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세계는 하나가 아니라네
손약 이야기
혜시가 장자에게 말했다. “위나라 임금이 준 큰 박 씨를 심었더니 거기서 다섯 섬이나 담을 수 있는 박이 열렸다네. 거기다 물을 채웠더니 너무 무거워 들 수가 없었지. 쪼개서 바가지를 만들었더니, 깊이가 얕고 납작해서 아무것도 담을 수가 없었네. 박이 놀랄 정도로 크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나는 그것을 무용하다고 생각해 깨뜨려버렸네.”
惠子謂莊子曰: “魏王貽我大瓠之種, 我樹之成而實五石. 以盛水漿, 其堅不能自擧也. 剖之以爲瓢, 則瓠落無所容. 非不呺然大也, 吾爲其無用而掊之.”
장자가 말했다. “여보게, 자네는 큰 것을 쓸 줄 모르는군. 송나라에 손이 트지 않게 하는 약을 만드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 약을 손에 바르고 무명을 빨아서 탈색하는 일을 대대로 해왔다네. 어떤 이방인이 그 말을 듣고, 금 일백 냥을 줄 터이니 약 만드는 비방을 팔라고 했지. 그 사람은 가족을 다 모아놓고 의논하기를 ‘우리가 대대로 무명을 빨아 탈색시키는 일을 했지만 기껏해야 금 몇 냥밖에 만져보지 못했는데, 이제 이 약의 비방을 금일백 냥에 사겠다는 사람이 있으니 팝시다’라고 했다네. 그 이방인은 오나라 임금에게 가서 그 비방을 가지고 유세를 했지.
莊子曰: “夫子固拙於用大矣. 宋人有善爲不龜手之藥者, 世世以洴澼絖爲事. 客聞之, 請買其方百金. 聚族而謀曰: ‘我世世爲洴澼絖, 不過數金. 今一朝而鬻技百金, 請與之.’ 客得之, 以說吳王.
마침 월나라 임금이 싸움을 걸어오자, 오나라 임금은 그 이방인을 수군의 대장으로 삼았다네. 결국 그 이방인은 겨울에 수전을 벌여 월나라 군대를 대패 시켰다네. 오나라 임금은 그 사람에게 땅을 떼어주고 영주로 삼았지, 손 트는 것을 막는 약은 동일했는데, 한쪽은 그것으로 영주가 되었고 다른 쪽은 그것으로 무명 빠는 일을 면하지 못한 것은 사용한 바가 달랐기 때문이지. 자네는 어찌하여 다섯 섬을 담을 수 있는 박으로 큰 술통을 만들어 강이나 호수에 띄워놓고 즐길 생각을 못 하고, 깊이가 너무 얕아서 아무것도 담을 수 없다고만 걱정하는가? 자네는 아직도 ‘쑥의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 같네.” 「소요유」
越有難, 吳王使之將. 冬, 與越人水戰, 大敗越人, 裂地而封之. 能不龜手一也, 或以封, 或不免於洴澼絖, 則所用之異也. 今子有五石之瓠, 何不慮以爲大樽而浮乎江湖, 而憂其瓠落無所容? 則夫子猶有蓬之心也夫!”
‘쓸모’에 관한 혜시와 장자의 논쟁
2,500년 전 장자가 살았던 중국 전국시대나 21세기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나 쓸모없는 것들, 쓸모없다고 낙인찍힌 것들의 삶은 팍팍하고 처량하기까지 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평범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아주 높이 솟은 둥그런 원기둥 위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죠. 중심부에서 계속 밀려 외곽에 이르면, 얼마 지나지 않아 천길 낭떠러지로 떠밀린다고 말입니다. 원기둥 가장자리, 생과 사가 갈리는 날카로운 곳에 서서 쓸모없는 것들을 아파하고 보듬으려는 사람이 있다면, 버려졌다고 외로워하는 그들에게 얼마나 위로가 되겠습니까? 바로 그가 장자 입니다. 그렇다고 장자가 좌절한 사람들이 흘리는 절망의 눈물을 무기력하게 닦아주지만은 않습니다. 그들의 절망과 함께하지만, 장자는 심각한 그들 앞에서 해맑게 웃으며 말합니다. 당신들은 세계가 둥그런 원기둥이라고, 그래서 밀리면 추락해 죽는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그래서 파국을 미리 예감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하는 것 아니냐고 장자는 미소와 함께 희망을 말합니다. 원기둥 가장자리는 절벽이 아니고, 그 바깥도 낭떠러지가 아니라고, 자신이 서 있는 육지에서 보면 저 먼 바다는 절벽으로 떨어지는 것 같지만 직접 가보면 절벽이나 낭떠러지 같은 것은 없는 것처럼 말이지요.
쓸모의 논리가 지배하는 세계의 가장자리, 나아가 쓸모의 논리가 무력해지는 그 바깥은 억압과 지배로부터 가장 자유로울 수 있는 공간입니다. 쓸모없기에 이제 더 이상 지배자들로부터 쓰이지 않으니까요. 쓸모없음이 그에게 가장 쓸모 있게 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한 것입니다. 체제가 우리 삶을 써서 소진시키지 않으니 이제 우리가 우리 삶을 향유하면 됩니다. 거목 이야기에서 장자가 강조했듯, 거목은 쓸모가 없어 잘리지 않았기에 거목으로 자랄 수 있었던 겁니다. 바로 이것이 장자가 설파한 무용의 철학입니다. 무용은 처음에 우리를 절망시킬 수 있지만, 그것은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나아가 위대하게 만들 수 있는 희망이 되니까요. 바로 이 순간 지적 라이벌이었던 혜시는 장자의 생각을 논박합니다. 혜시의 입장은 나무를 비유로 쉽게 설명됩니다. 거목이 쓸모가 없었기에 거목으로 자라기도 하지만 이는 특이한 사례일 뿐이고, 대개의 경우 아무런 쓸모가 없다면 나무는 바로 잘리고 만다는 것이 논박의 핵심입니다. 장자는 혜시의 반박을 무력화해서 무용의 철학을 지켜낼 수 있을까요? 그 전말이 「소요유」 편에 등장하는 하나의 이야기에서 펼쳐집니다. 바로 ‘손약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는 혜시가 자신의 경험을 장자에게 들려주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위(魏)나라(BC 403 ~ BC 225) 임금이 준 큰 박 씨를 심었더니 거 기서 다섯 섬이나 담을 수 있는 박이 열렸다네. 그런데 거기다 물을 채웠더니 너무 무거워 들 수가 없었지. 쪼개서 바가지를 만들었더니 깊이가 얕고 납작해서 아무것도 담을 수가 없었네. 박이 놀랄 정도로 크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나는 그것을 무용하다고 생각해 깨뜨려버렸네.” 먼저 혜시는 커다란 박의 쓸모없음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이어서 그는 아무리 커도 무용하면 부수어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의 주장이 옳다면, 거목 이야기의 거목도 이제 무사할 수 없으리라는 불길한 예감이 듭니다. 엄청난 크기의 박처럼 거목은 무용하기에 바로 파괴될 수 있으니까요. 손약 이야기의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거목 이야기마저 부정될 수 있는 위험을 무릅쓰고 만든 이야기니까요. 자신이 만드는 이야기니 혜시의 반박쯤은 그냥 없는 듯 무시할 수도 있었지만, 장자는 그러지 않았습니다. 가능한 모든 비판으로부터 무용의 가치를 옹호하려는 장자의 지적인 정직함과 투철함, 무용하고 좌절한 사람들에게 삶의 희망을 반드시 불어넣어야 한다는 그의 간절함과 애정이 그만큼 빛나는 대목입니다. 혜시의 반박에 맞서기 위해 장자는 물 닿는 일을 해도 손이 트지 않게 하는 약이라는 흥미로운 사례를 가져옵니다. 혜시와 장자의 논쟁을 다룬 이 이야기를 손약 이야기라고 명명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인용
7. 허영, 애달파하기에는 너무나 치명적인 / 9. 타자와 함께 춤을
'책 > 철학(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8. 세계는 하나가 아니라네, 문맥은 오직 하나가 아니다 (0) | 2021.05.17 |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8. 세계는 하나가 아니라네, 텍스트주의 VS 콘텍스트주의 (0) | 2021.05.17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7. 허영 애달파하기에는 너무나 치명적인,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 (0) | 2021.05.17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7. 허영 애달파하기에는 너무나 치명적인, 거대한 허영의 감옥 (0) | 2021.05.17 |
장자수업, 1부 대지를 뛰어올라 - 7. 허영 애달파하기에는 너무나 치명적인, 모든 인간은 허영의 존재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