浮屠 作詩曰 古殿殘僧在 林梢暮磬淸 窓通千里盡 墻壓衆山平 木老知何歲 禽呼自別聲 艱難憂世綱 今日恨吾生 結句有意 抑自知其罹禍耶 惜哉
36. 金冲庵詩 落日臨荒野 寒鴉下晩村 空林煙火冷 白屋掩柴門 酷似劉長卿 其牛島歌 眇冥惝怳 或幽或顯 極才人之致 申企齋推以爲長吉之比也
35. 李益之少時學杜詩於湖陰 一日命取架上諸書看之 到春亭集擲之地 梅溪集則展看笑掩之 蓋輕之也 唯取佔畢集 熟看不已 覘之則悉自批抹 蓋好之而取材爲料也 嘗問平生得意句則曰 山木俱鳴風乍起 江聲忽厲月孤懸 人以爲峭麗 峯頂星搖爭缺月 樹顚禽動竄深叢 亦巧思 而終不若雨氣壓霞山忽暝 川華受月夜猶明 似有神助也
34. 湖陰黃山驛詩曰 昔年窮寇此殲亡 鏖戰神鋒繞紫芒 漢幟豎痕餘石縫 斑衣漬血染霞光 商聲帶殺林巒肅 鬼燐憑陰堞壘荒 東土免魚由禹力 小臣摸日敢揄揚 奇傑渾重 眞奇作也 浙人吳明濟見之 批曰 爾才屠龍 乃反屠狗 惜哉 蓋以不學唐也 然亦何可少之
33. 鄭湖陰少推伏 只喜訥齋詩 嘗書西北二江流太古 東南雙嶺鑿新羅及彈琴人去鶴邊月 吹笛客來松下風之句於壁上 自嘆以爲不可及 又云許宗卿有野路欲昏牛獨返 江雲將雨燕低飛之句 可與姜木溪紫燕交飛風拂柳 靑蛙亂叫雨昏山之語 相當也 其時稱申企翁衆體皆具 而湖陰獨善七言律 似不及焉 湖陰曰 渠之衆體 安敢當吾一律乎 其自重如此

31. 조선 한시 제일 대가 용재 이행 我國詩, 當以李容齋爲第一. 沈厚和平, 澹雅純熟. 其五言古詩, 入杜出陳, 高古簡切, 有非筆舌所可讚揚. 吾平生所喜詠一絶, ‘平生交舊盡凋零, 白髮相看影與形. 正是高樓明月夜, 笛聲凄斷不堪聽.’ 無限感慨, 讀之愴然. 해석我國詩, 當以李容齋爲第一. 우리나라의 시는 마땅히 용재 이행으로 제일로 삼는다. 沈厚和平, 澹雅純熟. 침착하고 두터우며 화평하고, 담박하고 우아하며 순수하고 익숙하다. 其五言古詩, 入杜出陳, 5언고시는 두보로 들어가 후산 진사도로 나왔으니, 高古簡切, 有非筆舌所可讚揚. 고상하고 예스러워 간절하여 글과 말로 찬양할 수가 없다. 吾平生所喜詠一絶, ‘平生交舊盡凋零, 白髮相看影與形. 正是高樓明月夜, 笛聲凄斷不堪聽.’ 내가 평생 기쁘게 읊었던 「8월 15일 밤[八月十..
30. 廢主雖荒亂 亦喜詞藻 姜木溪久爲知申事 嘗以寒食園林三月暮 落花風雨五更寒爲韻 命近臣製進 木溪詩爲魁 詩曰 淸明御柳鎖寒煙 料峭東風曉更顚 不禁落花紅襯地 更敎飛絮白漫天 高樓隔水褰珠箔 細馬尋芳耀錦韉 醉盡金樽歸別院 綵繩搖曳畫欄邊 主大加稱賞 賚物甚多 嘗悼亡姬 令詞臣製挽 李伯益詩曰 宮門深鎖月黃昏 十二鍾聲到夜分 何處靑山埋玉骨 秋風落葉不堪聞 主極稱贊 遂自吏曹正郞 擢直提學 二詩雖好 而二公亦因此不振云
29. 南止亭嘗言金馹孫之文 朴誾之詩 不可易得 此語誠然 朴之詩 雖非正聲 嚴縝勁悍 如春陰欲雨鳥相語 老樹無情風自哀之句 學唐纖麗者 安敢劘其墨乎
28. 李忘軒胄詩最沈著 有盛唐風格 如朝日噴紅跳渤澥 晴雲挹白出巫閭 甚有力 凍雨斜連千嶂雪 飢烏驚叫一林風 老蒼奇傑 其通州詩曰 通州天下勝 樓觀出雲霄 市積金陵貨 江通楊子潮 寒煙秋落渚 獨鶴暮歸遼 鞍馬身千里 登臨故國遙 亦咄咄逼王,孟也
27. 曺梅溪,兪㵢溪 一時俱有盛名 不若鄭淳夫 其渾沌酒歌甚好 酷似長公 如片月照心臨故國 殘星隨夢落邊城之句 極神逸 而客裏偶逢寒食雨 夢中猶憶故園春 有中唐雅韻 春不見花唯見雪 地無來雁況來人 雖傷雕琢 亦自多情
지천 황정욱의 시권에 쓴 서문제황지천시권서(題黃芝川詩卷序) 허균(許筠) 蓋余少日及見芝川翁, 其持論甚倨, 談古今文藝, 少所許, 而至我國詩則尤不齒論. 如容齋而目爲太腴, 李達而指爲模擬, 其下槪可知矣. 唯推朴訥齋祥, 爲不可及, 而湖陰ㆍ蘇齋稍合作家. 余聞而心駭, 浩如睇河漢, 不可測其深涯也. 然私竊記之, 公歿, 遺文不可槪見, 每置恨也, 而疑其所述果合於所論否. 余友趙持世裒其近律百餘篇, 余始寓目, 則其矜持勁悍, 森邃泬寥, 寔千年以來絶響. 覈所變化, 蓋出於訥齋, 而出入乎盧ㆍ鄭之間, 殆同其派而尤傑然者. 余得此, 始知其所論果合於所著述, 而不爲空言也. 噫! 其异哉. 嗚呼! 使數公生於海內, 則其所造詣, 豈在於北地ㆍ濟南ㆍ太倉之下. 而不幸生於下國, 不克充其才, 又不能名於天下後世, 湮沒不傳, 惜哉! 公諱廷彧, 字景文, 事穆陵, 以光..
허균許筠: 1569(선조 2)~1618(광해군 10) 중기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ㆍ학산(鶴山)ㆍ성소(惺所)ㆍ백월거사(白月居士). 성(筬)ㆍ봉(篈)ㆍ난설헌의 아우이다. 1569년 서울 건천동에서 허엽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김광철의 딸로서 허엽의 후처인 김씨이다. 1580년 12세 본격적으로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사략을 읽음. 1585년 17세 도사를 지낸 김대섭의 둘째딸 김씨를 맞아 장가를 듦. 1588년 20세 둘째 형 허봉(許篈)이 금강산에서 죽음. 1591년 23세 누이인 난설헌이 죽음. 『난설헌집(蘭雪軒集)』을 편찬함. 1592년 24세 4월에 임진왜란이 발발함. 어머니와 부인 김씨와 함께 단천으로 감. 부인은 피란길에 죽었고 장자도 뒤따라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