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9. 천한 신분의 신하의 능력을 인정해준 공숙문자
14-19. 공숙문자(公叔文子)의 가신인 대부 선(僎)이 공숙문자의 추천으로 그와 함께 국가 조정의 최고직에 올랐다. 공자께서 이를 들으시고 공숙문자를 칭찬하여 말씀하시었다: “시호를 문(文)이라 할 만하다.” 14-19. 公叔文子之臣大夫僎, 與文子同升諸公. 子聞之曰: “可以爲文矣.” |
‘공숙문자(公叔文子)’는 본 편 14장에 나왔던 인물. 위나라의 가로(家老). 공평(公平)하고 관용(寬容)한 측면이 있는 인물이었던 것 같다. 자기 자신의 신하도 영지(領地)를 갖는다. 그러한 자기 신하 중에 대부(大夫)인 ‘선(僎)’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인물이었던 것 같다. 이 인물을 위나라 정부의 집정(執政)의 직에 오르도록 천거한 것이다. ‘동승저공(同升諸公)’의 ‘저(諸)’는 ‘지어(之於)’의 준말. ‘문(文)’이라는 시호에 관해서는 5-14에서 이미 말하였다. 신주 하나를 소개한다.
홍흥조가 말하였다: “가신이라는 천한 신분의 사람을 이끌어 자기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하였으니 그 훌륭함에 세 가지가 있다. 사람을 알아본 것이 첫째이고, 편협한 자기를 버린 것이 둘째이고, 임금을 잘 섬긴 것이 그 셋째이다.”
洪氏曰: “家臣之賤而引之, 使與己並, 有三善焉. 知人, 一也; 忘己, 二也. 事君, 三也.”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한글역주, 헌문 제십사 - 21. 자신이 한 말에 부끄러워할 수 있는 사람 (0) | 2022.12.12 |
---|---|
논어한글역주, 헌문 제십사 - 20. 위령공이 무도(無道)함에도 나라를 잃지 않은 이유 (0) | 2022.12.12 |
논어한글역주, 헌문 제십사 - 18. 관중이 환공을 도왔기에 문명을 지킬 수 있었다 (0) | 2022.12.12 |
논어한글역주, 헌문 제십사 - 17. 관중의 제후들을 규합하였기에 인(仁)의 공로가 있다 (0) | 2022.12.12 |
논어한글역주, 헌문 제십사 - 16. 진문공과 제환공에 대한 공자의 평가 (0) | 2022.12.12 |