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건국 드라마
조선의 기획자
작은 사물이 큰 사물에 이끌리는 것은 자연 법칙이다. 그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면서도 다른 면에서 보면 ‘자연 현상’에 불과한 것이기도 하다. 자연과 달리 의지를 지닌 사물, 이를테면 인간이나 인간 집단은 그 자연 법칙에 종속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대(事大)란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자발적이고 선택적인 행위다.
- 『역사의 물리학』 중에서
14세기 말의 동북아시아는 활기에 넘친다. 한 세기 동안 몽골의 지배를 받다가 다시 한족 왕조가 들어선 중국과 새 왕조로 말을 갈아 탄 한반도는 바야흐로 건국과 재건의 활발한 시즌을 맞았다. 몽골이라는 공동의 적을 두었던 같은 처지의 신생국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두 나라는 죽이 잘 맞지 않지만 어차피 서로 바쁜 초기의 건설기가 끝나고 나면 명확한 관계가 설정될 것이다.
이성계(李成桂, 1335~1408)가 조선의 건국자라면 정도전(鄭道傳, 1337~98)은 조선의 기획자다. 속되게 말해 이성계가 조선 카페의 얼굴마담이라면 정도전은 실질적인 오너다. 공식적으로는 위화도 회군 때부터, 비공식적으로는 더 이전부터 이성계의 브레인 역할을 해온 정도전은 이성계가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취임하자마자 일약 한반도에서 가장 바쁜 사나이가 된다(앞에서 보았듯이 이성계는 공양왕을 폐위하고 즉위한 뒤 곧바로 새 왕조 개창을 선언하지는 않았다). 그 목적은 물론 이성계를 ‘새 나라의 초대 왕’으로 만드는 데 있다. 1384년 이성계와 역사적인 첫 만남을 갖기 전 그는 9년 동안이나 유배와 유랑의 생활을 했는데, 그 시기에 갈고 닦은 경륜을 이제 마음껏 발휘할 무대가 마련된 것이다.
이성계가 권력을 장악하자마자 정도전(鄭道傳)은 새 정부의 많은 요직을 겸직하게 되지만 직함 따위는 전혀 중요치 않다. 어차피 그가 권력상 2인자라는 사실은 모르는 사람이 없고 새 나라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총책임자라는 사실도 아는 사람은 다 아니까【당시 그는 이성계를 한 고조 유방(劉邦, 기원전 247?~195)에 비유하고 자신은 장량(張良, ?~기원전 168)에 비유했다. 알다시피 유방은 진시황제가 죽은 뒤 초나라의 항우를 물리치고 중국을 재통일한 한나라의 건국자이며, 장량은 그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뛰어난 참모다. 정도전(鄭道傳)은 심지어 유방이 장량을 이용한 게 아니라 거꾸로 장량이 유방을 이용했다고 말했는데, 조선 건국의 실질적인 기획자는 자신이라는 이야기다. 그의 호방함도 대단하지만 그런 말을 이성계가 용납할 정도였다면 당시 정도전의 위상이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탁월한 정치적 감각과 대세관, 뛰어난 학문과 중국에서도 보증한 문장력, 게다가 예술과 병법에마저 통달한 이상적인 참모 정도전은 팔방미인인 만큼 할 일도 많다. 하지만 가장 중요하고 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작명(作名)이다. 물론 사람 이름이 아니라 나라 이름을 짓는 일이다. 이성계가 공식적인 건국 발표를 미룬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새 나라의 국호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것은 명나라의 요구이기도 하다. 이 중요한 국가 대사를 기획자가 하지 않으면 누가 할까?
▲ 마담과 오너 위는 조선 카페의 얼굴마담인 이성계이고, 아래는 실제 오너인 정도전(鄭道傳)이다. 이성계는 두 살 아래인 정도전을 오너로 섬기고 존중해준 듯한데, 그의 아들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래서 정도전은 끝내 카페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비운에 죽었으나, 그가 꿈꾼 사대부 세상은 100년 뒤에 결국 실현된다.
여러 문헌을 뒤적거리며 국호 후보감을 찾던 그는 아마 고려를 건국하던 무렵의 왕건이 부러웠을 것이다.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취지였으니 고려라는 국호는 지을 것도 없이 당연했을 테니까(고려가 그 취지와는 달리 신라를 계승한 왕조라는 점은 앞에서 본 바 있다). 게다가 왕건의 시대에는 중국이 분열기에 있어 간섭할 나라도 없지 않았던가? 그 반면에 지금은 새 나라의 국호조차 독자적으로 짓지 못하고 중국의 허가를 얻어야 할 뿐 아니라 오히려 그 허가 여부가 국호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고심 끝에 그는 결국 두 개의 후보를 찾아낸다.
하나는 ‘화령(和寧, 지금의 영흥)’이다. 화령은 이성계의 출생지니, 이것은 건국자의 출생지를 국호로 정하는 중국의 고대 전통을 따른 작명이다. 물론 하자는 없지만 아마 정도전은 중국 측이 그 이름을 거부하리라는 것을 예상하지 않았을까 싶다. 중국을 받드는 처지에 중국의 전통을 여과없이 취한 것도 문제가 되겠지만 화령은 불과 수십 년 전까지 원나라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가 있던 곳, 그러니까 철령위(鐵嶺衛) 사태에서 쟁점이 된 지역이 아닌가? 화령이 어딘지를 명나라가 모를 리 없을 테니 아마 그런 지역의 이름을 국호로 쓴다면 중국에서 쓸데없이 그 저의를 의심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또 하나의 후보가 필요해질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바로 ‘조선’이다. 조선이라면 한반도 역사의 여명기에 있었던 고대 국가의 이름이니 굳이 명나라에서도 반대할 리 없다. 더욱이 당시의 조선(고조선)은 중국 문명의 영향을 받아 성립한 국가였을 뿐 아니라 2500년 전, 그러니까 중국에서 주나라가 세워질 무렵 무왕(武王)은 은나라 귀족 기자(箕子)에게 조선을 봉토로 내주지 않았던가? 거기에 생각이 미친 순간 정도전(鄭道傳)은 무왕을 주원장(朱元璋)에 비유하고, 기자를 이성계에 비유하는 절묘한 알레고리(allegory)를 생각해낸다. 홍건적 두목 출신인 주원장도 자기가 전설 속의 성군(聖君)인 무왕에 비교되면 더없이 만족할 테니, 국호 승인은 따놓은 당상이다【조선이라는 국호에 대단히 만족했던 정도전(鄭道傳)은 자신이 지은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에서 그 경위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해동(한반도)은 그 국호가 일정하지 않았다. 박ㆍ석ㆍ김 세 성씨가 신라라고 일컬었고, 온조(溫祚)는 백제라 했으며, 견훤은 뒤에 후백제라고 일컬었다. 또 고주몽은 국호를 고구려라 했으며, 궁예는 후고구려라 했고, 왕씨(왕건)는 궁예를 대신하여 고려라는 국호를 사용했다. 이들은 모두 한 지역을 임의로 차지하여 중국의 명령을 받지도 않고 스스로 명호를 세우고, 서로 침략하였으니, 국호는 있으되 어떻게 나라라고 할 수 있겠는가? 다만 기자 만은 주나라 무왕의 명령을 받아 조선 왕에 봉해졌다.’ 중국의 승인을 받아야 제대로 된 나라라고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조선은 국호를 정할 때부터 사대주의를 기본으로 깔고 시작한 왕조였다】.
1392년 자청해서 명나라에 사신으로 간 한상질(韓尙質, ?~1400)은 과연 이듬해 2월에 당당히 조선이라는 국호를 승인받아 온다. 이 ‘작명 해프닝’은 한편으로 정도전의 천재적인 재치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이른바 역성혁명(易姓革命)으로 새 왕조를 세웠음에도 그의 대중국관이 중국 한족 왕조에 대한 전통적인 사대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말해주기도 한다. 아직 국교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였으므로 명나라는 국호 하나만 가지고도 충분히 조선을 엿먹일 수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심사가 꼬인 명나라 정부라 해도 두 나라 관계를 옛 주나라와 기자조선의 관계에 비유하는 정도전(鄭道傳)의 영리한 지적 아부에 냉담하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흔히 정도전은 고려 말의 주자학자들과는 달리 중국에 대해 자주적인 태도를 견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호를 정하는 데서도 중국과 한반도의 전통적인 사대관계를 이용할 정도였던 걸 보면 자주성과는 거리가 먼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런 그의 진면목은 얼마 뒤에 더욱 생생히 드러난다.
인용
'역사&절기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부 유교왕국의 완성 - 1장 건국 드라마, 유교왕국을 꿈꾸며(조선경국전) (0) | 2021.06.15 |
---|---|
7부 유교왕국의 완성 - 1장 건국 드라마, 두 신생국의 신경전(표전문제) (0) | 2021.06.15 |
7부 유교왕국의 완성 - 개요 (0) | 2021.06.15 |
6부 표류하는 고려 - 3장 해방, 재건, 그리고 멸망, 개혁이냐, 건국이냐(공양왕) (0) | 2021.06.15 |
6부 표류하는 고려 - 3장 해방, 재건, 그리고 멸망, 구국의 쿠데타?(랴오둥 정벌, 위화도 회군) (0) | 2021.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