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시미학산책, 실험정신과 퍼즐 풀기 - 11. 이합체(離合體)와 문자 퍼즐②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시미학산책, 실험정신과 퍼즐 풀기 - 11. 이합체(離合體)와 문자 퍼즐②

건방진방랑자 2021. 12. 7. 14:10
728x90
반응형

11. 이합체(離合體)와 문자 퍼즐

 

 

이제 본격적인 완성된 형태의 이합체(離合體) ()를 한 수 감상해 보기로 하자. 조선 중기 계곡(谿谷) 장유(張維)의 작품이다.

 

徂年糬已改 且可閑逍遙 흘러가는 세월 문득 이 몸 바꾸어 장차 한가로이 노닐만 해라.
聽取天幡鳴 耳邊喧調刀 천지의 소리를 귀여겨 들으니 귓가엔 떠들썩 칼 고르는 소리로다.
干時良已晩 二毛紛飄蕭 시대에 쓰임 구하려도 이미 늦었고 반쯤 센 터럭만 어지러이 흩날리네.
沓沓名利子 白日誇蟬貂 욕심 많은 저 명리(名利)의 사람은 밝은 해에 가벼운 갖옷 뽐내네.
弛置樂自便 也復觀漁樵 멋대로 놓아두니 즐거워 편안한데 다시 몸소 고기 잡고 나무를 하네.
倀鬼役於虎 人或遭昏妖 박귀(璞鬼)가 범에게 부림 당하듯 사람도 간혹 요귀를 만난다네.
結髮喜玄覽 吉凶窮長消 머리 묶고 즐거이 사물을 살펴보면 길하고 흉한 분별 모두 스러지리.
椎樸謝外飾 木朽安可彫 순박하게 겉치장도 마다하나니 나무가 썩으면 무엇을 새기랴.
擧世好趨競 與我不相要 온 세상은 쫓아 다툼 좋아 하여서 나와는 서로 맞지를 않네.
詩書資發塚 言語徒譊譊 시서(詩書)는 배워봤자 무덤 파는 구실되고 언어도 한갖 싸움을 낼 뿐.
固窮不失道 古人已寂廖 진실로 궁해도 도()는 잃지 않으리라 옛사람 이미 아득하지만.
惑哉內熱子 心裏長如焦 어리석다 마음을 졸이는 사람 마음 속 언제나 애가 타리니.

 

늘그막의 심경을 술회한 전 24구의 긴 시이다. 어지러운 세상, 사람들은 그저 번드르한 갖옷만을 뽐내고, 고요히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은 귀신에게 씌운 듯 잊은 지 오래다. 맹자(孟子)』 「진심(盡心)에서는 군자의 삶의 자세를 궁해도 의()를 잃지 않고, 현달해도 도()를 떠나지 않는다[窮不失義, 達不離道]”라고 했다. 그러나 인간은 어떠한가. 공연한 허욕에 사로잡혀 속만 태우고 있질 않은가. 위 시는 이렇듯 고요히 사물을 바라보는 시인의 담담한 시선이 독자를 명징한 일깨움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힘을 내재하고 있다.

 

이제 각 구절들 속에 감추어진 비밀, 즉 이합(離合)의 퍼즐을 풀어보기로 하자. 퍼즐의 열쇠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각 구절의 첫 자에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구절의 첫 자만을 네 구씩 나누어 다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徂且聽耳 干二沓白 弛也璞人 結吉椎木 擧與詩言 固古惑心

 

 

이제 각 네 글자의 묶음을 찬찬히 살펴보자. 앞서 이합체(離合體)의 설명을 염두에 두고 보면 첫 구 ()’에서 앞쪽 ()’만을 취하고, 남은 ()’2구의 첫 자로 쓴다. 다시 3()’에서 뒤쪽 ()’을 취하고 남은 ()’4구의 첫자가 된다. 그래서 떼어낸 두 글자 ()’()’을 합치면 ()’자가 된다. 같은 원리로 5구에서 8구의 조합에서 ()’를 얻을 수 있고, 9구에서 12구까지로 ()’자가 만들어진다. 13구에서 16구까지는 ()’자를, 17구에서 20구까지는 ()’자를 만들 수 있다. 21구에서 24구까지에서 ()’자가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는 덕수(德水) 장유(張維) 지국(持國)’이라는 여섯 글자이다. 덕수(德水)는 장유(張維)의 본관이고, 지국(持國)은 그의 자()이니, 결국 위 시에 감추어둔 이합자(離合字)가 지시하는 바는 즉 시인 자신인 셈이다. 시인이 말하려 한 것도 바로 의 처세관에 대한 피력이었다.

 

이렇듯 정격의 이합체(離合體) ()1구 첫 글자의 앞쪽 반과, 3구 첫 글자의 뒤쪽 반을 떼어 합하고, 떼고 남은 나머지 반은 각각 24구의 첫 글자로 써야 한다는 것이 정해진 규칙이다. 이 퍼즐을 풀어 얻은 글자가 바로 그 시의 제목이 된다. 얼마나 놀라운 언어의 유희인가. 말하자면 이합체(離合體) 한시는 각 구의 첫 글자를 거의 미리 정해 놓고 시를 짓게 되는 셈이다. 그러니 언어 운용상의 제한과 어려움은 말해 무엇하겠는가. 그런데도 위 장유(張維)의 시를 보면 표면적으로는 그런 제한을 받은 흔적을 전혀 느낄 수가 없다.

 

이밖에도 기묘한 잡체시는 수도 없이 많다. 이런 시들 속에는 그 어려운 한자를 마치 떡 주무르듯 제멋대로 가지고 놀았던 옛 시인들의 풍류가 거나하다. 장난은 장난이되 격조를 잃지는 않았던 것이 잡체시를 지었던 고인들의 마음가짐이었다. 이런 창작을 접하면서 새삼 느끼게 되는 것은 도대체 그들이 얼마나 많은 습작의 과정을 거쳤으면 이같이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다. 언어를 매만지는 장인의 프로 근성이 이런 잡체시를 낳았다.

 

오늘날에 있어 잡체시의 의미는 무엇일까? 부단한 언어의 실험정신, 질곡을 만들어 놓고 그 질곡에서 벗어나기, 언어의 절묘한 직조(織造)가 보여주는 현란한 아름다움, 잡체시는 단순히 이런 것들을 넘어서는 그 이상의 어떤 의미를 오늘의 시단에 던지고 있는 듯도 싶다. 또한 젊은 시인들에 의해 실험되고 있는 형태시들이 기실은 까맣게 잊고 있던 전통의 재현일 뿐이라는 사실도 흥미롭다. 세상은 이렇듯 돌고 도는 것이며, 우리는 이 모든 현상들 앞에서 수없는 상호 텍스트화를 되풀이 하고 있을 뿐이다.

 

 

 

 

 

 

인용

목차

한국한시사

1. 빈 칸 채우기, 수시(數詩)ㆍ팔음가(八音歌)ㆍ약명체(藥名體)

2. 빈 칸 채우기, 수시(數詩)ㆍ팔음가(八音歌)ㆍ약명체(藥名體)

3. 빈 칸 채우기, 수시(數詩)ㆍ팔음가(八音歌)ㆍ약명체(藥名體)

4. 구슬로 꿴 고리, 장두체(藏頭體)와 첩자체(疊字體)

5. 구슬로 꿴 고리, 장두체(藏頭體)와 첩자체(疊字體)

6. 구슬로 꿴 고리, 장두체(藏頭體)와 첩자체(疊字體)

7. 파자(破字)놀음과 석자시(析字詩)

8. 파자(破字)놀음과 석자시(析字詩)

9. 파자(破字)놀음과 석자시(析字詩)

10. 이합체(離合體)와 문자 퍼즐

11. 이합체(離合體)와 문자 퍼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